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원장 김현철)이 28일 미국법인 ‘KTR 미주’ 개소식을 열었다. ‘KTR 미주’ 개소식에는 김영완 대한민국 LA 총영사, 박근형 KOTRA LA 무역관장, 편정현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LA사무소장 등과 김현철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장이 참석했다. KTR 미주(Americas Inc.)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세리토스(Cerritos)에 설립됐다.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이 100% 출자한 독립법인이다. 미국‧캐나다‧브라질‧멕시코 등 미주 지역에서 △ 시험 인증 △ 제품 등록 △ 규제 대응 업무 등을 수행한다. 특히 KTR 미주법인은 미국‧캐나다 인증‧규제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FDA(미국 식품의약국), FCC(미국 연방통신위원회), CPSC(미국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 TSCA(미국 독성물질규제법) 등과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브라질‧멕시코 등 중남미 국가의 필수 인증 업무도 대행한다.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은 KTR 미주법인을 통해 국내 기업의 미국 내 법정대리인 역할을 맡는다는 목표다. 뷰티‧식품‧의료기기 수출기업이 급변하는 미국 규제 환경에 신속하게 대응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김현철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장은 “미국은 글로벌
 
								클린화장품에 대한 단체표준이 제정됐다.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이하 KTR)이 9월 9일 클린화장품 단체표준을 공표했다. 이어 KTR은 23일 충북 청주오스코에서 ‘화장품의 새로운 패러다임-클린화장품’ 세미나를 열고 단체표준을 발표했다. 단체표준 제정‧공표에 이어 올해 안에 클린화장품 인증제도를 시행할 계획이다. 국내 뷰티업계에선 클린화장품에 대한 정의와 기준이 모호해 그린워싱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무늬만 클린뷰티’가 넘쳐나며 소비자 신뢰도가 하락했다는 지적이다. 이번 단체표준 제정은 K-클린화장품에 대한 근거와 기준, 시험법, 인증 등이 공적 제도화된다는 의미를 지닌다. 클린화장품에 대한 제3자 검증을 바탕으로 객관적 신뢰성을 확보할 길도 열렸다. 이는 중소 브랜드의 해외 진출 확대와 K-뷰티의 수출 경쟁력 상승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단체표준=용어‧성능‧기술 표준…법적 구속력 X 국가기술표준원에 따르면 단체표준이란 △ 공공의 안전성 확보 △ 소비자 보호 △ 구성원들의 편의 등을 도모하기 위해 전문 분야의 기호‧용어‧성능‧절차‧방법‧기술 등에 대해 제정한 표준을 말한다. 산업표준화법 제127조(단체표준의 제정 등)에 의거한다. 단체표준을 제정할 수 있는 단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원장 김현철)이 26일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KTR충북센터에서 ‘클린뷰티 화장품 기술 인증 실무 교육’을 실시한다. 이번 교육에서는 클린뷰티 분야의 글로벌 기술 동향을 소개한다. 또 클린뷰티 인증과 표준화 절차 등을 안내한다. 발표 주제는 △ 클린뷰티 화장품 산업 정의와 시장 동향 △ 친환경 인증 기준(클린화장품 단체 표준) △ 클린화장품 단체표준(안)(적용범위‧요구사항‧시험방법) 등이다. 교육 참가 희망자는 화학융합시험연구원 홈페이지에서 사전 신청 후 참여할 수 있다. 문의 (02)2164-0187(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원장 김현철)이 오늘(26일) 충북 청주시 오송읍에서 ‘KTR 화장품 바이오 연구소’ 기공식을 개최했다. 화학융합시험연구원은 화장품 바이오 연구소를 중심으로 클린화장품 산업 기반을 구축한다. 충청북도와 청주시도 참여한다. 클린화장품은 인간과 자연에 유해한 성분을 배제하고 지속가능한 원료‧용기‧포장재를 사용한다. 탄소중립‧인권존중‧사회적기부 등 ESG를 추구하는 화장품을 가리킨다. 화학융합시험연구원은 2026년까지 예산 약 236억 원을 투입해 클린화장품 생태계 조성에 나선다. 