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www.mfds.go.kr )가 국내 화장품 제조 부문에 대한 품질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 사업을 본격화한다. 식약처는 오늘(21일) “우수화장품 제조·품질관리기준(CGMP·Cosmetic Good Manufacturing Practice) 인증을 활성화하고 글로벌 품질 경쟁력을 강화함으로써 K-화장품 수출을 보다 체계화해 지원한다는 목표 아래 ‘2025년 화장품 GMP 활성화 지원사업’을 추진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현재 국내 화장품 제조기업 가운데 CGMP 인증을 획득한 기업은 지난해 말을 기준으로 191곳이다. 이는 지난 2018년 147곳 → 2020년 165곳 → 2022년 175곳으로 집계된 이래 최대 규모를 보이고 있지만 4천184곳에 이르는 화장품 제조업체의 4.6% 수준에 그치고 있다. 식약처가 발표한 지원사업의 주요 내용은 △ 맞춤형 전문가 컨설팅 △ 전문가 양성 교육(기초·전문 2회) △ 교육 영상 제작·제공 등이다. 특히 자외선차단제 미국 수출을 준비 중인 업체에 대한 지원의 효율성을 위해 전문가 양성 교육에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FDA)의 의약품 GMP 실사 사례 교육’을 진행한다. 관련해 식약처는 “
미국 화장품 규제의 전환점 MoCRA 완벽 해부⑭- “왜 미국에선 한국 선크림을 구하기 어려워졌을까?”<상 편에서 계속> 마케팅 표현의 차이: 무엇을 말할 수 있고, 무엇을 말할 수 없는가? 마케팅 문구에도 큰 제약이 있다. 한국의 경우 화장품으로서 미백·주름개선·보습 등 다양한 스킨케어 효능을 자유롭게 홍보할 수 있다. ‘항산화 효과가 있는 비타민E 함유’ ‘미백 기능성 성분으로 피부 톤 개선’ 같은 문구가 가능하다. 미국은 일단 의약품으로 분류하므로 FDA가 승인한 효능 외의 표현은 제한된다. 다만 SPF 15 이상·Broad Spectrum 제품은 ‘피부 암과 조기 피부노화 위험 감소’라는 문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한국에서는 오히려 금지된 의학적 효능 표현이다. 또한 미국에서는 지난 2011년부터 △ Sunblock(선블록) △ Waterproof(방수)와 같은 용어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대신 △ Sunscreen(선스크린) △ Water-Resistant 40/80 minutes(40/80분 내수성)와 같은 표현을 써야 한다. D사는 미국 진출 시 패키지와 모든 마케팅 자료에서 ‘선블록’ 대신 ‘선스크린’으로 용어를 바꿔야 했다. 또
아모레퍼시픽이 제 16회 아모레퍼시픽 브랜드 챌린지 공모전을 시작했다. 아모레퍼시픽 브랜드 챌린지는 ‘뉴 뷰티’(New Beauty) 비즈니스를 주도할 글로벌 인재 발굴을 위한 대학생 마케팅 공모전. 2000년대 초반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작, 15회에 이르도록 성황리에 진행된 바 있다. 올해부터는 국내를 넘어 미국과 일본의 대학생까지 참가 대상을 확대해 새롭게 출범한다. 올해 브랜드 챌린지에서는 아모레퍼시픽의 주요 브랜드인 라네즈·에스트라·일리윤 중 하나를 선택해 해당 브랜드의 소셜 미디어 마케팅 혁신 아이디어를 제안하면 된다. 이 과정에서 참가자는 아모레퍼시픽의 핵심 가치인 뉴 뷰티에 대한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브랜드의 성장 전략을 고민하며 뷰티 산업 관련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다. 참가를 원하는 대학생은 3인이 팀을 이뤄 지원서·제안서를 제출하면 된다. 본선은 6~7월 중 온라인으로 진행한다, 결선은 오는 8월 27일 아모레퍼시픽 본사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 국내 대상 1개 팀에는 1천만 원 △ 최우수상 2개 팀에는 각각 500만 원 △ 우수상 2개 팀에는 각각 300만 원의 상금을 준다. 미국과 일본에서 우수한 성과를 보인 총 4개 팀(미국 2팀
