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클린뷰티 시장이 매년 10% 이상 성장하고 있다. 클린뷰티는 MZ세대의 가치소비와 연결되며 글로벌 뷰티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여전히 클린뷰티에 대한 명확한 기준은 없는 실정이다. 클린뷰티 브랜드나 제품을 개발할 때 무엇을 기준으로,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 클린뷰티 기준과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세미나가 열렸다. 슬록(대표 김기현)은 5월 29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클린뷰티2.0 비즈니스 네트워킹 세미나’를 개최했다. ‘코스모뷰티서울 2025’의 부대행사로 마련된 세미나에는 뷰티산업 종사자 100여명이 참가했다. 슬록은 ‘클린뷰티 2.0’을 주제어를 정하고 글로벌 진출 전략을 공유했다. ‘피부에 안전한 성분’에서 나아가 ‘지속가능성’을 강화하는 클린뷰티산업 동향을 분석했다. 국내외 클린뷰티를 이끄는 기관‧기업 6곳이 발표를 맡아 클린뷰티의 현재와 미래를 짚었다. KTR “클린화장품 단체표준 제정” 이창현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충북센터장은 ‘클린뷰티 글로벌 표준현황 및 단체표준(안)’을 발표했다. 그는 클린화장품을 ‘인간의 건강과 안전에 있어 유해우려물질, 나노물질, 과불화합물, 미세플라스틱을 혼합하지 않고, 탄소저감형 용기·포장
슬록(대표 김기현)이 29일(목) 오후 3시부터 4시 50분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 컨퍼런스룸 327호에서 ‘클린뷰티 2.0 비즈니스 네트워킹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 세미나에서는 △ 클린뷰티 글로벌 표준현황 및 단체표준(안) 개요(이창현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충북센터장 △ 지속가능한 화장품 패키지의 필요성과 친환경 소재 제안(김지홍 LG화학 PO.친환경사업팀 선임) △ K-뷰티 원료 2.0, 지속 가능성과 기술 기반의 혁신 원료(조은애 바이오스펙트령 제품개발연구소장) △ 플라스틱을 대체하는 자원순환형 종이팩 패키징 솔루션(김재원 리필리 대표) △ 뷰티 패키징 트렌드와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지속가능한 패키징 제안(이재경 아폴로산업 대표) △ K-서스테이너블, 클린뷰티 화장품 창업 전주기 지원 시스템 및 멘토 소개(김기현 슬록 대표) 등을 발표한다. 김기현 슬록 대표는 “세계 뷰티시장은 ‘클린 & 지속가능성’을 주제로 진화하고 있다. 클린뷰티산업 정보와 발전 전략을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클린뷰티 기업 관계자들과 만나 교류하고 협업하는 네트워킹 기회도 제공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