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글로벌 화장품 시장 동향 분석 세미나’ 올 한해 우리나라 화장품 산업과 관련해 일본·중국·동남아시아 중심의 아시아 지역의 주요 이슈는 △ 일본에서의 한국 화장품 인기 상승과 2022년 이후 수입국 1위 유지 △ 중국의 시장 구조 개편(유럽·미주 중심의 해외 브랜드 VS 중국 로컬 브랜드)·품질 규제 심화·남성 화장품 시장의 성장 △ 베트남-국가 화장품법 전면 개정 진행(2025년 발표 예정)·태국-부진한 경기 불구 뷰티 매출 급등(립스틱 효과)·인도네시아-정부 주도 할랄 화장품 대표 시장으로 육성 의지 강화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미국·영국·UAE·사우디아라비아 등 구미·중동 시장의 경우에는 △ 다양성·형평성·포용성 키워드와 인종에 따른 트렌드 선호(미국) △ 안전성 관련 규제 강화·제품은 물론 오인 가능성 광고 관리 강화(영국) △ 할랄 화장품에 대한 안전 인식 강화·비건 K-뷰티 인기 상승(UAE·사우디아라비아) 등이 주목할 만한 이슈였다. 공통 이슈로는 △ 중동 지역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과 효과에 대한 추적 관리 △ 위조·불법 화장품 유통 문제 부각 △ 노화 방지 성분에 대한 인기와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 예방을
올 한 해 글로벌 화장품 시장 동향과 트렌드에 대한 분석을 통한 종합 결산과 이를 기반으로 2025년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 수립 방향을 제시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재)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조신행· www.kcii.re.kr ·이하 연구원)은 “2024년 한 해 동안 진행한 해외 시장 정보 제공 사업의 결과를 공유하는 ‘글로벌 화장품 시장 동향 분석 세미나’를 오는 28일(목) 코엑스 컨퍼런스룸(남) 327호에서 갖는다”고 밝혔다. 연구원이 진행하는 주요 지원 사업에 대한 가이드와 함께 △ 해외 시장 동향·트렌드 정보 조사 결과(아시아·구미·중동 지역 중심) △ 글로벌 마케팅 트렌드와 활용 방안 △ 미국·EU·일본 등 주요 국가(지역) 화장품 인허가 규제 현황(규정 변화와 서류 준비 주의 사항) △ 중국 화장품 인허가 규제 현황(서류 준비 주의 사항과 주요 사례) △ 특허·상표 등 지식재산권 분쟁 사례·대응 방안에 대한 내용을 핵심 내용으로 다룬다. 연구원은 현재 △ 화장품 기업의 해외 수출을 위한 구비 서류와 인허가 절차 등을 담은 화장품 수출 가이드북 △ 해외 시장 트렌드 및 바이어 정보 등을 담은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를 화장품 산업 정보 포털 ‘
제 13회 글로벌 화장품 시장 동향 분석 세미나 올 한 해 글로벌 화장품 시장을 휩쓴 소비 이슈는 △ 클린뷰티 인기 고조에 따른 용어 사용에 대한 엄격성 동반 상승 △ IT기술 접목에 따른 초개인화 현상 △ 다기능 선케어(선스크린 등) 제품 일반화 △ 기능성 샴푸 △ 메이크업 트렌드 발생지로서의 ‘틱톡’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미국·프랑스·중국·일본 등 주요 4국가에서 K-뷰티는 글로벌 한류의 영향을 등에 업고 확산세를 이어갔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내용은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이재란· www.kcii.re.kr ·이하 연구원)이 오늘(7일)과 내일(8일), 이틀에 걸쳐 올해 진행한 글로벌 화장품 시장 동향 리포트를 포함한 사업 수행 성과를 공유(SETEC 컨벤션홀)하는 ‘제 13회 글로벌 화장품 시장 동향 분석 세미나’를 통해 정리한 사실이다. 이재란 원장은 세미나 개회에 앞서 “그동안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 증가세와 점유율을 압도했던 중국 시장의 위축으로 일시 위기감이 돌았던 것이 사실이지만 우리나라 기업들이 각고의 노력을 통해 일년 만에 이를 극복해 가고 있는 현실은 참으로 다행스럽고 찬사를 보낼 일”이라고 전제하면서 “이틀에 걸쳐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