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소비자의 78%는 최근 6개월 동안 화장품 지출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을 온라인에서 구매하는 소비자가 전세계적으로 증가했다. 올해 1분기 뷰티제품의 온라인 매출은 전년 대비 11% 늘었다. 이는 커머스 미디어기업 크리테오가 발표한 ‘2024년 뷰티 & 헬스 트렌드 인사이트’ 보고서에서 나왔다. 보고서는 세계 뷰티업계의 온라인 쇼핑 트렌드를 분석했다. 한국을 비롯한 미국‧영국‧프랑스 등 세계 소비자 6,755명을 설문조사했다. 1분기 세계 화장품 온라인 매출 11.3%↑ 올해 1분기 세계 뷰티&헬스 분야의 온라인 매출은 두 자릿수 신장했다. 2023년 1분기보다 뷰티제품의 온라인 트래픽은 14.3%, 온라인 거래는 11.3% 증가했다. 소비자의 디지털 플랫폼 선호 현상이 뚜렷해진 가운데 뷰티가 온라인 리테일 트렌드를 이끌고 있다. 미주 지역에선 뷰티제품의 온라인 매출이 17.1% 늘어 가장 큰 폭으로 성장했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이 8.2%로 뒤를 이었다. 이는 데스크톱보다 모바일 기기를 선호하는 소비자가 많아지는 추세를 반영한다. 올해 1분기 모바일 거래는 2022년 1분기 대비 4% 신장했다. 브랜드 윤리성‧지속가능성 검색 응답
오픈서베이(대표 황희영)가 ‘뷰티 카테고리 리포트 2022’를 펴냈다. 코로나19 전후 여성 뷰티 소비자의 특징과 구매행동을 분석했다. ‘뷰티 카테고리 리포트 2022’는 여성 소비자 6천명을 설문조사한 결과다. 스킨케어는 20~49세 여성 3천명을 대상으로 2019년부터 4개년 데이터를 살폈다. 메이크업은 15~49세 여성 3천명의 2021년부터 2개년 데이터를 집계했다. 이번 보고서에서 주목할 부분은 온라인 구매 채널의 변화다. 소비자가 화장품을 구매하는 온라인 채널은 △ 네이버쇼핑 △ 올리브영 온라인몰 △ 쿠팡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리브영 온라인몰 이용이 두드러졌다. 올리브영 온라인몰 구매는 스킨케어와 메이크업 부문에서 전년 대비 고르게 증가했다. 카카오톡 선물하기에서는 메이크업 제품 이용률이 상승했다. △ 입술 △ 쿠션‧파운데이션 △ 눈 카테고리 구매율이 늘었다. 올해는 입술 제품 성장세가 가장 높았다. 화장품 평균 사용량은 전년 대비 증가했다. 최근 1개월 동안 스킨케어 제품은 6.5개, 메이크업 제품은 6.5개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년 동기 대비 스킨케어와 메이크업을 각각 0.5개, 0.6개 더 썼다. 화장에 투자하는 시간도 길어졌다.
코로나19 이후 스킨케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 클렌저 △ 스킨‧토너 △ 마스크팩 사용량이 늘었다. △ 립스틱 △ 쿠션 △ 파운데이션 등 메이크업 제품 사용은 감소했다. 마스크 착용으로 인해 피부 고민도 달라졌다. 코로나19 이전 피부 고민이 시작되는 연령대는 30~34세였다. 이들은 △ 피부 톤 △ 주름 △ 탄력 등을 신경 썼다.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피부 고민이 가장 많은 연령대는 25~29세로 옮겨갔다. 이들 연령대는 지성 피부와 트러블 피부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꼽힌다. 여기에 마스크 착용이 더해져 피부 문제를 호소하는 25~29세층이 늘었다. 이에 코로나19에 대응하는 맞춤형 스킨케어 제품을 개발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는 오픈서베이(황희영 대표)가 발간한 ‘여성 뷰티 카테고리 리포트 2020’에서 밝혀졌다. 이 보고서는 코로나19 이후 소비자의 화장품 사용 실태를 심층 분석했다. 20대부터 40대 여성 3천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보고서에서는 스킨케어 제품을 △ 여성 클렌저 △ 스킨‧토너 △ 에센스‧세럼‧앰플 △ 크림 등 4개 품목군으로 나눴다. 이들 품목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사용 실태 등을 피부 타입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