화장품 ODM·OEM 전문기업 유씨엘(대표 이지원)이 ‘황근부정근의 배양방법, 이에 의하여 배양된 황근 부정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등록번호 10-2779976)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 황근(Hibiscus hamabo)은 제주 지역 자생 식물. 한때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분류됐으나 복원사업을 통해 해제된 바 있다. 유씨엘은 황근의 부정근 부위로부터 세포주를 구축하고 기내 배양을 통한 활성 성분 강화 기술을 개발해 상품화 가능성을 높였다. 특히 황근 부정근 추출물은 보습·항염·항산화·미백·주름 개선 등 다양한 피부 효능을 입증, 기능성 더마코스메틱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황근의 부정근을 활용한 이 기술은 식물체를 훼손하지 않고 유효 성분을 확보할 수 있어 자생식물의 생태 가치를 보존하면서도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원료를 개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환경친화형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번 특허 등록을 계기로 유씨엘은 제주 천연자원 기반의 차세대 화장품 원료 개발과 글로벌 시장 진출에 더욱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화장품 ODM·OEM 산업에서의 기술력과 차별화한 소재 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뷰티 산업의 새로운 지평을
K-뷰티의 글로벌 무대 장악력이 거세게 불고 있는 가운데 디자인 부문의 파워에서도 힘을 발휘하고 있다. 지난달에 발표한 iF 디자인 어워드에서 LG생활건강(5관왕)과 아모레퍼시픽(3관왕)이 8개 부문의 수상작을 배출한 후 이달에는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에서 수상 소식을 전했다. 이번에는 LG생활건강과 한국콜마가 주인공이다. LG생활건강은 ‘오휘 얼티밋 핏 진 쿠션X호텔 827'의 컬래버레이션 디자인으로, 한국콜마는 친환경 종이 팩 ‘원-핸드펌프 페이퍼팩’(One-hand Pump Paper Pack)으로 수상의 영광을 안은 것.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주최 측은 “LG생활건강의 오휘 얼티밋 핏 진 쿠션X호텔 827의 컬래버레이션 디자인이 프로덕트 부문 본상을, 한국콜마는 원-핸드펌프 페이퍼팩을 출품해 패키징 부문에서 본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진 쿠션 콘셉트에 프랑스 파리 감성 적용 오휘 얼티밋 핏 진 쿠션X호텔827은 청바지처럼 일상에 자연스럽고 편안히 스며드는 핏(Fit)을 지향하는 진 쿠션 콘셉트에 프랑스 파리 감성 소품 숍 호텔 827의 무드를 적용, 조화를 이뤘다. 감성넘치는 레터링과 호텔을 연상시키는 디자인 요소를 패키지에 더해 편안함과 세련된 스타
한국콜마가 화장품 원료·소재 부문에서도 글로벌 최고 수준의 개발력을 인정받았다. 유럽의 화장품 원료 시상식 ‘BSB 이노베이션 어워드’에서 2관왕에 오르는 성과를 거둔 것. 한국콜마는 제 23회 BSB 이노베이션 어워드 2025(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 화장품·기능성 원료(Cosmetics-raw materials) 부문 은상 △ 천연 제품·기능성 원료(Natural products/raw materials) 부문 동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BSB 이노베이션 어워드는 글로벌 화장품 컨설팅 기업 BSB사가 독자 기준으로 선별한 화장품 원료와 화장품을 대상으로 심사, 시상하는 제도다. 전 세계 화장품 업계의 발전과 지식 확산을 목적으로 지난 2003년에 제정, 현재까지 이어오고 있다. 한국콜마는 이번 시상식에서 독자 기술로 개발한 ‘플로라겐’(Flollagen)으로 화장품 기능성 원료 부문에서 은상을 수상했다. ‘몰로락’(Mololock)은 천연 제품 기능성 원료 부문에서 동상을 받았다. 플로라겐은 한국콜마가 특허받은 효소처리 공법을 통해 개발한 식물성 콜라겐 부스팅 성분. 식물의 세포벽을 분해해 피부 탄력과 보습에 도움을 주는 단백질 성분 ‘익스텐신’(Ex
