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레알프로페셔널이 10월 29일부터 30일까지 서울 세빛섬에서 헤어쇼 ‘엘리베이트 서울’을 열었다. ‘엘리베이트 서울’(Elevate Seoul)은 한국‧일본‧중국‧대만 등 아시아의 헤어아티스트와 미용실 경영자 들이 참여한 행사다. 이들은 글로벌 헤어산업의 정보와 트렌드를 공유했다. 10월 29일에는 살롱 비즈니스 교육을 진행했다. 강윤선 한국준오 대표, 백순식 순시키 대표, 원진영 어낵 대표, 아코 무라마츠 카키모토 암즈(Kakimoto Arms) 경영진 디렉터, 윤지영 비즈니스 트레이너 등이 강연했다. 이들은 미용실 경영에 필요한 △ 팀 운영법 △ 고객 유치 전략 △ 고객 경험 가치화 △ 서비스 기획 등을 제안했다. 이어 헤어디자이너 마스터 클래스가 열렸다. K-팝 스타를 담당하는 디자이너들이 스타일링 비법과 실전 팁을 전수했다. △ 꽃비 위위아뜰리에의 원장 △ 무진 커뮌 원장 △ 윤서하 키츠 원장 등이 무대에 올랐다. 아시아 대표 헤어아티스트들의 강연과 쇼도 펼쳐졌다. 박제희 꼼나나 대표는 K-트렌드 쇼를 총괄 지휘했다. 한국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헤어‧패션 토털 쇼를 선보였다. 마지막으로 로레알프로페셔널의 헤어 경연대회인 ‘스타일 앤 컬러 트로피 노스
로레알 스킨수티컬즈가 10월 30일부터 11월 2일까지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아트홀에서 열린 ‘컬리뷰티페스타 2025’에 참여했다. 스킨수티컬즈는 행사장에 부스를 열고 대표 제품을 소개했다. 또 브랜드의 30년 항산화 연구 철학과 과학적 주름개선 솔루션을 알렸다. ‘브랜드 연혁 존’에선 쉘던 핀넬(Sheldon Pinnell) 박사의 항산화 연구를 제시했다. 그가 비타민C의 피부 흡수 원리를 규명해 ‘C E 페룰릭’을 개발한 과정을 연대기로 밝혔다. 국제학술논문 25건과 인체적용시험 40건을 바탕으로 브랜드의 30년 피부과학 전문성을 공개했다. ‘항산화 실험 존’에선 노화개선 메커니즘을 시각적으로 나타내 시선을 모았다. ‘주름 개선 솔루션 존‘은 ‘피-티옥스’(P-Tiox) 제품을 체험하는 공간이다. 방문객은 눈가 잔주름, 팔자 주름 등 고민 부위에 제품을 테스트했다. 스킨수티컬즈에 따르면 팝업매장 방문객의 89%가 여성으로 나타났다. 20대(29%)와 30대(50%)가 주를 이뤘다. 방문객들의 피부고민 약 70%가 눈가와 팔자 주름에 집중됐다. 회사 측은 “스킨수티컬즈의 항산화 연구력과 브랜드 철학을 알렸다. 과학적 근거를 지닌 효능 중심 제품을 개발해
로레알코리아가 뷰티 리터러시 교육을 진행했다. 뷰티 리터리시(Beauty literacy)는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쓸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로레알코리아는 국가평생교육진흥원과 △ 생활과학 문해교과서 개발 △ 유튜브 콘텐츠 제작 △ 현장 실습 등을 실시했다. 이 회사는 3월 ‘화장품으로 배우는 생활과학 문해교과서’를 펴냈다. 이 교과서는 △ 올바른 셀프 염색법 △ 두피와 모발 관리법 △ 자외선차단제 바로 알기 △ 기본 스킨케어 루틴 △ 피부고민별 제품 등을 담았다. 교과서는 전국 94개 기관에 약 5천권 보급됐다. 올해 말까지 2천400권을 추가 공급할 예정이다. 아울러 로레알코리아는 뷰티 리터리시 교육 콘텐츠를 제작했다. 영상은 스킨케어와 헤어케어 두 편이다.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유튜브 성인문해교실 ‘모범생’ 채널에서 볼 수 있다. 스킨케어 편에선 기초 화장품의 종류와 사용법, 올바른 세안법, 자외선 차단법 등을 알려준다. 헤어케어 편에서는 헤어 제품 종류와 사용법, 두피·모발 진단, 안전한 셀프 염색법 정보를 소개했다. 현장실습도 열었다. 거창 아림고등학교 학생과 성인문해교육 학력인정학습자 21명을 서울 삼성동 로레알아카데미에 초청해 헤어
