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 미국 달라스 무역관 리포트 미국 화장품 시장이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한국산 화장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화장품 시장은 오는 2021년까지 연 5.2% 성장률을 나타내며 258억 달러(29조 3천991억 원)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코트라 미국 달라스 무역관은 미국 화장품 시장은 지난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연평균 4.0%대 성장률을 보였으며 가처분 소득 증가에 따라 화장품 시장은 앞으로 더욱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화장품의 제품별 규모로는 헤어 관련 제품이 24.6%, 스킨케어 제품 22.5%, 색조제품 19.6%, 손톱 · 데오드란트 제품 17.8%, 향수 15.5%로 분석됐다. 미국 화장품 수입 현황 2016년 11월까지 미국의 화장품 관련 제품 수입규모는 112억 7천74만 달러(12조 8천430억823만 원)로 전년대비 4.02% 증가했다. 주요 수입국은 프랑스, 아일랜드, 중국 등이었다. 1위를 기록한 프랑스는 20억4614만 달러(2조3천315억7천653만 원)로 1.09%의 증가세를 보였고 2위 아일랜드는 전년대비 감소세를 보여 20억4279만 달러(2조3천277억5천920만
<투르크메니스탄 개요> 투르크메니스탄의 정식 국명은 투르크메니스탄공화국(Republic of Turkmenistan)이다. 투르크메니스탄은 중앙아시아의 서남부에 위치하고 있다. 서쪽으로는 카스피해, 북쪽으로는 카자흐스탄, 동쪽으로는 우즈베키스탄, 남쪽으로는 이란 및 아프가니스탄과 각각 인접해 있다. 국토의 총면적은 48만 8,100㎢(한반도의 2.2배)이다. 인구는 530만 명이다. 수도는 아쉬하바드(Ashkhabad)로 83만 명이 수도에 거주한다. 투르크메니스탄의 주요 민족은 투르크멘인(85%), 우즈베크인(5%), 러시아인(4%), 기타(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교는 이슬람교(수니파 89%), 동방정교회(9%), 기타(2%) 등의 분포를 보인다. 공식 언어로는 투르크멘어 72%, 러시아어 12%, 우즈베크어 9%, 기타 7% 다. 화폐단위는 마나트(Manat)며 1 달러는 3.5 마나트다. 주요 천연자원으로는 천연가스, 원유, 유황, 요오드, 시멘트 등이 풍부하다. <편집자 주> 이번 한국-투르크메니스탄 수교 25주년은 어떤 의미가 있는지요? 1992년 2월 수교 이래 양국은 성공적인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짧은 기간에도 불구
'코스모닝'에서는 중국에서의 수익성 확보가 불안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한국 화장품 시장의 새로운 돌파구로 각광받는 '무슬림'(할랄) 시장에 한국 화장품 업체가 진출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할랄인증부터 할랄시장현황, 현지 진출방안 등을 현지(터키, 키르기즈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등) 한국 대사, 할랄 선진국 화장품 기업, 그리고 국내 할랄시장 전문가들로부터 직접 의견을 듣고 한국 화장품 산업의 ‘무슬림시장’ 진출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했다. 이번에는 뷰티와 패션의 선진국 스페인에서 최초로 할랄인증을 받은 화장품 연구·개발·생산 전문기업 Laboratorios VALQUER를 소개한다. <편집자 주> 스페인內 화장품 기업 최초 할랄인증 획득, 무슬림 국가 진출에 박차 Laboratorios VALQUER 연구소(대표 José Luis Cerrillo·이하 Valquer)는 1975년 설립된 화장품 연구·개발 및 뷰티 전문 업체다. 화장품을 비롯한 헤어케어, 향수 등을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현재 중국, 대만 등 아시아와 멕시코, 베네수엘라 등 남미까지 사업 영역을 확대하며 세계적으로 제품력과 기술
