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용량을 줄여 사실상 가격을 올린 제품(슈링크플레이션·shrinkflation 또는 패키지 다운사이징)을 조사했다. 올해 4월부터 6월까지 백화점‧대형마트‧온라인몰 8곳에서 판매하는 생필품 가격을 살폈다. 158개 품목 540개 제품의 △ 용량 감소 △ 단위가격 인상 △ 소비자 고지 여부 등을 모니터링했다. 이번 조사에서 올해 2분기 용량이 감소해 단위가격이 인상된 제품은 총 11개로 확인됐다. 제품 용량 변경 시기는 2023년 3개(27.3%), 2024년 8개(72.7%)다. 국내 제조 제품이 6개(54.5%), 수입 제품이 5개다. 내용물의 용량은 최소 7.1%, 최대 20.0%까지 감소했다. ‘10% 미만’이 5개(45.5%), ‘10% 이상~20% 미만’과 ‘20% 이상’이 각각 3개(27.3%)로 나타났다. 화장품의 경우 △ 부케가르니 나드 헤어 플러스 워터 트리트먼트(서울화장품 제조 / 브리드비인터내셔널 판매) △ 쏭레브 키즈 페이셜 클렌저 사탕향(코스맥스 제조 / 아벤트코리아 판매) 등이 제품 용량을 변경한 것으로 밝혀졌다. 소비자원은 “제품 크기‧용량을 줄여 가격을 인상하는 행위는 ‘슈링크플레이션’에 해당한다. 슈링
팝업스토어 시대다. 특별한 재미와 경험을 제공하는 팝업스토어가 새로운 소비문화로 떠올랐다. MZ세대 사이에서 제품을 체험하고 구매하는 팝업스토어의 인기가 뜨겁다. 뷰티는 물론 패션‧식음료‧캐릭터‧아이돌 팝업매장이 활기를 띄고 있다. 반면 팝업스토어 판매 상품에 대한 교환‧환불 안내가 부족해 소비자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소비자에게 수집한 개인정보의 보유기간 등을 고지하지 않은 경우도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올해 1분기 서울에서 운영한 팝업스토어 20곳의 운영 실태를 조사했다. 닥터지‧발렌티노뷰티‧바이레도 등 뷰티를 비롯해 엄브로‧여자아이들‧커티삭 등이다. 이번 조사는 최근 2년 간 팝업스토어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만 14세부터 49세 소비자 8백명을 대상으로 삼았다. 3월 8일부터 13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팝업스토어, 환불 약관 소비자에게 불리 팝업스토어 운영기간은 20곳 모두 3개월 미만이다. 18곳은 체험과 동시에 뷰티‧식음료‧캐릭터 등 다양한 상품을 판매했다. 소비자 설문에서 응답자의 82.8%(662명)가 팝업스토어에서 상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39.1%(313명)는 이벤트 참여 권유를 받고 입장했다
국내에 판매되는 일부 화장솜에서 세균‧진균(곰팡이) 등이 검출됐다. 제조일을 표시하지 않은 화장솜도 나타나 안전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화장솜 45개의 안전실태를 조사했다. 조사 항목은 △ 미생물(세균수·진균수) △ 중금속(납·카드뮴) △ 제품 표시 실태 등이다. 16개 화장솜 세균‧진균 검출 화장솜 조사 결과 45개 가운데 16개 제품에서 세균과 진균이 나왔다. 세균이 50∼2,200 CFU/g, 진균이 50∼300 CFU/g 검출됐다. 유사한 소재인 일회용 면봉은 ‘위생용품 관리법’에 따라 세균(300 CFU/g), 진균(300 CFU/g), 형광증백제 등에 대한 안전기준이 있다. 반면 화장솜은 관련 기준이나 소관부처가 없는 비관리 제품이다. 소비자원은 세균‧진균이 나온 화장솜의 제조·판매사에 판매 중지를 권고하고, 위생관리를 강화하기로 결정했다. 제조일자 미표시‧부당표시 제품 많아 조사대상 45개 제품 중 18개는 생산일자를 확인하기 힘들었다. 제조일을 표시하지 않거나, 제조번호(로트번호)만 나타내서다. 13개 제품은 ‘주름 개선’, ‘각질케어 효과’, ‘저자극’ 등 객관적 근거 없는 효능을 내세웠다. 소비자원에 최근 3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20일(화) 미국 올랜도에서 미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와 회담했다. 제품 안전 분야 동향을 공유하고, 온라인 플랫폼에서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미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위원장 알렉산더 혼살크, Consumer Product Safety Commission, 이하 ‘CPSC’)는 연방 법정 독립 행정기관이다. 