로레알코리아가 ‘화장품으로 배우는 생활과학 문해교과서’를 개발했다. ‘화장품으로 배우는 생활과학 문해교과서’는 성인 문해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탄생했다. 국가평생교육진흥원과 공동 기획했다. 이번 문해교과서는 △ 올바른 셀프 염색법 △ 두피·모발 관리법 △ 자외선차단제 바로 알기 △ 기본 피부관리 루틴 △ 피부 고민에 따른 제품 등으로 구성했다. 로레알코리아는 ‘2025 문해교육 컨퍼런스’도 진행했다. 8월 28일부터 29일까지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문해교사 약 300명을 대상으로 강의했다. 안정애 키엘 매니저와 이윤정 디렉터가 스킨케어와 헤어케어를 주제로 교육했다. 안정애 매니저는 피부관리법, 화장품 종류별 사용법 등을 설명했다. 이윤정 디렉터는 모발과 두피의 구조, 염색 효과, 헤어케어 원리 등을 소개했다. 로레알코리아는 이 컨퍼런스에서 교육부장관 유공 표창을 받았다. 생활과학 문해교육 활동에 참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아울러 로레알코리아는 ‘전국 성인문해교육 시화전’을 3년 연속 후원하고 있다. 시화전은 9월 문해의 달을 기념해 교육부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 매년 개최하는 행사다. 로레알코리아는 3년 동안 시화전에 1억5천만원 상당의 제품을 후원했다.
로레알코리아가 16일 서울 신천동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에서 ‘제24회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시상식을 개최했다. 이번 시상식에서 학술진흥상은 임미희 한국과학기술원 화학과 교수가 차지했다. 임 교수(금속신경단백질화학 연구단장)는 알츠하이머 발병 원인과 유발인자를 연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신진 여성과학자에게 수여하는 펠로십 부문에는 △ 강미경 고려대 보건환경융합과학부 조교수 △ 전지혜 경상국립대 생명과학부 조교수 △ 조유나 부산대 의과대학 연구교수 △ 이정현 국립공주대 환경교육과 조교수 등을 선정했다. 로레알코리아는 학술진흥상‧펠로십 수상자에게 연구지원비를 각각 3천만원, 7백만원 제공한다. 시상식에 이어 패널토크가 열렸다. ‘글로벌 무대를 향한 한국의 여성과학자들의 여정’을 주제로 다양한 의견이 나왔다. 참석자는 1998년 로레알-유네스코 세계여성과학자상을 국내 최초 수상한 유명희 박사, 2019년 한국여성과학자상 펠로십을 받은 김필남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임미희 교수, 강미경 교수 등이다. 이들은 글로벌 연구활동에 대한 경험과 인사이트를 나눴다. 후배 여성과학자를 위한 조언도 전달했다. 사무엘 뒤 리테일 로레알코리아 대표는 “올해 수상자들은 끊
로레알이 9월 30일까지 ‘지속가능성 혁신 액셀러레이터’ 참가기업을 모집한다. ‘지속가능성 혁신 액셀러레이터’는 기후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출범했다. 로레알은 5년 동안 예산 1억 유로를 투입해 지속가능성 프로그램을 가동할 예정이다. 이 프로그램은 △ 저탄소와 기후 스마트 솔루션 △ 수자원 회복탄력성 솔루션 △ 자연 기반 솔루션 △ 대체 원료와 소재 △ 화석연료 기반 플라스틱과 플라스틱 폐기물 제거 △ 순환성 및 자원 관리 △ 지속가능하고 포용적인 비즈니스 모델 등으로 세분화했다. 로레알은 분야별 혁신 전략을 보유한 기업을 뽑아 컨설팅‧멘토링을 실시하고 시범 사업과 투자 기회를 제공한다. 나아가 로레알은 케임브리지대학교 지속가능성 리더십 연구소(CISL)와 개발한 전략을 국내 기업에게 전수한다는 목표다. 