창간 9주년 특집을 기획하며 K-코스메틱·뷰티 산업의 발전과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하는 전문 언론으로 위상을 정립한 코스모닝이 창간 9주년을 맞이했다. 코스모닝은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트렌디어와 함께 ‘글로벌 화장품 시장 Review&Preview’ 기획을 통해 글로벌 시장 전체를 조망하고 미래를 전망한다. 이번 특집 기획은 글로벌 시장은 물론 최근 들어 K-뷰티의 위세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특정 국가(미국·일본)의 특정 카테고리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구성했다. <편집자 주> ‘화장은 자연스럽게’ 스키니멀리즘‧와비사비 영향 일본 색조화장품 시장은 올해부터 2035년까지 연평균 6.3%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메이크업 분야에서도 클린뷰티 제품이 급성장 중이다. 일본 소비자는 메이크업과 스킨케어 기능을 결합한 멀티 제품을 선호한다. 메이크업에 보습‧항노화‧자외선 차단 기능이 접목되고 있다. 스키니멀리즘과 와비사비 철학의 영향으로 자연스러움을 살리는 화장법이 유행하는 추세다. 과도한 메이크업보다 본연의 아름다움을 살리는 스타일이 강세다. 뽀얀 피부 톤, 소프트한 블러셔, 은은한 음영 등으로 고유의 미를 드러낸다. 색조화장품의
창간 9주년 특집을 기획하며 K-코스메틱·뷰티 산업의 발전과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하는 전문 언론으로 위상을 정립한 코스모닝이 창간 9주년을 맞이했다. 코스모닝은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트렌디어와 함께 ‘글로벌 화장품 시장 Review&Preview’ 기획을 통해 글로벌 시장 전체를 조망하고 미래를 전망한다. 이번 특집 기획은 글로벌 시장은 물론 최근 들어 K-뷰티의 위세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특정 국가(미국·일본)의 특정 카테고리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구성했다. <편집자 주> 日 소비자 ‘젊고 건강한 피부’ 중시 IMARC그룹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의 뷰티·퍼스널케어 시장 규모는 2024년 약 313억 1,520만 달러다. 2025년부터 2033년까지 연 평균 4.3% 성장, 2033년 457억 4,180만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일본 소비자는 ‘젊고 건강한 피부’를 중시하며 기능성 미백제품을 선호한다. 고령화 사회 속에서 안티에이징‧탄력 제품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소비자들은 성분과 효능에 대한 이해도가 높으며, 효과가 검증된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가 강하다. 동충하초‧생강‧눈버섯(스노우 머쉬룸)‧두부‧동백오일‧
아이레시피가 10일부터 16일까지 열린 진행한 ‘큐텐 메가데뷔’ 행사에 참가했다. 메가데뷔는 큐텐재팬이 4월 새롭게 선보인 프로모션이다. 유망 신진 브랜드를 매주 4개씩, 연간 약 200개 소개한다. 아이레시피는 큐텐 MD가 직접 발굴한 브랜드다. 큐텐재팬이 마케팅‧프로모션을 지원한다. 인플루언서 마케팅부터 디지털 광고까지 도우며 아이레시피가 일본에 안착하도록 돕는다. 아이레시피는 10일 메가데뷔 라이브 방송에서 ‘시카 PDRN 토너 패드’를 선보였다. 이 제품은 방송 10분 만에 1천개가 팔렸다. 아이레시피는 올 하반기부터 일본시장 공략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일본 온‧오프라인 유통망을 확대하고 다양한 마케팅을 펼칠 전략이다. 9월과 11월, 큐텐 메가와리 행사에도 참여한다. 로프트‧앳코스메 등 오프라인 매장에도 진출한다. 회사 측은 “일본 소비자는 민감성 피부용 스킨케어와 고효능 제품에 관심이 많다. 큐텐재팬 메가데뷔 프로그램을 통해 일본 소비자와 접점을 넓혀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5 큐텐재팬 K-뷰티 메가 콘퍼런스’ 글로벌 화장품 ODM(연구·개발·생산) 전문기업 코스맥스가 이베이재팬(eBay Japan)과 손잡고 K-뷰티의 일본 시장 맞춤형 공략을 전개, 시장 지배력 확대를 위한 움직임을 본격화한다. 코스맥스는 글로벌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현지 플랫폼사와 협력을 강화, K-뷰티의 글로벌 성공 방정식을 새롭게 정립하겠다는 의지를 강력하게 피력하고 있다. 이경수 회장 ‘코스맥스 성공 스토리와 K-뷰티 경쟁력’ 직접 발표 코스맥스는 지난 14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서울 삼성동)에서 열린 ‘2025 큐텐재팬 K-뷰티 메가 콘퍼런스’에서 일본 시장 진출을 위해 포괄성에 기반한 구체화 공략 방안을 공개했다. 특히 이경수 회장은 “앞으로 뷰티 시장의 흐름은 기존의 브랜드 중심에서 소비자가 주도하는 체제로 변화해 갈 것”이라고 예견하고 “코스맥스는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개발 기술력과 글로벌 공급망을 기반으로 고객사와 동반성장하며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을 가장 빠르고 좋은 가격에 선보이겠다”라고 강조, 앞으로 펼칠 코스맥스의 행보를 직접 밝혔다. 코스맥스는 이베이재팬의 온라인 오픈마켓 큐텐재팬 주최로 진행한 이번 콘퍼런스의 공식
모레모가 밸런타인데이 헤어 선물세트를 큐텐재팬에 선보인다. 이 세트는 △ 모레모 프로 리페어 헤어 에센스 △ 모레모 헤어 트리트먼트 미라클 2X로 구성했다. 이들 제품은 분홍빛 패딩 파우치에 담았다. 귀여운 디자인과 부드러운 촉감이 소장욕구를 자극한다. 모레모 밸런타인데이 세트 큐텐재팬에서 23일까지 판매한다. 8일까지 진행하는 큐텐재팬 메가포 행사에서 46% 할인가에 제공한다.
