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화장품 수출이 최근 4년간 161%가 증가하며 러시아가 한국 10대 수출대상국에 올랐다.
KOTRA(사장 김재홍·www.kotra.or.kr)는 1일 ‘러시아 화장품 시장 동향과 우리기업 진출전략’ 보고서를 통해 러시아의 화장품시장 지역별 특성, 진출전략 및 유의사항을 중심으로 기업들에게 현지진출을 위한 맞춤형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러시아 뷰티제품 시장 10조원 규모… 수출 4년 새 161% 증가
러시아의 뷰티제품 시장규모는 2016년 기준 10조원(91억 달러) 규모로 세계 시장의 2%를 차지하면서 11위를 기록했다. 2012년에 비하면 38%가 감소했는데 현지화(루블) 가치가 2012년 31.09루불에서 2016년 61.36루블로 50%이상 평가절하된 것을 감안하면 2014년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경기침체에도 불구 완만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2020년까지 러시아 뷰티제품 시장은 연평균 3%수준의 성장이 전망된다.
한국 화장품의 대(對)러시아 수출은 2012년 1천852만 달러에서 4년만인 2016년 4천828만 달러로 161% 성장해 러시아는 우리의 제 10대 수출대상국으로 부상했다. 특히 이 중 전체 56%를 차지하는 메이크업 및 기초 화장품이 전년대비 69% 증가하면서 수출을 주도했다.
주 소비층인 25~34세 여성, 한국의 스킨케어 제품에 관심 높아져
러시아의 화장품 시장은 스킨케어 제품이 1위(30%)를 차지하고 향수와 헤어제품이 그 뒤를 잇고 있다. 헤어제품 수입규모가 세계 5위를 차지할 정도로 러시아 화장품 시장은 수입 의존도가 높고 유럽 브랜드에 익숙해 제품별 선호가 매우 뚜렷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KOTRA의 현지 바이어 설문에 따르면 주 소비층인 젊은 여성들은 과거 색조화장품을 중시했으나 최근 건강한 피부 관리를 위한 스킨케어 제품이 대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류 및 SNS에 힘입어 스킨케어 관련 한국 제품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서부 러시아(모스크바 등)와 시베리아에서는 2010년부터 블로거, 유튜브를 통해 한국 중저가 브랜드의 천연재료 화장품 및 BB/CC크림이 널리 알려졌고, 극동러시아는 2012년부터 한국 브랜드매장 진출이 본격화되면서 인지도가 높아졌다.
남성 화장품(향수, 쉐이브 등)과 천연재료 화장품을 포함한 고품질 영유아 화장품시장 전망도 밝다. 남성 쉐이빙 제품은 2016년 기준 8천300억 원(약 7억 달러)으로 2011년 대비 39% 성장했고 영유아 화장품은 2020년까지 연간 5%씩 성장할 전망이다.
세밀한 타켓팅 필요··· 인증‧러시아어 표기도 철저히 준비해야
러시아는 넓은 국토면적과 많은 인구, 확고한 지역별 특색으로 성별·연령별·지역별 수요 특성에 맞춘 마케팅 전략을 구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남성용 제품은 주 수요층이 중산층 이상이기 때문에 프리미엄 이미지를 강조해야 하며 지리적으로 가까운 극동러시아 지역에서는 초창기 일본산만 취급하던 바이어들이 이제는 한국제품도 같이 수입하고 있다는 점도 유통채널 선택 시 고려해야 한다.
최근엔 다기능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한국 화장품의 강점인 건강(천연재료)과 실용성을 적극 어필할 필요가 있으며 기존의 장점인 유럽, 일본 제품대비 적정한 가격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러시아의 인증제도에 대한 철저한 분석도 필요하다. 러시아 시장으로 화장품을 수출할 경우 개별품목당 ‘제품등록인증서’와 ‘적합성신고서’를 발급받아야 하는데 절차가 복잡해 전문가와 사전에 검토를 거쳐야 보다 효율적으로 시장에 진출할 수 있다. 또한 라벨링 및 통관에 별도규정에 없는 경우에도 러시아어 표기가 기본이므로 시장 진출에 앞서 이를 철저히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윤원석 KOTRA 정보통상협력본부장은 “세계 11위인 러시아 화장품 시장에서 한국 화장품은 K-뷰티 열풍 확산과 함께 빠르게 현지 취향을 파고들어 수출이 크게 증가 중”이라며 “한국 기업들은 SNS를 통한 마케팅 강화와 현지 기후 및 경제수준에 맞춘 보습, 노화방지에 특화한 가성비 높은 복합기능성 제품으로 향후에도 꾸준한 시장 확대가 전망된다”고 전했다.
'러시아 화장품 시장 동향과 우리기업 진출전략' 보고서는 코스모닝-통계&마케팅 데이터 자료실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