에즈기 바르세나스 로레알 최고 기업책임자는 “뷰티산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뷰티산업을 긍정적 방향으로 이끌어갈 혁신 파트너들의 참여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참가 희망기업은 CISL 사이트에서 ‘로레알 지속가능성 혁신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 모집 공고’(L'Oréal Sustainable Innovation Accelerator)를 확인 후
로레알이 12일 ‘제27회 로레알-유네스코 세계여성과학자상’ 시상식을 열었다. ‘로레알-유네스코 세계여성과학자상’은 5개 대륙을 대표하는 여성 과학자 5명을 선정하는 제도다. 27주년을 맞은 올해는 물리학‧수학‧컴퓨터 과학 분야 과학자들이 영예를 안았다. 수상자는 △ 프리실라 베이커(PRISCILLA BAKER)([아프리카‧아랍/화학) △ 마리아 테레사 도바(Maria Teresa Dova)(남미‧카리브해/입자‧장(場) 물리학) △ 바버라 핀레이슨-피츠(Barbara Finlayson-Pitts)(북미/환경과학) △ 샤오윈 왕(Xiaoyun Wang)(아시아‧태평양/응용수학) △ 클라우디아 펠저(Claudia Felser)(유럽‧응집물질물리학) 등이다. 이들에게는 각각 상장과 상금 10만 유로가 제공됐다. 세계여성과학자상은 로레알과 유네스코가 주관한다. 유네스코에 따르면 세계 과학자 중 여성비율은 31.1%다. 노벨상 수상자 가운데 여성은 1901년 이후 25명에 불과하다. 폴린 아베넬-람(Pauline Avenel-Lam) 로레알재단 최고책임자는 ”인로는 기후 변화와 디지털 보완 등 다양한 위기에 직면했다. 여성 과학자의 역할이 커져야 한다. 올해 수상자들
로레알코리아가 6월 16일 세계 리필의 날을 맞아 기획전을 연다. 랑콤‧키엘 등 12개 브랜드가 참여한다. 이 회사는 오늘(16일)부터 30일까지 쿠팡 알럭스(R.LUX)에 리필 제품을 선보인다. 품목은 △ 랑콤 제니피끄 세럼 △ 키엘 울트라 훼이셜 크림 등이다. 리필 제품을 할인하고, 사은품을 제공한다. 네이버에서도 랑콤‧키엘‧입생로랑‧아르마니 리필 기획전을 진행한다. 에즈기 바르세나스(Ezgi Barcenas) 로레알 기업책임자는 “리필을 뷰티업계의 새 기준으로 정착시키며 자원순환을 활성화할 전략이다. 스킨케어‧메이크업‧헤어케어‧향수 분야의 리필 제품확대해 지속가능한 소비문화를 만들겠다”고 전했다. 로레알 지난 5년 동안 리필 가능한 제품 수를 17배 늘렸다. 이를 통해 제품의 포장 강도를 11% 감축했다. 랑콤 ‘제니피끄 얼티미트 세럼’ 리필은 본품 대비 유리 사용을 53% 줄였다. 키엘 ‘울트라 훼이셜 크림’ 리필 파우치는 본품에 비해 플라스틱 사용량이 61% 감소했다.
로레알이 엔비디아와 손잡고 AI 프로그램을 확대한다. 고도화된 AI 기술을 접목해 고객 뷰티경험을 혁신할 전략이다. 로레알은 11일부터 14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비바 테크놀로지’에 참석했다. ‘비바 테크놀로지’(Viva Technology, 이하 비바테크)는 유럽 대표 기술 박람회다. 이 행사에서 로레알은 뷰티 혁신 포트폴리오를 공개했다. AI 반도체기업 엔비디아(NVIDIA)의 AI 엔터프라이즈 플랫폼을 활용해 창의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는 목표다. 물리적 AI와 생성형 AI를 융합해 뷰티의 경계를 넓혀나갈 예정이다. 특히 로레알 생성형 AI 콘텐츠 플랫폼 ‘크리에이테크’(CreAltech)에 엔비디아 AI 엔터프라이즈 플랫폼을 결합, 제품의 3D 디지털 기능을 확장한다. 아울러 로레알은 비바테크에서 뷰티의 새 지평을 열 기술을 발표했다. △ 장수 △ 지속가능성 △ 뷰티 서비스 △ 창의성과 문화 등 네 가지 분야에서다. 장수 분야에선 노화 지표를 통해 장수를 사전 예방하는 장수통합과학™을 제시했다. 한국 기업 나노엔텍과 개발한 피부 분석기 ‘랑콤 셀 바이오프린트’와 화장품 흡수율을 높이는 ‘랑콤 레네르지 나노 리서페이서 | 400 부스터’ 등을 선