예산은 화학융합시험연구원이 110억 원을 집행한다. 나머지는 국비 70억 원, 지방비 56억 원을 배정한다. 이와 관련 보건복지부는 1월 ‘충북 글로벌 클린화장품 산업화 기반 구축’ 사업에 국고보조금 사용을 확정했다. 이 사업은 충북도‧청주시‧화학융합시험연구원이 기획했다. 화학융합시험연구원은 내년 말까지 오송 첨단복합의료산업단지에 클린화장품 시험인증 인프라를 구축한다. 클린화장품 원료‧생산‧포장 등 전주기에 걸친 인증제도를 운영한다는 목표다. KTR 화장품 바이오 연구소는 부지면적 13,061㎡, 연면적 3,682㎡(약 1,114평, 지상 2층) 규모로 마련됐다.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원장 김현철)이 22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지사를 열었다. ‘KTR 인도네시아’는 수출입 규제 대응 기관이다. 국내 기업이 인도네시아 진출 시 필요한 시험인증과 인허가 등을 지원한다. 화장품을 비롯해 식품‧의료기기‧전자제품 등의 할랄 인증과 인도네시아 강제인증(SNI)을 담당한다. 3월 시행된 인도네시아 수입쿼터 대응 업무도 맡는다. 인도네시아는 지난 해 12월 수입쿼터제를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자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품목별 수입량을 제한하는 제도다. 화장품‧전기전자제품 등 소비재 품목을 대상으로 사전 수입승인과 선적 전 검사 제도를 도입했다. 이에 인도네시아 수출기업은 사전수입승인과 사전수입승인을 위한 기술적 고려사항(Pertek)을 발급받아야 한다. 김현철 화학융합시험연구원 원장은 “한국과 인도네시아는 1973년 수교를 맺었다. 지난 50년 동안 교역량이 140배 늘었다. 국내 기업이 인도네시아에 성공적으로 진출하도록 돕겠다”고 전했다.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원장 김현철)이 13일(화) 전남 나노바이오연구센터와 업무 협약을 맺었다. 화장품을 비롯한 바이오산업의 시험과 인증 등을 지원한다는 내용이다. 나노바이오연구센터(센터장 김용주는 전남바이오진흥원 산하 정부기관이다. 나노기술을 이용해 천연 생물소재를 개발한다. 또 생명바이오 분야의 연구개발 사업을 진행한다. 화학융합시험연구원은 나노바이오연구센터와 손잡고 △ 화장품‧의약품‧식품‧의료기기 신기술 개발 △ 전문 인력 교류 △ 기술 지원을 추진한다. 나아가 고부가가치 나노바이오기술을 활용해 신소재를 개발, 제품화하는 프로그램도 마련한다. 이승영 화학융합시험연구원 헬스케어연구소장은 “전남은 바이오산업을 전략적으로 키우고 있다. 나노바이오연구센터와 함께 바이오기업의 소재‧기술 개발을 돕겠다”고 전했다.
 
								화학융합시험연구원이 우즈베키스탄으로 수출하는 화장품에 대한 적합성 인증을 실시한다.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원장 김현철)은 27일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팁스탠다드에서 이 회사와 업무 협약을 맺었다. 팁스탠다드(TIB-STANDART)는 우즈베키스탄의 시험인증기관이다. 김현철 원장과 킴 파리다 루스타모브나(Kim Farida Rustamovna) 팁스탠다드 대표는 화장품 적합성 인증 사업을 공동 추진한다. 화학융합시험연구원은 우즈베키스탄 수출에 필요한 화장품 적합성 인증(GOST-UZ) 전 과정을 대행한다. 28일에는 우즈베키스탄 친환경 인증기관인 다브에코써티피켓과 MOU를 체결한다. 다브에코써티피켓(Davekosertifikat)은 우즈베키스탄 생태환경 기후변화부 산하 기관이다. 환경 관련 품질 시스템 인증과 대기‧수질 시험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화학융합시험연구원은 이 기관이 주관하는 친환경인증의 사전 서류 검토를 맡는다. 우즈베키스탄은 올해부터 친환경인증제도인 그린 스탠다드(Green Standard)를 시행하고 있다. 친환경 기준에 적합한 제품에 에코라벨링 인증서를 발급한다.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원장 김현철)이 13일 동탄2 인큐베이팅센터 1층에서 경기화성센터 개소식을 열었다. 화학융합시험연구원 경기화성센터는 화성 향남읍 화성상공회의소에서 동탄신도시 내 동탄2 인큐베이팅센터로 자리를 옮겼다. 동탄2 인큐베이팅센터는 바이오‧반도체 등 첨단산업기업이 많은 동탄도시첨단산업단지에 있다. 중소‧벤처기업의 신기술 사업의 거점 역할을 할 전망이다. 화학융합시험연구원은 경기화성센터를 중심으로 경기 남부 기업의 시험인증 서비스를 확대한다. 주요 업무는 △ 시험인증 상담 △ 해외인증 대행 △ 정부 지원사업 △ 화학물질 등록 등이다.