체취의 원인을 개선해 냄새 걱정을 덜어주는 체취 케어 전문 브랜드가 탄생했다. LG생활건강이 새롭게 내놓은 ‘46㎝’가 주인공이다. 사람은 향기만으로도 상대에게 좋은 기억을 남길 수 있다. 서로 간의 향기가 직접 닿는 최대 간격은 약 46㎝ 수준이다. 이런 의미를 담아 LG생활건강은 브랜드 이름을 ‘46㎝’로 짓고 다양한 체취 케어 제품을 선보이는 것. 대표 제품으로 내세운 ‘46㎝ 체취솔루션 약산성 데오드란트 바디워시’는 LG생활건강이 개발한 독자 세정 성분과 기술로 체취 원인 물질을 깨끗이 씻어 내 몸 냄새를 잡는 제품이다. 모공 속 잔여 노폐물과 체모에 붙은 체취 균의 은신처라고 할 바이오필름(미생물 군집)을 함께 녹이는 효소와 녹은 때를 흡착하는 화산송이 성분으로 설계한 복합 세정 포뮬러가 체취의 원인을 해소한다. 체취 유발 바이오 필름 제거 특허 성분과 냄새보다 후각에 더 빨리 도달하는 최신 기술을 적용한 향료로 땀흘려도 냄새걱정 없는 이른바 ‘24시간 체취 방어 효과’를 경험할 수 있다는 회사 측의 설명이다. 특히 샤워 24시간 경과 후 겨드랑이 냄새 개선율은 일반 바디워시 대비 3.7배 높은 것으로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확인했다. 체취를 유발하는
제주 지역과 대학의 동반성장을 선도하게 될 초대 제주RISE 센터장에 박경린 제주대학교 스마트그리드연구센터장이 임명됐다. 제주RISE센터는 고등교육과 지역사회 발전의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전문 지원기관이다. 제주지역 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을 담당하면서 교육과 연계한 제주지역 혁신이 주된 역할이다. 초대 센터장을 맡은 박경린 센터장은 라이즈 시행계획 수립·단위과제 지원 등에 관한 업무를 총괄한다. 지역 내 대학들과 긴밀한 협력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지역에 필요한 인재 양성, 지역산업에 필요한 기술지원, 지역사회에 필요한 교육과 산학협력 문화 발전 등을 선도하게 된다. 박 센터장은 제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데이터사이언스학과 교수로 △ 스마트그리드연구센터장 △ 전기차사업단장 △ 자연과학대학장 △ 취업전략본부장 △ 텔레매틱스 요수기술 연구센터장 등의 보직을 맡으며 산학협력과 연구개발 분야에서 역량과 경험이 풍부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글로벌 더마 코스메틱 브랜드 피지오겔(PHYSIOGEL)이 인기 애니메이션 ‘짱구는 못말려’와 컬래버레이션 한 ‘피지오겔 썬케어 짱구 에디션’을 출시. 짱구는 못말려는 지난 1999년 국내 첫 방영 이후 30여 년 간 두터운 팬 층을 형성한 히트 작품. 178년 역사의 피지오겔은 짱구는 못말려와의 협업으로 고객에게 더욱 친숙하게 다가가고 짱구와 함께 하는 즐거운 여름을 선사하기 위해 이번 에디션을 기획했다. 피지오겔 썬케어 짱구 에디션은 △ 데일리 모이스쳐 테라피 썬로션 △ 데일리 모이스처 테라피 마일드 릴리프 썬스크린 워터프루프 △ 레드수딩 AI 센서티브 썬스크린 어드밴스드를 포함하고 있다. △ 자외선 차단과 더불어 주름 케어·미백 케어 효과의 기능성화장품 레드수딩 AI 썬 멀티밤 △ 자연스러운 피부 톤 업 효과의 레드수딩 AI 톤업 썬스크린 △ 모공 케어 효과의 시카밸런스 포어솔루션 썬스크린 등도 함께 라인업했다. 제품 패키지는 천방지축 뛰어노는 짱구와 가족들의 즐거운 일상을 그려낸 캐릭터 디자인을 적용했다. 피지오겔 관계자는 “온 가족이 쓰기 좋은 저자극 제품을 셀링포인트로 내세우고 있는 피지오겔의 정체성과 짱구는 못말려의 가족 중심 세계관이 서로 부합
