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신북방시장 개척 정책과 맞물려 화장품 시장에서도 새로운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는 러시아의 경우 최근 들어 로컬 화장품 브랜드의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러시아와 함께 신북방시장의 양대축을 이루면서 주목 대상이 된 카자흐스탄은 코로나19의 영향에 의해 홈케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마스크팩과 같이 집에서 효과적이면서도 간단한 셀프케어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이 같은 내용은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조남권· www.kcii.re.kr ·이하 연구원)이 발표한 2020년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러시아·카자흐스탄 편에서 확인한 것이다. 주요 트렌드 키워드 러시아 시장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포인트는 로컬 화장품 브랜드의 성장. 러시아의 주요 로컬 브랜드로는 △ 나투라시베리카(Natura Siberica) △ 미앤코(Mi&Ko) △ 레브라나(Levrana)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들 브랜드에서 볼 수 있듯 천연·유기농 화장품의 인기가 두드러진다. 연구원 측은 “로컬 브랜드의 이 같은 호응은 △ 생산 장비의 선진화 △ 관세동맹(CU)·유라시아 경제연합(EAEU) 등 규정에 의해 신뢰할 수 있는 품질과 생산력 구축 △ 상대적으로 저렴
제품의 품질과 보유 기술력에 비해 부족한 해외 진출 경험·해외 네트워크·해외 마케팅을 위한 자본력 부족 등으로 독자적으로 해외 진출에 어려움이 있는 국내 화장품 기업을 대상으로 한 해외 화장품 홍보·판매장 운영 지원을 위한 해외진출 지원사업의 올해 주요 방향이 확정됐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권덕철· www.khidi.or.kr ·이하 진흥원)은 “우리나라 화장품의 글로벌 경쟁력과 브랜드 이미지 제고, 수출시장 다변화 도모를 위해 해외 화장품 홍보·판매장 운영 지원을 통한 기업의 해외진출 지원사업을 진행한다”고 밝히고 관련 내용을 공고했다. 이번 사업과 관련 진흥원 뷰티화장품산업팀은 “화장품 산업은 국내 기업 간 양극화 현상과 중화권 수출의존도 심화, 품질·기술력에 비해 낮은 브랜드 인지도, 중소 화장품 기업의 해외진출 경험·네트워크 부족 등으로 여전히 수출에 어려움이 크다”고 전제하고 “진흥원은 중소 화장품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하고 수출 유망국가 발굴을 통한 해외진출 활성화를 보다 강력하게 전개하기 위해 지원사업을 시행한다”고 배경을 밝혔다. 해외 홍보 판매장 운영지원 사업 신남방지역은 베트남, 신북방지역은 러시아가 대상국가다
최근 러시아 화장품 시장은 남성 화장품 회복세가 두드러지면서 특히 젊은 층을 중심으로 수분 크림과 로션, 자외선차단제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카자흐스탄은 온라인 채널의 성장을 주목할 만하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조남권·www.kcii.re.kr )이 화장품 소비 강국으로 부상하고 있는 러시아과 카자흐스탄 시장 동향을 담은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를 통해 이같이 분석했다. 2017년부터 남성화장품 회복세 보여 현재 러시아 화장품 시장에서 가장 주목해야 부분은 주춤했던 남성 화장품 시장이 회복세를 보이면서 성장국면에 접어들었다는 것. 서방 국가의 경제 제재, 국제 유가 하락 등에서 기인한 러시아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남성용 화장품 시장의 성장이 줄어들었으나 지난 2017년을 기점으로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미디어스코프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대부분의 러시아 남성 소비자들은 주로 일반적인 샤워·면도용 제품을 이용하고 있지만 젊은 층을 중심으로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앞으로 남성용 수분크림·로션·자외선차단제 등의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천연성분, 안티에이징 기능성 제품 인기도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카자흐스탄, 90%가 수입…온라인 채널 급신장