중국 의존도가 높은 국내 화장품 시장이 중국 정부의 제제 강화로 중국에서의 수익성 확보가 불안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내년 중국의 행보에 따라 성장동력을 잃을 수도 있는 국내 중소 업체들은 침체된 한국 화장품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돌파구를 찾기 위해 바삐 움직이기 시작했다. 그 중 가장 주목받고 있는 시장이 중동과 터키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는 무슬림, 즉 ‘할랄화장품’ 시장이다. 전 세계 73 억명중 무슬림 인구가 17 억명이다. 이는 전 세계 인구의 23%를 차지하는 비율이다. 2020년에는 세계인구 25%, 즉 1/4이 무슬림 인구가 될 전망이다. 이에 ‘코스모닝’에서는 무슬림(할랄) 시장에 한국 화장품 업체가 진출할 수 있도록 무슬림 국가 진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할랄인증부터 할랄시장현황, 현지 진출방안 등을 현지(터키,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등) 한국 대사, 할랄 선진국 화장품 기업, 그리고 국내 할랄시장 전문가들로부터 직접 의견을 듣고 한국 화장품 산업의 '무슬림시장' 진출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했다. 정치, 경제, 문화 등 각 분야에서 우리와의 협력 가능성이 큰 나라중 하나인 키르기스스탄의 정병후 대사
① 한국 화장품 시장에 찾아온 ‘할랄’이라는 기회 - '케르반' 시난 오즈투르크 사장 한국 생활 20년차에 접어든 터키인 시난 오즈투르크(Sinan Öztürk)는 국내 최대 터키음식 레스토랑 체인 ‘케르반’(Kervan)의 사장이다. 케르반은 이태원점을 시작으로 분당점, 코엑스점 등을 오픈하며 한국의 할랄레스토랑 시장을 이끌고 있다. 국내 케밥 프랜차이즈 브랜드 '미스터케밥'(Mr.Kebab)도 그의 작품이다. 오즈투르크 사장이 무슬림으로서 한국 생활을 하며 느낀 한국의 할랄시장과 진출 방안등에 대한 솔직한 얘기를 직접 들어봤다. 오즈투르크 사장이 꺼낸 첫마디는 “이 거대한 할랄 시장을 눈앞에 두고도 쉽게 진출을 결정하지 못하는 한국 기업들이 상당히 많다”였다. 그는 왜 할랄 시장이 거대한지에 대한 설명으로 인터뷰를 시작했다. 전 세계 인구가 73 억명 이며 그 중 무슬림 인구는 17 억명이다. 이는 전 세계 인구의 23%를 차지하는 비율인 것이다. 이 거대한 시장은 지금도 계속 규모가 커지며 2020년에는 세계인구 25%, 즉 1/4이 무슬림 인구가 될 전망이다. 할랄시장은 비단 중동, 터키, 동남아시아 등 국가에만 국한되는 얘기가 아니다. 예를 들어
Tanamera는 말레이어로 '붉은 지구'를 뜻한다. 열대 우림의 풍부한 토양에서 우수한 성분을 공급받는 다양한 천연 원료로 만들어지는 Tanamera의 제품에 가장 어울리는 이름이다. 고품질, 안전, 그리고 친환경을 경영 철학으로 유럽, 중동 및 미주 지역 국가에 스파 관련제품은 물론 전통 말레이 트리트먼트 기술도 수출하고 있는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말레이시아 뷰티·스파 브랜드다. 지속적인 원료연구와 기술개발을 토대로 성장하고 있으며 현재 전 세계 15 개국 이상에 판매되고 있다. Tanamera 제품 콘셉트는 '아시아 열대성 스파 트리트먼트'에서 영감을 얻었다. 모든 제품은 인간친화적, 지구친화적, 그리고 동물친화적 요인을 고려해 개발되고 있으며 인조착색제, 화학 활성제, 방부제 및 기타 유해 성분이 일체 사용되지 않는다. 물론 모두 할랄의 규율에 따라 제조 생산되는 할랄화장품이다. Tanamera 관계자는 “현재 전 세계 유통되는 화장품은 독성화학 물질과 합성성분이 포함되어 있는게 적지 않다”며 “할랄 규율을 기반으로 천연 원료를 사용해 생산되는 Tanamera가 고객과 환경 모두에게 안전하고 건강한 화장품이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한편 Tanamer
