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퍼시픽이 2024 세계화장품학회(34th Congress IFSCC BRAZIL·10월 14일~17일(현지 시각))에서 발표한 연구 성과가 우수 연구 톱5에 선정됐다. 해당 연구는 아모레퍼시픽이 개발한 인공지능 감각 평가 시스템 ‘센서노이드’에 관한 결과를 담고 있다. R&I센터 이정유 연구원이 ‘Artificial tactile sensory system and high-precision AI simulation for cosmetic products’을 주제로 구두 발표했다. 아모레퍼시픽이 개발한 센서노이드 디지털 감각 데이터를 활용하면 성분 처방 데이터 만으로도 실제 완성될 화장품의 사용감을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다. 관련 기술은 오랜 기간 이어온 아모레퍼시픽의 화장품 인체 평가 연구 노-하우를 디지털 기술과 접목한 것이다. 해당 시뮬레이션을 활용하면 그동안 사람의 감각에 의존해 온 피부 센서리 연구보다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여 더욱 빠르고 효과 높은 제품 개발이 가능하다. 더불어 처방 시뮬레이션을 정밀하게 설계, 화장품 사용감을 인체적용시험 대비 90% 이상의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아모레퍼시픽 연구진은 두 건의
화장품 OGM 전문기업 코스메카코리아 CIR(Creative Innovation Research)센터 연구진이 2024 세계화장품학회(IFSCC Congress·10월 14일~17일(현지 시각)·브라질 포스두이구아수)에서 ‘엑소좀-리포좀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관한 신기술 관련 논문을 발표, 화장품 업계와 학계의 관심을 받았다. 올해로 34회를 맞이한 세계화장품학회는 전 세계 화장품 과학·연구자들이 모여 최신 기술과 연구결과를 공유하는 자리다. 코스메카코리아는 ‘효과있는 약물 전달을 위한 수국잎 세포외소포체의 엑소좀 융합’(A New Approach for Anti-Inflammatory Therapy: Exosomal Fusion of Hydrangea Macrophylla Leaf Extracellular Vesicles for Effective Drug Delivery)을 타이틀로 잡은 주제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가 주목을 끈 것은 항염증 효과를 위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했기 때문이라는 평가다. CIR센터 연구진은 식물 엑소좀과 리포좀의 막 융합을 통해 혁신성을 갖춘 경피전달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자외선에 의한 나타나는 피부 염증 반응 완화를 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