미국 소비자제품안전법에 따라 설립됐다. 제품의 안전기준 설정‧시행‧규제 등을 담당한다. 한국소비자원은 2012년 CPSC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소비자안전 정책 동향과 규제 정보를 공유하며 협력해왔다. 알렉산더 혼살크 CPSC 위원장은 윤경천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안전센터 소장에게 만남을 요청했다. 윤 소장은 현재 미국 ‘국제소비자제품안전보건기구 정례 심포지엄’에 참석 중이다. 국제소비자제품안전보건기구(International Consumer Product Health & Safety Organization, ICPHSO)는 국제시장에서 제조‧유통되는 소비재의 보건·안전 문제를 해결하는 국제 포럼 기구다. 윤경천 소장은 CPSC와 회담에서 한국의 온라인 플랫폼 자율제품안전협약 성과를 소개했다. 알렉산더 혼살
‘사이클로실록세인’이 국내 메이크업‧헤어케어 제품 30개 가운데 25개에서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클로실록세인(Cyclosiloxane)은 부드럽고 산뜻한 느낌을 주기 위해 사용하는 화장품 원료다. 인체나 환경에 유해하다는 우려 때문에 유럽연합에선 사용을 금지하거나 함량 한도를 정해놨다. 한국소비자원은 국내 온라인에서 판매 중인 메이크업 제품(프라이머) 12개와 헤어케어(에센스·오일) 18개를 조사했다. 전성분에 사이클로실록세인을 표시한 제품을 대상으로 삼았다. 사이클로실록세인은 △ 사이클로테트라실록세인(D4) △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D5) △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D6) 등으로 나뉜다. 조사 결과 제품 25개에서 사이클로테트라실록세인(D4)이 최대 1.20% w/w 검출됐다. 미검출 제품은 5개에 불과해 관리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유럽연합은 사이클로테트라실록세인(D4)을 화장품 사용 금지 원료로 지정했다. 호주‧일본은 이 원료를 생식독성이 의심되는 물질로 분류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는 주(州)법을 통해 2027년부터 화장품에 사용을 금지할 예정이다. 우리나라는 관련 기준을 마련하지 않은 상태다. 소비자원 조사에서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D5)은
샴푸바 가격이 최대 5.4배 차이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샴푸바 별 세정력이 달라 두피‧모발 상태에 따라 선택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샴푸바 사용 만족도는 평균 5.5점(9점 척도)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이 샴푸바 10개의 품질과 안전성을 시험 평가했다. 샴푸바의 △ 세정력 △ 거품 발생량 △ 중금속 함유 여부 △ 알레르기 유발 성분 △ pH 수치 △ 가격 등이다. 러쉬‧아로마티카‧톤28 세정력 우수 조사 대상 제품은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 닥터그루트 ‘힘없는 모발용 두피 스케일링 샴푸바’ △ 동구밭 ‘바른 샴푸바’(중건성용) △ 러쉬 ‘뉴’ △ 록시땅 ‘젠틀 & 밸런스 솔리드 샴푸’ △ 린넨앤키친 ‘수분가득 약산성 샴푸바’ △ 아로마티카 ‘티트리 퓨리파잉 샴푸 바’ △ 아이소이 ‘닥터루츠 비어-틴 샴푸 바’ △ 제이숲 ‘딥그린제이 유근피 샴푸바’ △ 쿤달 ‘미네랄 머드 딥 클렌징 샴푸바 프렌치라벤더’ △ 톤28 ‘S19’ 등 10개이다. 세정력 평가에서는 △ 러쉬 뉴 △ 아로마티카 티트리 퓨리파잉 샴푸 바 △ 톤28 S19 등이 ‘매우 높음’으로 나왔다. 