 
								안전성평가솔루션(주)(대표 신희준·이하 안평솔)과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원장 김현철·이하 KTR)이 지난 26일 시험 방법론의 발전과 화장품 안전성 평가 분야의 혁신 육성을 목표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안평솔과 KTR이 체결한 업무협약은 상호 교류와 협력에 대한 의지를 확고히 하는 동시에 양 측의 전문성을 활용해 다양한 사업 영역에서 발전을 기대하고 있다. 신희준 안평솔 대표는 관련해 “안평솔은 산업 발전 추진에 있어 협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며 “KTR과의 파트너십은 동물대체 시험법의 경계를 넓히려는 우리의 공동 노력과 협력을 의미하며 화장품 안전성평가 연구의 발전을 도모하게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양 측은 이번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 화장품 안전성 평가·규제 강화 관련 내용에 대응을 위한 동물대체방법 연구 △ in silico·in vitro 기반 화장품 안전성 평가 연구 △원-스톱 서비스 체제 구축 등 다양한 부문에서 상호 교류협력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동시에 시장에서의 경쟁 우위를 강화하고 소비자를 위한 최고 수준의 품질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협력도 진행한다. KTR 이승영 헬스케어연구소장은 “안전성 평가의 우수성을 추구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원장 김현철)이 오늘(15일) 서울경제진흥원과 업무 협약을 맺었다. 중소기업 유망산업 육성과 서울형 R&D 전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한다는 내용이다. 서울경제진흥원(SBA)은 1998년 설립된 서울시 출연기관이다. 서울 중소기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혁신 기술을 개발한다. 화학융합시험연구원은 서울형 R&D 지원 사업 수행기관을 대상으로 글로벌 규제‧인증 자문을 담당한다. 서울형 R&D 연구개발기관에 기술자문을 제공한다. 서울형 R&D 지원사업 분야는 △ 뷰티 패션(동대문) △ 바이오(홍릉) △ 로봇(수서) △ 핀테크 블록체인(여의도) △ 인공지능(양재) 등이다. 서울시는 5대 신성장 분야 핵심 산업에 연간 200억 원을 투자해 100개 과제 R&D를 지원한다. 김현철 화학융합시험연구원장은 “서울형 R&D 지원사업을 아우르는 시험인증 인프라를 보유했다. 55년 노하우를 활용해 서울 중소기업의 성장을 돕겠다”고 전했다.
 
								화학융합시험연구원(원장 김현철)은 27일 홍콩 시험인증기관인 HKCC와 업무 협약을 맺었다. HKCC(Hong Kong Certified Centre)는 1998년 설립됐다. 인증 분야는 △ 전기전자제품(IECEE CB Scheme) △ 안전마크(HK) △ 생분해제품 △ 에코마크 등이다. 이번 협약에 따라 화학융합시험연구원은 홍콩 에코마크 획득을 지원한다. 에코마크(Eco Mark)는 소비재에 부여하는 친환경 인증이다. 제품 생산‧사용‧폐기 단계별 환경 영향을 파악해 제공한다. 화학융합시험연구원은 HKCC와 친환경 인증 분야의 정보와 기술을 교류할 계획이다. 친환경 제품을 홍콩에 수출하는 기업에게 유용한 서비스를 지원한다는 목표다.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원장 김현철)이 20일 경기 과천 본원에서 한국이슬람교와 업무 협약을 맺었다. 김현철 화학융합시험연구원장과 김동억 한국이슬람교 이사장은 이슬람국가 수출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화장품 분야의 할랄인증을 지원해 중동‧동남아 수출을 늘려가기로 합의했다. 한국이슬람교는 이슬람 종교단체다. 1994년 할랄위원회를 조직해 할랄 인증 사업을 시작했다.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할랄 인증기관과 상호 인정 체계를 구축했다. 현재 대표적인 할랄인증인 말레이시아 JAKIM과 인도네시아 BPJPH 등을 대행한다. 할랄(HALAL)은 이슬람 율법(Shariah)에 따라 허용된 것을 의미한다. 할랄인증은 이슬람 국가의 정부나 민간기관에서 시행한다. 제품이 이슬람 율법에 어긋나지 않는다는 것을 입증한다. 김현철 화학융합시험연구원장은 “화장품기업을 대상으로 할랄인증 컨설팅을 실시할 예정이다. 국내 대표 화장품 할랄인증 시험기관으로 발전하며 이슬람권 수출 증대를 꾀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