할랄산업연구원, 수출컨소시엄 참가사 모집…카자흐‧우즈벡서 개최 중앙아시아가 화장품 수출 유망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톰슨로이터가 펴내는 이슬람경제연감(2016-2017)에 따르면 카자흐스탄은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큰 경제 규모를 자랑한다. 국민 연간 화장품 구입비는 19억 달러(한화 약 2조원)에 달한다. 카자흐스탄에 대한 국내 화장품 수출은 지난 2017년 1천 176만 달러로 전년 대비 24.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카자흐스탄은 제조기반이 취약해 화장품 수요의 대부분을 수입으로 충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카자흐스탄의 이웃 국가 우즈베키스탄은 국민소득은 낮지만, 인구가 3천 만 명에 육박해 유망 수출시장으로 꼽힌다. 한국할랄산업연구원(원장 장건)은 이달 말까지 ‘중앙아시아 화장품 수출컨소시엄’에 참가할 화장품회사 10개를 모집한다. ‘중앙아시아 화장품 수출컨소시엄’은 오는 9월 30일부터 10월 5일까지 카자흐스탄 알마티와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열린다. 수출상담회, 팝업쇼 등이 진행될 예정. 참가 기업은 유력 바이어를 한국에 초청해 여는 후속 상담회에 참여할 자격이 제공된다. 이번 행사는 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을 대상으로 판로 개척을 모색하는 화장품기
⑥ 유라시아 EAC 인증절차와 전략 러시아 식약처 대상품목 확인 필수 카자흐스탄·벨라루시·러시아 등 5국엔 EAC마크 부착 EAC(Eurasia Conformity) 인증 적용국가는 러시아·카자흐스탄·벨라루시·키르기스스탄·아르메니아 등 5국. EAC는 지난 2010년 러시아와 카자흐스탄, 벨라루시 등 세 국가가 관세동맹(Customs Union)을 결성한데서 시작한다. 이 과정에서 △ 화장품과 향수 제품의 안전성에 대한 기술규정 시행(2012년 7월 1일) △ 기존의 개별 국가 화장품 GOST 인증 폐지(2013년 2월 15일)가 이뤄졌다. 이후 2015년 관세동맹에 키르키즈스탄과 아르메니아가 가입, ‘유라시아경제연합’(EAEU)이 출범했다. 따라서 이들 5국에서 출시·유통하는 화장품과 향수 제품은 EAC의 기술규정에 따라 적합성 평가 후에 EAC 마크 부착이 필수 사안이 된다. 화장품·향수 제품의 안전성에 대한 기술 규정 EAC 기술규정에 의한 화장품·향수 제품은 ‘인체의 겉 표면(피부·모발·손톱·입술·외부 생식기), 치아·구강의 보호와 관리에 직접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물질 또는 물질의 혼합물’로 정의한다. 다만 ‘치료에 사용하는 제품이나 흡입, 신체 주입
인하대학교 지역특화 청년 무역 전문가 양성사업단(이하 인하대 GTEP·사업단장 박민규)이 최근 ‘코스모뷰티 카자흐스탄’에 참가했다고 밝혔다. ‘코스모뷰티 카자흐스탄’은 올해 처음으로 카자흐스탄 알마티에서 열린 미용·뷰티 전시회다. 주요 전시 품목은 ▲화장품 ▲미용(기기) ▲헤어 ▲에스테틱 등이다. 인하대 GTEP사업단으로 선발된 국제통상학과 3학년 곽창완, 고재홍, 최민수, 최인석 학생이 참가해 한국 중소기업 화장품의 중앙아시아 진출을 돕는 무역 전문가 역할을 톡톡히 수행했다. 총 100 여건의 수출 상담을 통해 10만 달러의 상담 실적, 그리고 3천 달러 규모의 현장판매 실적을 올렸다. 학생들은 전시회 참가를 준비하면서 이전부터 카자흐스탄의 특성과 경제 동향에 대한 전반적인 사전 조사를 진행했다. 이를 바탕으로 카자흐스탄 화장품 시장의 특성, 관세 정보, 유통구조 등의 정보를 종합, 사전 시장조사보고서를 작성했다. 더불어 협력기업 제품에 대한 심층 분석으로 수출유망제품을 선택, 카자흐스탄 화장품 시장 진출을 위한 단계별 마케팅 전략을 수립했다. 특히 할랄 인증이 카자흐스탄 시장 진입의 주요 쟁점이라는 사실을 파악하고 할랄 인증을 이미 받은 국내 기업을 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