세정력과 개인별 두피‧모발 상태를 고려해 제품을 선택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한국소비자원이 화장품 안전관리 세미나를 열었다. 14일 서울 잠원동 한국야쿠르트 HY홀에서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 화장품 안전과 표시광고 실태(심성보 한국소비자원 팀장) △ 화장품 안전 규제 동향-화장품 안전성 정보 보고 및 전성분 표시제도(고정은 대한화장품협회 차장) △ 화학물질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무열 동국대 교수) △ 온라인 플랫폼 화장품 유통 방안(김형우 위메프 팀장) 등을 발표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코로나19 K-뷰티의 인기가 치솟고 있다. 최근 2년 동안 중소기업 수출 부문에서 화장품이 2위를 차지했다. 중소 화장품기업이 제품을 안전하게 관리하도록 세미나를 열었다”고 말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중소기업 비중이 높은 분야를 중심으로 제품 안전관리를 돕는다. 화장품을 비롯해 완구·문구·개인형 이동장치 배터리 등이 지원 대상이다. 이날 행사는 소비자원과 화장품사업자정례협의체가 주최하고 대한화장품협회가 주관했다. 화장품사업자정례협의체는 소비자원과 화장품업계가 만든 단체다. 일상생활과 밀접한 화장품 산업에서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소비자 안전사고를 막고 안전한 소비환경을 구축하는 역할을 맡는다. 참여기업은 아모레퍼시픽·LG생활건강·이엘씨에
친환경 소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있다. 정부는 다양한 재활용 정책을 펼치는 동시에 재활용 우수제품 구매를 유도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대표적인 ‘포장재 재질·구조 평가제도’는 포장재 재활용 용이성 평가와 결과 표시를 의무화했다. 소비자의 재활용 우수 제품 구매를 유도하고 포장재를 쉽게 재활용하도록 하기 위해서다. 화장품 용기는 2021년 3월 25일부터 시행했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장덕진)이 화장품 용기의 재활용 등급 및 표시 실태를 조사했다. 지난 해 9월 1일부터 12월 12일까지 국내 상위 화장품 유통‧판매업체 15개의 대표 화장품 294개와 온라인쇼핑몰 16곳을 분석했다. 조사 항목은 △ 화장품별 용기의 분리배출 표시, 재활용 용이성 등급 표시 여부 △ 화장품 업체별 공식 온라인 쇼핑몰의 분리배출 표시‧방법 및 재활용 용이성 등급 정보 제공 여부다. 아울러 화장품 용기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도 펼쳤다. 지난 해 7월 29일부터 8월 3일까지 최근 6개월 이내 화장품을 구매한 여성 소비자 7백 명에게 물었다. 화장품 구매행태부터 분래배출 표시제도 인식 등이다. 상위 15개사 용기 중 재활용 최우수 등급 0.7% 이번 조사 결과 국내 상위
실외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되면서 피부미용에 관심을 갖는 이들이 늘었다. 피부를 하얗게 가꾸는 미백 화장품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SNS 광고를 보고 미백 화장품을 구매하는 소비자가 증가하는 추세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장덕진)은 유튜브‧인스타그램 등 주요 SNS에서 광고하는 미백 기능성화장품 20개를 조사했다. 미백 화장품 관련 기준·규격을 바탕으로 ① 미백 기능성 원료 ② 전문의약품 성분 및 유해물질 ③ 제품 기재사항 및 광고 실태 등을 살폈다. 소비자원 조사 결과 일부 제품은 표시·광고 등을 개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라이트닝’ ‘피부장벽 개선’ 부당 표현 미백 기능성화장품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기능성을 인정한 원료를 일정량 이상 함유해야 한다. 식약처는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화장품’의 원료로 알부틴‧나이아신아마이드‧ 닥나무추출물 등 9종을 정했다. 이 가운데 알부틴을 2~5% 함유한 제품은 별도 심사 없이 미백 기능성화장품으로 판매 가능하다. 소비자원이 조사한 제품 20개 모두 기능성 원료인 알부틴을 사용했다. 전 제품이 알부틴 함량을 식약처에 보고한 양(2~5%)의 90.0% 이상을 함유해 함량 문제는 없었다. 3개 제품은 식