한국인체적용시험기관협의회(회장 하재현·이하 협의회)가 ‘2025 코스모뷰티서울 X K-뷰티페스타’와 연계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코스모닝·한국국제전시 후원으로 내달 28일(수) 코엑스 컨퍼런스룸 318호에서 진행하는 화장품 인체적용시험 심포지엄은 ‘화품 인체적용시험의 최신 기술과 응용 사례’를 주제로 식약처·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그리고 협의회 소속 회원사의 연구원들이 연자로 참여해 화장품 인체적용시험 관련 정책·심사 규정 등에 대한 내용을 살피고 최신 기술 동향과 주요 사례 등을 공유할 예정이다. 식약처 화장품정책과에서 화장품 인체적용시험 관련 올해 정부의 정책 방향에 대한 안내를,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화장품심사과는 화장품 인체적용시험 심사를 포함한 관련 규정을 가이드한다. 협의회 소속 회원사들은 모두 5개의 주제를 발표하고 관련 주제에 대한 토론을 진행하게 된다. 이날 발표할 주제의 세부 내용들은 △ 제형별 자외선 차단제의 일반 물과 자연 해수의 지속내수성 자외선 차단지수 비교 시험(황형훈·휴먼피부임상시험센터) △ 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를 통한 피부장벽 손상회복과 일시적 미세혈관 활성 연구(이은경·P&K피부임상연
코스맥스가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맞춤형화장품에 이어 피부 단백체 맞춤형 화장품 개발을 통해 항노화 화장품 시장의 패러다임 전환을 선언했다. 글로벌 화장품 ODM(연구·개발·생산) 전문기업 코스맥스는 최근 프로테오믹스(Proteomics·단백질체학) 기반 정밀의료 기술기업 베르티스와 피부 프로테오믹스 분석 연구 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베르티스는 프로테오믹스을 활용, 암·노화·각종 주요 질병에 대한 지표를 발굴하고 이에 기반한 진단·분석 솔루션을 개발해 온 기술력과 노-하우를 보유한 기업. △ 세계 최초 프로테오믹스 기반 혈액 검사 유방암 조기 진단 솔루션 ‘마스토체크’(MASTOCHECK®) △ 고객 맞춤형 단백체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PASS’(Pan-omics Analysis Service&Solution)가 대표 품목이다. 프로테오믹스란 단백체를 이용해 다양한 인체 지표를 측정하는 학문이자 기술로 최근 바이오 산업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인간의 몸에는 100만개 이상의 단백체가 있어 분석 기술만 뒷받침된다면 각종 질병 인자를 비롯한 다양한 지표를 높은 정확도로 확인할 수 있다. 코스맥스는 베르티스가 보유한 프로테오믹스 기술을 활용해 개
글로벌 럭셔리 뷰티 브랜드 설화수가 미국 최대 백화점 체인 메이시스(Macy’s)에 입점, 미국 럭셔리 뷰티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858년에 뉴욕에서 첫 문을 연 메이시스 백화점은 미국 전역에 420여 곳에 이르는 지점을 보유하고 있다. 설화수는 지난 2월 메이시스 온라인 채널 ‘메이시스닷컴’을 시작으로 3월에는 뉴욕 플러싱(Flushing) 점·LA 산타 애니타(Santa Anita) 점과 사우스 코스트 플라자(South Coast Plaza) 점에 각각 입점을 완료했다. 설화수는 윤조 에센스·자음생 크림·진설 크림 등 대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동시에 입점 매장 확대를 진행할 계획이다 설화수는 지난 2010년 미국 시장에 첫 진출한 이후 꾸준히 미국 뷰티 시장에서 위상을 높여왔다. 미국 시장에서 설화수는 최근 3년 동안 연평균 약 20%에 이르는 성장세를 기록 중이다. 미국 주요 도시 세포라 매장과 디지털 채널을 통해 고객 저변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특히 지난해에는 설화수의 대표 제품인 자음생 크림이 높은 성장세를 보이기도 했다. 관련해 설화수 브랜드 관계자는 “60년 인삼 연구에 기반한 설화수의 홀리스틱 뷰티(Holistic Bea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