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4 보건산업 통계-화장품 산업 분석 보건산업 수출 품목 1·3위가 기초·색조화장품 2023년 기준 보건산업 수출 품목 1위는 기초화장용 제품류, 3위는 색조화장용 제품류로 나타났다. 2019년부터 줄곧 1위를 지켰던 기초화장용 제품류는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 동안 연평균 성장률 5.9%를 기록했다. 수출액은 △ 2019년 50억9천100만 달러를 시작으로 △ 2020년 59억8천600만 달러 △ 2021년 73억1천500만 달러 △ 2022년 60억8천만 달러 △ 2023년 63억9천400만 달러였다. 기초화장용 제품류의 전년 대비 증가와 감소는 우리나라 화장품 전체 수출의 증감과 그대로 연동돼 나타났다는 점은 이 품목이 점유하고 있는 비중의 절대성을 입증하는 대목이다. 같은 기간 색조화장용 제품류는 2020년을 제외하고는 꾸준하게 상승세를 보였다. 연평균 성장률은 9.1%에 이른다. 2019년 7억3천600만 달러를 기록한 이후 2020년에 6억9천700만 달러로 하락했다가 2021년 8억3천900만 달러 → 2022년 8억9천900만 달러 → 2023년 10억4천300만 달러까지 늘어났다. 화장품 기업 성장성(매출액·총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4 보건산업 통계-화장품 산업 분석 화장품 생산·업체 수 추이 지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 동안 화장품 생산 실적이 가장 많았던 해는 2021년으로 16조6천533억 원이었다. 2019년이 16조2천633억 원이었고 2020년은 15조1천618억 원, 2023년은 14조5천102억 원, 그리고 2022년이 13조5천908억 원으로 나타나 이 기간 평균 성장률은 -2.8%에 그쳤다. 국내 화장품 생산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기초화장품 제품류 생산 역시 전체 생산 실적의 증감세와 궤를 같이했으며 5년간 평균 성장률은 -5.1%에 머물렀다. 반면 기초화장품 제뮬류를 제외한 나머지 화장품류는 같은 기간 0.4%의 소폭 연 평균 성장률을 기록했다. 생산 실적의 이같은 변화에도 불구하고 업체 수(식약처에 생산실적을 보고한 기업 기준)는 이 기간 동안 지속 증가세를 나타냈다. 2019년 7천580곳이었던 생산 업체 수는 2020년 8천942곳 → 2021년 9천359곳 → 2022년 1만119곳 → 2023년 1만1천861곳으로 5년간 평균 성장률은 11.8%에 달해 생산 실적 양상과는 대조를 보였다. 화장품 산업 고용 현황 2019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4 보건산업 통계-화장품 산업 분석 우리나라 화장품 시장 규모는 오는 2028년까지 150억 달러(1월 23일 기준 한화 약 21조6천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글로벌 시장 규모는 7천470억 달러 수준까지 확대할 것으로 예상한다. 2023년을 기준으로 했을 때 대한민국 화장품 산업은 미국·중국·일본·브라질·독일·영국·인도·프랑스에 이어 9위에 이르며 점유율은 2.5%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화장품 산업은 우리나라 전 산업과 제조업과 비교했을 때 매출액 증가율이 현저하게 높았으며 이는 특히 중소기업에서 두드러졌다. 총자산 증가율은 매출액 증가율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국내 전 산업과 제조업과 비교 우위에 있었다. 이 부문에서도 중소기업의 경우 전 산업과 제조업, 그리고 화장품 산업의 대기업·중견기업에 비해서는 현저하게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수익성을 일별할 수 있는 매출액 영업이익률과 매출액 세전 순이익률 지표에서도 화장품 산업은 국내 전 산업과 제조업의 그것보다 많게는 두 배 이상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같은 내용은 최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 www.khidi.or.kr ·이하 진흥원)이 발간한 ‘202
생산액 14조5000억 원·기능성화장품 5조 원 돌파 제조기업 4567곳·책임판매업체 3만1524곳 등 ‘4만 영업자’ 돌파 눈 앞 지난해 우리나라 화장품 산업은 △ 1년 만에 수출 성장세·무역수지 70억 달러 고지 회복 △ 수출 다변화에 따른 중국 의존도 급감 △ 1천억 원 이상 생산기업 12곳으로 증가 △ 제조업체(4천567곳)·책임판매업체(3만1천524곳)·맞춤형화장품판매업체(231곳) 등 영업자 모두 증가 △ 기능성화장품 생산 5조 원 돌파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www.mfds.go.kr )가 2023년 국내 화장품 생산·수입·수출 실적 등을 포함한 화장품 산업의 주요 통계자료 발표를 통해 확인한 사실이다. 식약처는 자료 발표와 함께 “지난해 우리나라 화장품 산업 현황을 분석한 결과 대 중국 수출은 감소했지만 미국·유럽·일본 등으로 수출이 증가해 2023년 수출액은 2022년(79억5천만 달러)보다 6.4% 증가한 84억6천만 달러로 세계 4위를 유지했다”고 밝혔다. △ 화장품 생산은 2022년 대비 6.8% 증가한 14조5천102억 원 △ 수입은 전년 대비 1.5% 감소한 13억2천500만 달러(한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