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제의 나라’이자 ‘장미의 나라’. 바로 튀르키예(터키)다. 튀르키예는 세계적인 장미 산지인 이스파르타가 있다. 대륙성‧지중해성‧해양성 기후가 고르게 나타나 농사가 잘 된다. 농산물이 풍부한 튀르키예는 허브를 비롯한 천연 식물의 보고다. “튀르키예는 식물 자원이 풍부한 나라죠. 비옥한 땅에서 자란 식물은 다양한 화장품 원료로 쓰입니다. 유기농으로 키운 천연 허브를 소개하기 위해 한국을 찾았습니다.” 10월 25일 방한한 무스타파 쿠추키야만(Mustafa KÜÇÜKYAMAN) 서지중해수출협회 부회장. 그는 튀르키예와 한국 간 화장품 수출입을 활성화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우선 튀르키예의 우수한 식물 원료를 한국에 널리 알릴 전략이다. 서지중해수출협회가 26일 서울 코리아나호텔에서 개최한 ‘2022 화장품산업 튀르키예 & 한국 B2B 미팅’도 그 일환이다. “튀르키예 화장품 원료회사 10곳이 참여해 한국 화장품 브랜드‧OEM‧유통사 110여 곳과 상담을 진행했어요. 대표 원료인 장미를 비롯해 라벤더‧타임 등의 우수성을 알렸죠.” 튀르키예는 불가리아에 가려졌지만 장미 종주국이다. 이스파르타 지역에서 재배한 장미가 세계 시장을 약 65% 점유했다. 장미의 품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UAE·사우디아라비아·터키 편 중동 지역의 화장품 주요 시장으로 꼽히는 아랍에미리트(UAE)와 사우디아라비아, 그리고 유럽-아시아에 걸쳐 교두보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터키 화장품 시장에 대한 전체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리포트가 나왔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이재란· www.kcii.re.kr ·이하 연구원)은 최근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 제 4호를 통해 이들 국가의 화장품 시장 트렌드·유통 분석·현지 전문가 인터뷰·인기 제품 등을 분석했다. 세 국가의 전체 시장 트렌드 시장 전반을 이끌고 있는 트렌드는 △ UAE-나이트 스킨케어 △ 사우디아라비아-메디컬 콘셉트 제품 △ 터키-멀티 기능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즉 UAE에서는 ‘밤’(Night)이 주요 키워드다. 수면(Sleeping)·루틴(Routine)이 연관 키워드로 뜬다. 낮 시간 동안 피부에 쌓인 먼지와 메이크업 등으로 스트레스 받은 피부를 진정시킬 수 있는 나이트 스킨케어에 대한 관심이 높다. 이러한 트렌드에 맞춰 잠자는 동안 피부 재생이 이루어지면서 집중 보습과 영양 피부 회복 효과를 부여하는 나이트 스킨케어 제품이 주목받고 있다는 리포트다. 유효 성분이 농축된 세럼
제품의 품질과 보유 기술력에 비해 부족한 해외 진출 경험·해외 네트워크·해외 마케팅을 위한 자본력 부족 등으로 독자적으로 해외 진출에 어려움이 있는 국내 화장품 기업을 대상으로 한 해외 화장품 홍보·판매장 운영 지원을 위한 해외진출 지원사업의 올해 주요 방향이 확정됐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권덕철· www.khidi.or.kr ·이하 진흥원)은 “우리나라 화장품의 글로벌 경쟁력과 브랜드 이미지 제고, 수출시장 다변화 도모를 위해 해외 화장품 홍보·판매장 운영 지원을 통한 기업의 해외진출 지원사업을 진행한다”고 밝히고 관련 내용을 공고했다. 이번 사업과 관련 진흥원 뷰티화장품산업팀은 “화장품 산업은 국내 기업 간 양극화 현상과 중화권 수출의존도 심화, 품질·기술력에 비해 낮은 브랜드 인지도, 중소 화장품 기업의 해외진출 경험·네트워크 부족 등으로 여전히 수출에 어려움이 크다”고 전제하고 “진흥원은 중소 화장품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하고 수출 유망국가 발굴을 통한 해외진출 활성화를 보다 강력하게 전개하기 위해 지원사업을 시행한다”고 배경을 밝혔다. 해외 홍보 판매장 운영지원 사업 신남방지역은 베트남, 신북방지역은 러시아가 대상국가다
안탈리아 상업거래소, 국내 비즈니스 파트너 만나 화장품 원료 등 상담 터키 안탈리아 지방의 다양한 자생식물을 국내에 소개하고, 이를 높은 부가가치의 비즈니스로 연결하기 위한 비즈니스 컨퍼런스가 열렸다. 오늘(8일) 오후 임페리얼팰리스호텔(서울 강남구 논현동 소재)에서 열린 '한국-터키 비즈니스 프로젝트'(코터비·KoTuBi)는 터키(안탈리아 지방)의 다양하고도 양질의 특산물을 원료로 삼아 고부가가치의 화장품·식품·건강기능식품 비즈니스로 창출하기 위한 컨퍼런스로 안탈리아 상업거래소가 주최하고 국내의 랩지알티가 주관해 이루어졌다. 오프닝에서 곤자 에르토크 프로젝트 매니저는 '안탈리아의 전통과 지역 농산물의 수출증대 프로젝트' 발표를 통해 "터키는 1만2천 여종의 식물 가운데 3천905종의 자생종 식물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안탈리아 지방에만 해도 500종의 특산물이 있으며 이 가운데 200종은 안탈리아 지역만이 보유한 특유의 고유종 식물이다. 안탈리아 자연 식물상에서 약 2천 종의 식물이 자라고 있다. 터키는 약용식물 가운데 1천199종을 수출 중이다. 한국의 기업들은 터키가 보유한 이 같은 고유 식물과 특산물들을 최대한 활용해 부가가치가 높은 비즈니스 모델을