100년 화장품 기업, 할랄로 새로운 100년 연다. 산·학·관 협력으로 탄생한 사이타마현 최초 할랄화장품 브랜드 ‘Melati’ 이시다코쇼(ISHIDA KOSHO·石田香粧)의 역사는 1915년 작은 화장품 가게를 열면서 시작된다. 지금으로부터 100 년 전이다. 소규모 가내 수공업으로 시작했지만 일본 특유의 장인 정신을 바탕으로 ‘저렴하고 양질의 상품을 파는 가게’로 고객들의 신뢰를 받으며 성장했다. 창업후 100년, 2016년 8월 이시다코쇼는 할랄 인증 화장품 ‘Melati’(멜라티) 시리즈를 대중에게 선보인다. 사이타마현에서는 최초로 산·학·관이 공동으로 탄생시킨 ‘Made in Japan’ 할랄 인증 화장품이다. 멜라티는 이슬람 율법에 따라 돼지성분과 알코올을 일절 배제해 만든 천연 화장품이다. 사이타마현에서 규정한 ‘할랄 화장품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에 맞춰 원료와 성분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까지 매우 엄격한 검사 과정을 통해 생산된다. 올 7월 종교 법인 ‘일본이슬람 문화센터’에서 할랄 인증을 획득했고 사이타마현 ‘할랄 화장품 원료 등 연구 개발 컨소시엄’에서 공식 할랄 인증 화장품이 됐다. ‘멜라티’ 개발
H&N(HALAL&NATURAL·대표 사토히토시·佐藤 齊)는 일본 내 할랄화장품 및 OEM 전문 업체다. 2015년 설립된 작은 회사가 왜 할랄화장품 시장에 관심을 가지고 진출하게 되었는지 궁금했다. 가깝고도 먼나라 일본의 소상공인으로 할랄시장에 도전장을 내민 H&N의 사토히토시 대표로부터 이야기를 들어봤다. H&N은 어떤 회사인가? (주)H&N은 ‘HALAL’과 ‘NATURAL’입니다. 2015년 설립된 할랄 화장품 화장품 전문 기업으로 토쿄 경제의 중심 ‘긴자’에 위치해 있습니다. BB크림, 에센스 등 할랄화장품을 제조와 할랄화장품 OEM 사업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시세이도와 고세 보다 먼저 할랄 화장품을 생산하며 차후 일본제 할랄 화장품의 개척자가 되자는 마음으로 창업을 하게 되었습니다. H&N이 생각하는 할랄이란? 전세계 57개국 18 억여명의 인구가 무슬림이며 이들의 생활에 꼭 필요한 모든 제품을 일컬어 할랄이라 합니다. 할랄은 이제 단순히 무슬림만을 위한 제품에서 벗어나 모든 사람들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안전하고 건강한 제품들을 총칭하는 단어로 성장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왜 할랄 화장품 전문 기업이 되었
인증제, 예상보다 쉬워…새로운 경쟁요소로 파악해야 김재흥 할랄산업진흥원 대표는 최근 한-중 양 간의 외교상황에 의한 불안 상황 고조와 침체 국면을 맞고 있는 중국 시장에 대한 새로운 대안 또는 출구 전략의 일환으로 ‘할랄’을 제시했다. 최근 국내 소비자들은 값비싼 유기농 제품을 선택하는 소비성향을 보이고 있다. 안전하고 건강한 제품을 찾는다는 의미다. 같은 맥락으로 최근 중국에서는 다른 제품에 비해 고가에 형성돼 있는 ‘할랄’ 제품이 서서히 인기를 얻고 있다. 중국인들 사이에서도 할랄 인증 제품이 안전하고 좋은 제품이라는 인식이 보편화 되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경우 현재 1억여 명(공식통계 2천400만 명) 가량의 무슬림이 살고 있다. 무슬림을 중심으로 일반 중국인에 이르기까지 할랄은 대중화되기 시작했고 이에 따라 할랄 시장 규모도 점점 커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국 화장품 기업이 이미 가지고 있는 중국 위생행정허가에 ‘할랄 인증’이라는 새로운 무기를 장착한다면 중국 틈새시장의 문을 다시 여는 황금열쇠를 쥐게 될 것”이란 것이 김 대표의 지론이다. 김 대표는 “현재 중국 정부는 한국 제품이 들어설 문을 더욱 단단히 걸어 잠그는 중이다. 이때 주먹