라벨영(대표 김화영)이 27일까지 열리는 큐텐재팬 메가와리 행사에 참여한다. 메가와리(メガ割)는 큐텐이 연 4회 진행하는 대규모 할인전이다. 라벨영은 올해 세차례 참가해 브랜드를 알리고 고객층을 확대하고 있다. 이 회사는 메가와리에서 △ 쇼킹 비타민 우유미백크림 △ 쇼킹 솝 카밍버전(호랑이 비누) △ 쇼킹 볼트크림 △ 쇼킹 소름앰플 △ 쇼킹 토너 꿀광버전 등을 최대 70% 할인한다. 대표 제품은 쇼킹 비타민 우유미백크림이다. 화이트닝의 핵심 성분인 비타민과 우유 단백질이 들어 피부 톤을 밝혀준다. 수분감 풍부한 제형이 피부에 부드럽게 발리며 미백효과를 제공한다. 라벨영 관계자는 “이번 메가와리 행사에 베스트셀러를 할인한다. 일본 소비자에게 차별화한 제품과 품질을 널리 알려 나가겠다”고 말했다.
에이피알이 큐텐재팬 메가와리 행사에서 매출 88억 원을 올렸다고 밝혔다. 에이피알(대표 김병훈)은 8월 31일부터 9월 12일까지 열린 메가와리에 참여했다. 메디큐브 제품이 약 16만 개 판매되며 매출을 이끌었다. 메디큐브 화장품과 뷰티 디바이스가 동시에 인기를 끌었다. ‘부스터 프로’는 1만6천 대 팔리며 메가와리 종합 순위 1위에 올랐다. 메디큐브 ‘PDRN 핑크 펩타이드 앰플’의 성과도 돋보였다. 이 제품은 피부 잡티와 흔적을 관리하고 탄력을 높인다. 이번 메가와리에서 판매량 만1천 개를 기록하며 뷰티 순위 6위에 들었다. 이 앰플을 포함한 ‘메가와리 기획박스’는 뷰티 순위 9위를 차지했다. 메디큐브 ‘제로모공패드’와 ‘제로모공머드팩’은 각각 만개 이상 팔렸다. 글루타치온 토너‧앰플‧크림 세트도 소비자 관심을 끌었다. 에이프릴스킨 캐로틴 클렌징밤과 글로우 매트 쿠션도 주목 받았다. 에이피알 관계자는 “일본에서 K-뷰티 열풍이 이어지고 있다. 이커머스 시장도 성장 중이다. 일본 시장에 맞는 뷰티 디바이스와 화장품을 선보이며 매출을 확대할 계획이다”고 전했다.
스킨1004가 일본열도를 달궜다. 스킨1004는 8월 31일부터 9월 11일까지 열린 큐텐재팬 메가와리 행사에서 총 매출 27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10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아울러 이 회사는 행사 시작 2시간 만에 매출 4억 원을 올렸다. 이에 힘입어 뷰티 부문 전체 순위 2위에 들었다. 스킨1004는 제품 경쟁력과 K-뷰티 열풍이 결합해 일본 매출이 급증했다고 분석했다. 10월 일본 온라인몰 라쿠텐에 추가 입점해 매출 고공행진을 이어갈 예정이다. 로프트‧프라자 매장 200곳에도 진출한다. 오사카에서 열리는 ‘AMZ K-페스티벌’과 로프트 주최 ‘KCOSME’ 등에 참가해 브랜드를 알릴 예정이다. 스킨1004 관계자는 “일본서 K-뷰티 붐이 지속되며 브랜드를 찾는 소비자가 많아졌다. 일본 MZ세대를 대상으로 브랜드를 알리고 있다. 판로를 확대해 안정적인 매출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모다모다(대표 배형진)가 4일 큐텐재팬에 브랜드관을 열었다. 모다모다는 브랜드관을 연 지 2주만인 3월 18일 큐텐재팬에서 매출 1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큐텐재팬에 선보인 제품은 ‘제로 그레이 블랙 샴푸’와 ‘프로 체인지 헤어 커버 스틱’이다. 제로 그레이 블랙 샴푸는 모다모다만의 폴리페놀 기술력을 접목했다. 새치‧손상모‧두피를 동시에 관리한다. 독일 더마테스트에서 엑설런트 등급을 획득했다. 프로 체인지 헤어 커버 스틱은 국소 부위용 새치 관리 제품이다. 흰머리나 헤어 라인 등에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최근 모다모다는 블랙 샴푸를 일본 아사히TV의 홈쇼핑 ‘준 산보’에서 판매했다. 첫 방송에서 10분만에 1만 4천여 개가 팔렸다. 배형진 모다모다 대표는 “큐텐재팬 회원수는 2천3백만 명이다. 주로 일본의 젊은 세대가 이용한다. K-뷰티에 관심 많은 일본 소비자에게 다양한 헤어제품을 소개할 계획이다”고 전했다.