11월 25일 세계적 쇼핑행사인 블랙프라이데이를 앞두고 소비자 피해 주의보가 내려졌다. 블랙프라이데이는 미국 추수감사절 다음 날인 금요일로 연중 최대 할인이 시작된다. 국내 소비자의 해외직구가 늘면서 소비자 불만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해외직구 규모는 △ 2019년 3조 6천억 원 △ 2020년 4조 1천억 원 △ 2021년 5조 1천억 원으로 해마다 늘었다. 국제거래 소비자 상담 건수는 지난해 15,876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57.6% 증가했다. 2020년부터 지난 해까지 화장품 상담 건수는 76건으로 전체의 2.4%를 차지했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장덕진)은 블랙프라이데이 등 해외직구 성수기를 맞아 피해예방주의보를 발령했다. 한국소비자원이 2020년과 2021년 11월 12월에 접수된 해외직구 관련 소비자 불만을 분석했다. 소비자 불만 유형은 △ 취소·환불 등 지연 및 거부 848건(26.3%) △ 위약금·수수료 및 가격 불만 631건(19.5%) △ 미배송·배송 지연 615건(19.0%) 등이다. 이에 소비자원은 SNS에 큰 폭으로 할인된 가격으로 광고하는 사기의심사이트를 조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할인 광고로 소비자 유인 후 물품을 배송하지
야외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되고 여름에 접어들었다. 외모 관리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헤어와 네일아트 등 미용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들도 늘었다. 뷰티 서비스 불만족이나 회원권 환급거부 문제가 지속돼 소비자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은 모발‧네일 미용서비스 이용실태를 조사했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소비자원에 접수된 피해구제 신청 975건을 분석했다. 모발 피해는 769건, 네일 피해는 206건이다. 모발 피해 2건 중 1건은 ‘서비스 불만족’ 모발 관련 피해는 ‘서비스 불만족’이 56.3%(433건)로 가장 많았다. 서비스 결과가 요구와 다르거나 모발이 손상됐다는 보고다. 이어 △ 계약해지 시 환급 거부나 위약금 과다 청구 19.8%(152건) △ 피부염 화상 등 병원 치료가 필요한 부작용 발생 14.3%(110건) 순이다. 최근 소비자들은 탈색‧펌 등 두가지 이상의 헤어 서비스를 받는 경우가 많다. 개인별 모발 상태에 따라 손상 정도나 서비스 결과의 차이가 발생한다. 미용사가 소비자에게 이를 설명하고 동의를 받는 절차가 필요하다. 반면 모발 미용서비스의 서비스 불만족 피해 중 동의서 작성 비율은 1.2%(5건)에 불과했다. 네일아
1월 소비자원에 화장품 상담이 증가했다. 신년과 설명절을 맞아 화장품 수요가 급증하면서 소비자 불만도 동시에 늘었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장덕진)이 1월 한달 동안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소비자상담을 분석했다. 빅데이터 시스템을 바탕으로 살핀 결과 일반화장품 상담이 크게 늘었다. 1월 일반화장품의 소비자 상담 증가율은 10.2%로 조사됐다. 택배화물운송서비스(8.5%) △ 실손보험(2.4%)이 뒤를 이었다. 일반화장품 상담 이유로는 ‘제품 소개 페이지에 나온 추가구성품이 배송되지 않아서’로 나타났다. 택배화물운송서비스는 택배사 파업으로 인한 배송 지연이 원인으로 꼽혔다. 반품이나 환불을 요청한 사례가 많았다. 소비자 상담을 가장 많이 한 연령대는 30대(28.0%)다. 30대가 진행한 1월 상담건수는 1만1천830건으로 집계됐다. 이어 △ 40대(11,675건‧27.7%) △ 50대(8,401건‧19.9%) 순이었다. 소비자 상담 사유는 △ 품질‧AS 관련(11,234건‧25.2%) △ 계약해제‧위약금(10,971건‧24.7%) △ 계약불이행(6,634건‧14.9%) 등이다. 일반판매 외 소비자 상담이 많은 분야는 △ 국내 전자상거래(12,537건‧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