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정부의 관세 이슈를 뚫고 지난 3분기 누적 수출 실적에서 처음으로 중국을 제치고 1위(수출 실적 16억7천100만 달러·점유율 18.1%)를 기록하고 있는 대 미국 수출 지원을 위한 실무 교육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www.mfds.go.kr )는 “국내 화장품 기업들의 미국 수출을 보다 실무 차원에서 지원하기 위해 대한화장품협회(회장 서경배· www.kcia.or.kr )와 함께 ‘미국 FDA OTC 드럭 화장품 분야 해외 제조소 실사 대응 교육-웨비나’을 오는 25일(화) 개최한다”고 밝혔다. 관련해 식약처 화장품정책과는 “미국으로의 K-화장품 수출 비중은 △ 2021년 9.2% △ 2022년 10.6% △ 2023년 14.3% △ 24년 18.7%(자료 출처: 미국 국제무역위원회(USITC)·한국무역협회 가공)로 지속 증가하는 추세며 특히 최근 미국 내 수입 화장품 중 기초화장품 등 일부 제품군에서 우리나라 화장품이 1위를 차지(2024년 향수 품목을 제외할 경우 수입 화장품 점유율 1위·코트라 로스앤젤레스 무역관 리포트)할 만큼 미국은 주요 화장품 교역국가 중 한 곳이다. 따라서 관세 이슈는 물론이요 화장품 관련 규
美 화장품법령, 철저한 사후관리에 초점…소송 일반화 대비해야 자외선 차단제·비듬샴푸·여드름·아스트린젠트 제품은 ‘OTC 드럭’ 중국 화장품 시장에 대한 법령과 제도 관련 정보·교육은 과도하다 싶을 정도로 넘쳐나고 있지만 정작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미국 화장품 시장과 관련한 정보 부족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대한화장품협회(회장 서경배· www.kcia.or.kr)가 미국 화장품 관련 법령의 이해를 돕기 위한 지원에 나섰다. 화장품협회는 최근 수출위원회 회의를 거쳐 중국 내 제도변화, 특히 경내책임자와 관련한 내용과 전자상거래법 시행 이후 나타나고 있는 시장상황을 중심으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한 데 이어 미국 화장품 법령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것. 특히 △ 화장품과 OTC 드럭의 차이점 △ 회수(리콜) 관련 범위의 설정과 대응 △ OTC 드럭의 라벨링 △ FDA로부터 받을 수 있는 경고장(워닝 레터)과 수입경보(임포트 얼러트), 제조소 감사(인스펙션) 등에 대한 내용과 실사례를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했다. 미국 화장품 관련 법령의 기본 이해 미국의 화장품 관련 법령은 우리나라, 또는 중국과 같이 세부적인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