아모레 2억 불·코스맥스 1억 불·코스메카 2천만 불 수상 K-코스메틱 신화가 단순히 K-팝과 한류를 등에 업은 거품이 아니며, 각 기업들의 세계화를 위한 활동과 해외시장 개척 노력이 ‘구호’에만 머물렀던 것이 아닐 뿐만 아니라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시장공략을 통해 신화를 창조하고 있음이 증명됐다. 지난 5일 제 53회 무역의 날 기념식에서 아모레퍼시픽이 2억 달러, 코스맥스는 1억 달러, 그리고 코스메카코리아가 2천만 달러 수출의 탑을 수상함으로써 이 같은 국내 화장품 기업들의 활약상을 여실히 보여줬다. 아모레퍼시픽은 화장품 업계 최초의 2억 달러 수출을 기록했고 코스맥스는 지난 해 5천만 달러에서 올해 두 배 성장한 1억 달러 수출 달성에 성공했으며 코스메카코리아 역시 지난 해 1천만 달러보다 두 배가 늘어난 2천만 달러 수출 기록을 세웠다. 이날 수출의 탑 수상한 기업들의 활약상을 한 눈에 정리했다. <편집자 주> 아모레퍼시픽, 전년보다 45% 늘어 2억8495만 달러 달성 (주)아모레퍼시픽(대표이사 서경배·http://www.amorepacific.com)은 국내 뷰티 기업 최초로 2억 달러 수출의 탑을 수상했다. 아모레퍼시픽의 최근 1년
지난해 한국 화장품 2564만불 수입…4년간 58% 성장 加 보건부, 화장품 규제 계획안 발표 한국과 캐나다의 FTA 발효 이후, 한국산 화장품의 캐나다 수출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한국산 화장품 수입규모는 지난해 기준 2천564만 달러(약 300억5천만 원)로 지난 4년간 57.9%대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한국산 제품은 다국적 기업이 소재한 미국,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등의 뒤를 이어 전체 수입시장의 7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산 화장품 제품의 92%는 로션, 수분크림, 마스크 팩 등으로 스킨케어 제품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 같은 내용은 코트라 캐나다 토론토 무역관의 현지 리포트를 통해 나타난 것이다. FTA를 통한 가격경쟁력 우위 확보 지난해 기준 캐나다 화장품 시장 수입규모는 13억 달러(약 1조5천236억 원)이며 지난 4년간 연평균 7.7% 성장하고 있다. K-뷰티 트렌드와 맞물려 한국-캐나다 FTA(2015.1.1.) 발효 이후 한국산 화장품에는 특혜관세율이(KRT; Korean Tariff) 부과돼 여타 국가에 비해 가격경쟁력에서 유리한 위치를 확보하고 있다. 화장품의 경우 3년에 걸쳐 관세가 단계적으로 철폐될 예정으로
코스모프로프 아시아 홍콩 2016, 한국 기업 활동 상황 516개 한국기업 치열한 홍보·상담 활동 전개해 기존 시장 단단하게, 새 시장은 과감하게 도전 지난 15일부터 18일까지 홍콩 아시아월드엑스포와 홍콩 컨벤션&엑시비션센터에서 열린 ‘코스모프로프 아시아 홍콩 2016’은 전 세계 49개국, 2천700여개 업체가 참가한 가운데 역대 최대 규모로 치러졌다. 아시아 화장품 강국으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다져가고 있는 한국도 무려 516개 기업이 단체·지자체 별로 한국관을 구성하거나 독립 부스로 참가함으로써 ‘K-뷰티·K-코스메틱’을 앞세워 아시아 시장을 넘어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치열한 활동을 펼쳤다. 이번 코스모프로프 아시아 홍콩에서 전개한 한국기업들의 활약상을 한 번에 모아본다. <편집자주·관련기사 코스모닝 제 15호(11월 28일자) 4·5면 참조> 웰코스-과즙 스킨케어 ‘후르디아’로 시장개척 ‘효연’ ‘터치테라피’ 등 다양한 스킨·바디 케어 브랜드를 보유한 웰코스(대표 김영돈·http://www.welcos.com)는 새로운 콘셉트의 과즙 스킨케어 브랜드 ‘후르디아’로 새로운 시장개척을 위한 활동을 전개했다. 올해 론칭한 후르디아는 웰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