로레알코리아가 11일까지 ‘2025 하반기 채용 전환형 인턴’을 모집한다. 모집 부문은 △ 마케팅 △ 이커머스 △ PR‧브랜드 커뮤니케이션 △ 오퍼레이션 △ 재무 △ CRM △ 프로덕트 이노베이션 △ 연구혁신(R&I) 등 13개 직군이다. 지원 자격은 △ 근무 기간 인턴십 참여 가능한 자 △ 해외여행이나 건강에 결격 사유가 없는 자 △ 2026년 2월 이후 입사 가능한 자 등이다. 인턴 희망자는 로레알코리아 인턴 채용 웹페이지를 방문해 이력서와 자기소개 영상을 내야 한다. 로레알코리아는 4일 채용 박람회 ‘로레알 커리어 라운지’를 개최한다. 사무엘 뒤 리테일 로레알코리아 대표와 인사부문장, 브랜드 디렉터 등이 기업 소개와 직장생활 경험을 들려준다. 한국 인재의 세계적 경쟁력도 소개한다. 로레알 역사와 기업 문화를 알 수 있는 체험 행사도 연다. 참석자가 인턴십을 지원할 경우 서류전형 가산점을 준다. 정효주 로레알코리아 인사 부문장은 “청년인재를 발굴해 글로벌 뷰티 전문가로 육성하고 있다. 인턴에 뽑히면 서울 삼성동 로레알코리아 본사에서 인턴으로 근무할 수 있다. 기간은 7월 중순부터 내년 1월 중순까지 6개월 동안이다”고 말했다.
‘2025 로레알 브랜드스톰’ 국내 결선에서 헤어리 스타일즈팀이 최종 우승했다. 헤어리 스타일즈(Hairy Styles) 팀은 남성형 탈모기기를 선보였다. 정밀 두피 스타일링으로 탈모해결법을 제안해 혁신성을 인정 받았다. 로레알코리아는 4월 30일 2025 로레알 브랜드스톰 국내 결선을 개최했다. 33주년을 맞은 이 행사는 글로벌 아이디어 공모전이다. 매년 18세부터 30세 사이 청년을 대상으로 경쟁력있는 아이디어를 모집한다. 올해 주제는 ‘로레알 그룹 컨슈머 코스메틱 사업부의 남성 뷰티&케어 아이디어’다. 전세계 청년 약 24만명이 참가해 기술‧제품 분야의 아이디어를 선보였다. 우승을 차지한 헤어리 스타일즈팀은 현채은‧유하영‧김서연 씨로 구성됐다. 이 팀은 프랑스 파리 본사에서 열리는 국제 결선에 한국 대표로 참가한다. 로레알코리아가 항공‧숙박‧비자 등을 지원한다. 헤어리 스타일즈팀 소속 현채은 씨는 “2월 브랜드스톰 계절학기에 참여해 IT‧데이터‧마케팅‧AI 교육을 이수했다. 아이디어를 재정비해 6월 국제대회에서 의미있는 결과를 내겠다”고 말했다. 사무엘 뒤 리테일 로레알코리아 대표는 “올해 브랜드스톰에선 다채로운 남성 뷰티&케어 아이디어가
로레알이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가 실시한 환경평가에서 AAA등급을 받았다. 로레알은 △ 기후변화 대응 △ 산림보호 △ 수자원 보호 3개 부문에서 9년 연속으로 A등급을 획득했다. 이 회사의 환경경영 성과는 △ 전 세계 사업장에서 재생에너지 91% 사용 △ 공장‧물류센터에서 완제품당 용수 취수량 54% 감축 △ 지속가능한 바이오 원료 활용 등이다.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arbon Disclosure Project)는 국제 지속가능경영 평가기관이다. 기후변화 재무정보 공개협의체(Taskforce for Climate Related Financial Disclosure)의 기준을 따른다. 글로벌 환경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하고 있다. 니콜라 이에로니무스(Nicolas Hieronimus) 로레알 대표는 “지속가능성을 사업모델에 내재화해 환경경영을 강화하고 있다. ‘미래를 위한 로레알’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생물다양성을 보존한다. 지구와 인간의 평화로운 공존을 위해 기후위기를 해결해 나가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