연평균 성장률 6.4% 전망…K-뷰티 열풍 조짐 ‘포스트 차이나 시장’ 개척 필요성이 절실해 지고 이를 위한 화장품 업계의 노력 역시 활발하게 전개되는 가운데 그 동안 ‘가능성, 잠재력’만으로 평가받던 중동시장에 대한 의미있는 리포트가 나왔다. 지난 2008년 불과 13만5천 달러(이하 한화·약 1억5천만 원) 수준이던 한국 화장품의 대 중동지역 수출은 지난해 3천582만 달러(410억 원)을 기록, 8년 동안 265배가 성장하는 기염을 토했다. 특히 지난 2011년 이후 미샤, 더페이스샵 등 브랜드 숍의 현지진출과 K-코스메틱·뷰티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이 효과도 톡톡히 누린 결과로 해석된다. 2104년 19.2%, 2015년 15.7%, 그리고 지난해 17.5%까지 3년간 연평균 증가율이 15%를 상회했다. 연평균 성장률 6.4%…세계시장보다 두 배 코트라가 최근 발표한 중동 화장품 시장 현황과 우리 기업의 진출전략 리포트에 따르며 지난 2015년 기준 중동 화장품 시장규모는 약 180억 달러(20조6천200억 원)에 이르고 앞으로 5년 간의 성장률도 전 세계 화장품 시장의 성장률 3%의 2배 이상인 6.4% 수준을 기록할 전망이다. 국가
올해는 한국과 터키 수교 60주년의 해다. 터키는 한국 전쟁 당시 미국 다음으로 큰 규모로 파병했고 희생자도 미군 다음으로 컸다. 한국과 터키는 1957년 3월 8일 공식 수교했다. 2014년 터키경제부가 발표한 우리나라의 대 터키 수출은 75억 달러, 터키의 대한민국 수출은 4억7천만 달러 규모에 달한다. 1980년 대에 들어서며 터키와 대한민국은 자동차나 고속 열차 등의 운송 장비의 공동 생산에서 전자제품, 가전제품, 건설자재, 군사설비에 이르기까지 여러 산업 분야에서 협력을 펼쳐나가기 시작했다. 터키와 대한민국은 형제의 나라라 부르며 서로의 동맹과 돈독한 우정을 중요시하고 있다. 본지는 2017년 한국-터키 수교 60주년을 기념해 주한터키대사관, 주터키한국대사관 등 주요 공공기관과 터키로 수출하고 있는 기업 경영인 인터뷰를 통해 터키시장 진출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 터키 왓슨스 전매장에 제품을 론칭하며 성공적으로 터키 시장에 안착한 대한민국 대표 마스크팩 브랜드 SNP를 운용하고 있는 박설웅 에스디생명공학 대표를 만나 SNP의 터키 진출의 과정과 계획을 들어봤다. <편집자 주> 먼저 2017년 한국-터키 수교 60주년 축하 말
코트라 이스탄불무역관은 최근 다국적 화장품 기업들이 혁신적이고 참신한 디자인을 앞세워 터키 패키징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고 밝혔다. 선두에는 로레알, 유니레버 등이 터키 시장을 공략하며 터키 패키징 시장 규모도 함께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글로벌 화장품 기업이 터키 시장에 눈을 돌리는 가장 큰 이유는 터키 소비자들이 점점 외모를 중시하는 추세로 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남녀노소 미용·화장에 큰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화장품 시장 규모가 커지고 더불어 화장품 패키징 산업 역시 동반 성장하고 있는 것. 터키의 패키징 제품 생산량은 2015년 한 해 17억 개를 돌파하며 전년대비 3%나 급성장했다. 2020년까지는 21억 개의 다양한 화장품 패키징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목표다. 특히 전 세계 화장품 시장을 선도하는 글로벌 브랜드들이 얼굴 케어제품에 유리 용기를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패키징 원료도 플라스틱에서 유리 제품으로 바뀌고 있다. 또한 여행용 사이즈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를 위해 소형 패키징 제품과 가정용 대용량 용기 등 소비자가 원하는 수요에 맞춰 다양한 크기, 기능 및 편리성을 고려한 패키징 제품들도 등장했다.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플라스틱, 고밀도 폴리에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