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화장품 연구·개발·생산(ODM) 전문회사 코스맥스(회장 이경수)가 급변하는 중국 화장품 시장에 대한 트렌드를 점검하고 이와 관련한 심도깊은 논의를 통해 새로운 기술과 콘셉트를 적용한 신제품 개발로 시장 선도 의지를 다졌다.
코스맥스는 지난 21일 중국 상하이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올해로 네 번째를 맞는 중국 화장품기술콘퍼런스(The Society for Cosmetic Science of COSMAX China·이하 기술콘퍼런스)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첸창광 중국IFSCC 회장·췐이화 상하이화장품협회 비서장·주덩쉐 상하이 식품의약품 감찰국 과장 등 상하이 정부 관계자를 비롯해 로레알·존슨앤드존슨 등 글로벌 화장품사 관계자, 상하이 교통대학·산둥대학 교수진 등 150여 명이 참석했다.
기술컨퍼런스에서는 글로벌 화장품 기술 트렌드와 함께 급변하는 중국 온·오프라인 화장품 시장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발표가 이어졌다.
코스맥스의 주 고객사 로레알·메리케이·바이췌링 등 각 사의 연구소장과 마케터들이 직접 참여해 중국 뷰티시장을 이끌고 있는 주링허우(90后)와 주우허우(95后)의 온라인 소비패턴에 대한 토론도 펼쳤다.
중국 온라인 뷰티시장은 이제 만 19세~23세(약 2억500만 명)의 주우허우(95后)가 소비 시장의 주요 구매자로 떠올랐으며 SNS 플랫폼을 통해 화장품을 구매하고 소비하는 패턴을 보이고 있다는 것.
코스맥스차이나 김연준 연구원장은 “이번 콘퍼런스는 중국의 Z세대라고 불리며 소비주체로 떠오른 주우허우(95后)에 대해 많은 이해를 할 수 있는 기회가 됐다”며 “이 행사는 현지 고객사들과 함께 중국 화장품 시장을 이끌어 가는 흐름을 짚고, 주도할 수 있는 중요한 기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신기술과 관련해 △ 분체 표면 처리기술(다나카 타쿠미 박사·일본) △ 마이크로바이옴과 화장품 개발(데니스 월러 박사·스위스 지보단) △ 무기 소재 디자인 개발(남윤성 교수·한국 카이스트) △ 민감성 피부 화장품 개발(이시다 고이치 부사장·일본 가오) 등의 주제가 발표됐다.
코스맥스에서 개발한 ‘X-fine’ 등 기술 브랜딩 소개와 함께 △ 중국 신세대 메이크업 트렌드 △ 올 하반기 중국 화장품 시장의 전망 △ 마이크로바이옴과 피부 노화 예방, 모사체 연구 △ 파우더 기술의 변화와 적용 등 중국 화장품 산업의 미래에 대한 내용도 관심을 모았다.
최경 코스맥스차이나 총경리(부회장)는 “최근 중국 현지 브랜드의 시장점유율은 성장속도가 매우 빠르고 소비 패턴도 다양해졌다”고 진단하고 “코스맥스차이나는 하반기부터 마케팅·연구·생산 등 모든 조직을 온·오프라인 이원화 체계로 변경해 고객사에게 맞춤형 신제품을 제안할 것”이라고 공식 선언했다.
■ 중국 소비자 변화
1. 세대별 특성
1) 바링허우(80后) 세대는 덩샤오핑의 한 가구 한 자녀정책 실시 이후인 1980년대에 태어 나 독자로 성장한 이들로 ‘소황제’라고 불린다.
2) 1990년대에 태어난 주링허우(90后)는 개혁개방 시기에 청년기를 보낸 부모 밑에서 자라 자본주의적이고 개인주의 성향을 지녔다.
3) 해외유학을 다녀오는 등 고학력자가 많고 선호 대학이 대부분 미국과 유럽 등 서방의 선진국에 분포돼 해외 문화에 대한 추종 현상이 강하다.
4) 개인의 성취감과 만족감을 위해 소비를 하는 성향이 강해 중국 명품 소비를 주도하고 있다. 컨설팅 기업 맥킨지에 따르면 바링허우와 주링허우는 중국 전체 명품 소비의 78%를 차지한다.
2. 낮아진 뷰티 소비자 연령대
1) ‘Z세대’라고 불리는 주링허우(90后), 주우허우(95后)가 뷰티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하나 금융투자에 따르면 Z세대는 중국 화장품 소비 가운데 약 50%를 차지한다.
2) 특히 주우허우(95后)가 성인이 됨에 따라 18~24세 사이의 젊은 연령대가 소비 시장의 주요 구매자로 떠올랐고 소비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3) 중국 산업전망연구원의 분석에 따르면 주우허우(95后)의 뷰티관련 소비는 지난해 347% 상승하면서 3년 연속 세 자릿수 성장을 나타냈다.
4) 중국 전자 상거래 업체 알리바바가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 티몰의 구매자는 3억 명을 넘어섰으며 그 가운데 주우허우가 5천만 명 이상으로 집계됐다.
3. 지역별 특색 강화: 소비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지역별 특성이 분명하게 드러나는 경향이다.
1) 동부 : 상하이를 중심으로 글로벌 럭셔리 초고가 기초 제품 위주의 소비성향이 뚜렷하 다.
2) 서부 : 내륙 지방을 중심으로 마스크 팩 구매가 늘어나고 있으며 현재 화장품은 보급 단계라고 할 수 있다.
3) 남부 : 광저우, 선전을 중심으로 많은 로컬 브랜드들이 탄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성 장하는 신흥 로컬과 30년 이상의 전통을 자랑하는 기득권 로컬 간의 신제품 마 케팅 경쟁이 격화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4) 북부 : 베이징, 텐진을 중심으로 K-뷰티 선호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