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피 태국에서 K-뷰티 주문이 급증했다.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한국 제품 주문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191% 증가했다. 주문이 가장 많은 카테고리는 뷰티로 나타났다. 태국에선 스킨케어와 메이크업 제품 주문 비중이 고르게 분포됐다. 다른 동남아 국가가 K-스킨케어 제품에 매출이 쏠린 것과 대조적이다. 쇼피 태국에서 K-뷰티 매출은 스킨케어와 메이크업이 각각 55%와 45%로 집계됐다. 매출 성장률은 각각 278%와 356%로 나왔다. 최근 신규 메이크업 브랜드가 진입하면서 판도변화가 일었다는 분석이다. 대표 메이크업 브랜드는 잉가‧퓌‧티르티르 등이다. 스킨케어 브랜드는 코스알엑스‧토리든‧VT코스메틱 등이 인기를 끌었다. K-뷰티는 자연 유래 성분을 강조하며 태국시장을 사로잡았다. 태국 소비자 사이에서 한국 화장품은 피부에 자극이 적고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인식된다. 가볍고 수분감 있는 제품이 태국 기후와 맞아떨어졌다는 분석도 나왔다. 마스크팩을 활용한 스킨케어 루틴과 자연스러움을 강조하는 메이크업이 태국 소비자를 사로잡았다는 평가다. 쇼피코리아 측은 “쇼피가 진출한 국가 가운데 태국의 성장세가 가파르다. 올 1월부터 7월까지 쇼피 태국은 다른 국가 대비 3
코트라 리포트 '태국 뷰티시장 트렌드' 태국에서 소포장 화장품의 인기가 지속되고 있다. 색다른 재미를 주는 컬래버레이션 화장품 출시도 늘었다. 코로나19로 짙은 색조 화장 대신 자연스러운 피부 표현이 대세다. 내추럴 피부 톤을 완성하는 BB크림이나 쿠션이 다시 부상했다. ‘꾸안꾸’(꾸민 듯 안꾸민 듯) 메이크업의 대표로 여겨지는 한국 화장 스타일이 재조명되며 관련 동영상 조회수도 급상승하는 모습이다. 이는 코트라 태국 방콕무역관이 발표한 ‘태국 뷰티시장 트렌드’에서 밝혀졌다. 프리미엄 브랜드‧색조 화장품 타격 태국은 아세안 소비문화의 중심지로 꼽힌다. 2020년 기준 화장품시장 규모는 세계 15위다. 동남아시아 최대 화장품 시장이다. 지속적으로 성장해온 태국 화장품시장은 지난 해 코로나19 발생으로 지각변동을 겪었다. 외출 감소와 외국인 관광객 입국 제한 조치로 화장품 매출이 하락했다. 특히 프리미엄 브랜드와 색조 제품의 매출 감소폭이 컸다. 유로모니터는 2020년 태국 화장품시장이 코로나19 영향으로 전년 대비 4.5% 축소된 것으로 분석했다. 색조 화장품 매출 감소율은 10.4%, 프리미엄 화장품은 8.4%, 스킨케어 제품은 5.3%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