클리오가 3월 1일부터 12일까지 열린 큐텐재팬 메가와리 행사를 빛냈다. 구달은 메가와리에서 매출이 전년 행사 대비 102% 늘었다. ‘청귤 비타C 잡티케어’ 제품이 매출 58%를 차지했다. 대표 제품인 ‘청귤 비타C 잡티케어 세럼’은 전세계에서 710만 병 팔렸다. 올해 2월 출시한 ‘청귤 비타C 27 앰플’은 일본서 인기다. 순수 비타민C 27%가 들어 있어 피부톤과 투명도를 개선한다. 구달 ‘애플민트 아하바하’는 매출 36%를 점유했다. 아하‧바하(AHA·BHA) 성분이 각질을 제거해 피부를 매끄럽게 한다. 세럼과 액상 제형이 일본과 미국서 판매된다. 페리페라는 이번 행사에서 입술과 눈 색조제품이 잘 팔렸다. 올테이크 팔레트와 잉크 립글로스 등의 매출은 전년 행사 대비 113% 신장했다. 클리오 매출은 16% 늘었다. 프로 아이 팔레트와 킬래쉬 마스카라 등이 소비자 선택을 받았다. 클리오는 일본 드럭스토어와 버라이어티샵 1만 5천곳에 입점했다. 매장에서 클리오‧페리페라‧구달 화장품을 판매한다. 2023년 일본 스기약국 680곳에 추가 진출했다. 이달 일본 프라자에 케어베어 브랜드와 만든 한정품을 출시해 매진을 기록했다. 윤성훈 클리오 부사장은 “일본 소
라카 립틴트와 립스틱이 11월 22일부터 12월 3일까지 진행된 큐텐재팬 메가와리에서 부문별 매출 1위에 올랐다. ‘프루티 글램 틴트’는 가장 많이 팔린 립틴트 1위를 기록했다. ‘본딩 글로우 립스틱’은 립스틱 1위를 차지했다. 프루티 글램 틴트는 2022년 상반기부터 7분기 연속 메가와리 판매 순위 1위를 꿰찼다. 본딩 글로우 립스틱은 올해 5월 출시 후 2분기 연속 메가와리 1위에 성공했다. 프루티 글램 틴트는 큐텐재팬에서 소비자 리뷰 6만 4천여 건이 쌓였다. 품평 점수는 5점 만점에 4점 이상을 받았다. 청량한 과즙 색과 투명 광택으로 일본 소비자들에게 호평을 얻었다. 21가지 색상으로 인기를 끌며 10월 누적 판매량 170만개를 넘어섰다. 라카 측은 “메가와리 행사에서 립틴트와 립스틱이 약 6만 8천 개 팔렸다. 판매액 1억 4천만 엔을 달성했다. 포인트 메이크업 분야 판매 순위 1위라는 영예를 안았다. 행사 기간 라카 상품 페이지에 유입된 고객은 60만 명, 페이지뷰는 120만 회가 넘는다”고 밝혔다.
브이티코스메틱이 일본 큐텐 매출을 휩쓸었다. 큐텐재팬이 6월 메가와리를 앞두고 진행한 프리론칭 행사에서 뷰티 분야 1위, 종합 1~3위를 차지했다. 매출을 이끈 제품은 레티-에이와 리들샷이다. 리들샷은 100샷, 300샷, 700샷으로 구성됐다. 천연 미세침 성분에 시카를 덧씌워 피부 재생 효과를 높였다. 시카 히알론 성분이 피부를 진정시키고 수분장벽을 강화한다. 7월 일본에서 공식 출시될 예정이다. 레티-에이는 안티에이징 효과를 제공한다. 모공을 관리하고 피부 탄력을 높인다. 시카히알론과 RETI-A를 결합해 노화를 방지한다. 바쿠치올 성분이 피부를 생기있게 한다. 브이티코스메틱 관계자는 "메가와리 전 사전 행사에서 인기를 실감했다. 시카 바이탈과 시카 레티놀 제품도 일본 소비자에게 품질을 인정받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