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동상권 현장 분석…뷰티매장 총 78곳 포진 “외국인 어서와요” 올리브영 vs “우리도 질 수 없다” 뷰티 편집매장. 대한민국 쇼핑 1번지 명동. 서울 명동상권이 올리브영과 화장품 편집매장 양강구도로 접어들었다. 올리브영은 외국인 특화매장으로 거듭나며 고객을 끌어 모으는 앵커 테넌트(anchor tenant) 역할을 맡고 있다. 이에 맞서 다양한 브랜드를 높은 할인율로 판매하는 편집매장 수가 급증했다. 중저가 원브랜드숍의 다점포 시대가 지고, 뷰티 매장의 대형화‧복합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모습이다. 외국인 특화매장 ‘올리브영’ vs 초특가 할인 편집매장 코스모닝이 12월 18일 현재 조사한 명동상권 내 화장품 매장은 모두 78곳으로 나타났다.(명동 로드숍 기준, 대형상가‧지하상가 매장 제외/올리브영 6곳 명동점‧명동타운점‧명동타임워크점‧명동중앙점‧명동역점‧명동대로점 포함) 명동상권에서 가장 존재감이 두드러지는 매장은 올리브영이다. 올리브영은 11월 명동타운점을 외국인 특화매장으로 변신시켰다. 방문 고객의 90%를 차지하는 외국인 관광객을 위해서다. 1층 매장 전면에 K-뷰티나우‧올리브영픽‧글로벌핫이슈 카테고리를 신설했다. 대규모 텍스 리펀드 공간을 마련해 외국
올리브영이 명동에 외국인 특화 매장을 열고 한류 관광객 잡기에 나선다. 올리브영은 명동타운을 글로벌 특화 매장으로 새롭게 선보인다. 외국인 구매 편의성과 상품 다양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올리브영 글로벌몰과 매장을 잇는 ‘K뷰티 O2O(Online to offline) 쇼핑 플랫폼’으로 육성한다는 목표다. 올리브영 명동타운은 하루 평균 방문객 수가 약 3천 명이다. 매장 면적은 1,157m2에 이른다. 올리브영 국내 매장 가운데 가장 큰 규모다. 방문 고객의 약 90%가 외국인이다. 올리브영은 외국인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중소기업 제품을 소개할 계획이다. 고품질 제품과 양질의 쇼핑 경험을 제공해 올리브영을 세계에 알린단 각오다. 명동타운 내 안내 서비스를 영·중·일(英·中·日) 3개국어로 확대했다. 또 올리브영 명동타운 전용 모바일 페이지를 만들었다. 층별 안내 지도와 인기 브랜드 위치 등을 3개국어로 제공한다. 모든 제품의 전자라벨에 영어로 상품명을 표기했다. 매장 전면에 ‘K뷰티 나우존’을 마련했다. 유망한 K-뷰티 제품을 한눈에 볼 수 있다. 외국인이 많이 찾는 마스크팩‧선크림을 전면 배치했다. 올리브영이 제안하는 월별 K-뷰티 상품도 소개한다. 글로벌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되면서 뷰티시장에 활기가 돌고 있다. 사적 모임 인원과 영업 시간 제한이 풀리면서 유동인구가 급증했다. 주요 화장품 매장의 매출도 두자릿수 상승했다. 올리브영이 거리두기가 해제된 4월 18일부터 5월 10일까지 매출을 분석했다. 색조화장품 매출이 전년 대비 56% 증가했다. 유동인구가 늘면서 매장 매출은 28% 늘었다. 색조화장품 가운데 립틴트가 잘 팔렸다. 선명한 발색과 부드러운 발림성을 내세운 립틴트 매출이 94% 신장했다. 이어 매출이 급증한 품목군은 △ 쉐이딩(72%) △ 블러셔(66%) 순이다. 피부 톤 보정을 넘어 포인트 메이크업까지 완연한 회복세에 접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선케어 매출도 57% 뛰었다. 등산‧캠핑‧골프 등 야외활동이 잦아지고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가 사라지면서다. 체중 관리에 도움을 주는 슬리밍 상품 매출은 149% 급증했다. 오프라인 매장 매출은 28% 늘었다. 상권별로는 대학가(37%)와 오피스가(29%)의 매출 증가가 두드러졌다. 대면 수업이 활성화되고, 직장인들이 회사로 출근하기 시작하면서 매장 방문객과 매출이 동반 상승했다. 올리브영 관계자는 “화장품 오프라인 시장이 회복세로 돌아섰다. 고객 체험을
지난 해 하반기 서울 명동 중앙로의 공실률이 21%를 기록했다. 2019년 상반기 공실률이 4.8%인데 비해 4.5배가 증가했다. 특히 화장품 매장의 폐업이 두드러졌다. 외국인 관광객이 급감하면서 매출에 직격탄을 맞았기 때문이다. 2020년 상반기 대비 하반기 명동 중앙로에 있는 화장품 매장의 약 30%가 휴업 또는 폐업으로 비어있는 상태다. 부동산 서비스 기업인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코리아가 ‘2020 가두상권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서울 6대 상권 공실률을 분석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매장 운영 전략을 제안했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6대 상권의 평균 공실률은 12.4%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인해 실물경기가 침체하면서다. 외국인 관광객 비중이 높은 상권일수록 공실률이 높았다.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으로 영업이 제한된 가두상권 매장이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 외국인의 소비가 상권경제의 큰 축을 담당했던 명동과 가로수길은 관광객 입국금지 조치가 길어지며 공실률 상승폭이 가파르게 상승했다. 체험형 매장 변신 가속화 ‘휴업이거나 폐업이거나.’ 서울 명동은 코로나19로 관광객 수가 감소하면서 공실률이 증가했다. 외국인 관광객 의존도가 높은 명
올 상반기 명동‧강남 등 서울 중심상권 내 화장품 매장이 일제히 감소했다. 아리따움 라이브‧시코르 등 체험형 플래그십 스토어나 편집숍은 증가했다.글로벌 부동산 컨설팅사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한국지사(대표 황점상)가 ‘2019년 상반기 서울 6개 가두상권 보고서’를 발표했다.올 상반기 서울 △ 명동 △ 강남여고 △ 홍대 △ 가로수길 △ 이태원 △ 청담동 등 6대 상권 내 임차인 현황을 전수 조사해 신뢰성과 정확성을 높였다.이 보고서에 따르면 올 상반기 명동 메인로의 화장품 매장 수는 1층 기준 68개점으로 집계됐다. 지난 해 하반기에 77개점에 비해 9개점이 줄었다. VDL‧스킨푸드 등이 폐업한 데 따른 것이다. 전체 상권 내 화장품 매장 비중은 지난 해 하반기 35.9%에서 34.7%로 낮아졌다.강남대로는 감소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대로의 올 상반기 화장품 매장 수는 1층 기준 13개점이다. 2018년 하반기 20개점에 비해 35% 줄었다. 강남대로 내 화장품 매장 비중은 올 상반기 14.6%로 지난 해 같은 기간 18.4%에 비해 3.8% 줄었다.서울 주요 상권에서 Z세대를 겨냥한 체험형 매장이나 편집숍은 늘고 있는 상황.지난 해 하반기 △ 미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