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앤레스토랑 뉴스레터 신청하기 일주일 그만보기 닫기

2024.04.23 (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화장품

아모레, 3분기 매출 -23%·영업이익 -49%

2020년 3분기 경영 성과 발표
매출액 1조 2,086억원, 영업이익 610억원

☞코스모닝 뉴스레터 구독하기 검색창에 '코스모닝'을 쳐보세요.

 

아모레퍼시픽그룹이 2020년 3분기 매출 1조 2천86억 원과 영업이익 610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3%, 영업이익은 49% 감소한 수치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코로나19로 침체된 국내외 화장품 시장 상황을 돌파하기 위해 다양한 사업 파트너와 협력을 맺고 혁신 제품을 선보였다.

 

국내서는 코로나19의 영향과 채널 재정비로 인해 면세‧백화점‧로드숍 등 오프라인 채널 매출과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이에 네이버‧11번가‧무신사‧알리바바 등 디지털 플랫폼과 협력해 성장성을 확보했다. MZ세대 트렌드를 반영한 라네즈 네오쿠션은 출시 2달 만에 12만개 이상을 판매했다. 비레디‧브로앤팁스‧큐브미‧순플러스‧레어카인드 등 신규 브랜드와 미쟝센‧해피바스‧일리윤 등 뷰티 브랜드 매출이 오르는 성과도 거뒀다.

 

해외에서도 코로나19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다만 디지털 마케팅에 힘입어 온라인 채널 성장세는 두드러졌다. 중국 온라인 시장에서 럭셔리 브랜드가 선전했다. 프리미엄 브랜드도 라이브 커머스로 이커머스 채널을 공략했다. 설화수가 인도 나이카에, 에뛰드가 중국‧말레이시아 멀티브랜드숍에 입점했다.

 

북미와 유럽 시장에서는 오프라인 채널 조정과 관광 수요 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으며 매출이 줄었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혁신 제품과 온‧오프라인 시너지 마케팅을 바탕으로 실적 개선의 교두보를 마련할 계획이다.

 

 

 

 

[2020년 3분기 주요 뷰티 계열사 경영 성과]

 

△ 아모레퍼시픽 : 매출 1조886억 원(-22%), 560억 원(영업이익 -48%)

 

아모레퍼시픽은 1조 886억원(-22%)의 매출과 560억원(-48%)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지속된 코로나19 영향과 채널 재정비로 인해 면세‧백화점‧로드숍 등 오프라인 채널의 매출과 영업이익도 감소했다. 이에 네이버‧11번가‧무신사‧알리바바 등 디지털 플랫폼과 손잡고 성장성 확보에 힘 쏟았다.

국내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8% 감소한 6천 727억 원, 해외 사업 매출은 13% 감소한 4천 232억 원을 나타냈다.

 

- 아모레퍼시픽 국내 사업 : 매출 6천727억 원(-28%), 영업이익 360억 원(-57%)

 

럭셔리 브랜드는 면세점‧백화점‧방문판매 등 오프라인 채널에서 매출이 줄었다. 전용 제품을 선보이고 라이브 방송 등에 나서며 침체 상황을 극복했다. 설화수는 고가 라인을 집중 육성하며 브랜드 자산을 강화했다. 헤라가 립과 페이스 메이크업에, 바이탈뷰티가 이너 뷰티 시장에 집중하는 등 핵심 카테고리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확대했다.

 

프리미엄 브랜드도 오프라인 채널 매출이 하락했다. 반면 비레디‧브로앤팁스‧큐브미‧순플러스‧ 레어카인드 등 신규 브랜드가 견고하게 성장했다. MZ세대 트렌드를 반영한 라네즈 네오쿠션이 출시 2달 만에 12만개 판매됐다. 아이오페도 에센스 부문의 성장과 스킨케어 매출 확대로 선전했다.

 

데일리 뷰티 브랜드는 미쟝센‧해피바스‧일리윤의 매출이 확대되며 전체적인 성장을 이끌었다. 주요 브랜드의 핵심 제품을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강화해 판매 호조를 이끌었다.

 

- 아모레퍼시픽 해외 사업 : 매출 4천232억원(-13%), 영업이익 197억원(-43%)

 

아시아 사업은 전년 동기 대비 13% 감소한 3천 943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럭셔리 브랜드는 중국에서 온라인 매출이 전년 대비 80% 이상 성장했다. 지난 8월 티몰의 슈퍼 브랜드 데이에서 설화수 자음생 라인 매출이 전년 대비 150% 증가하는 성과도 달성했다. 이외에도 설화수가 인도의 뷰티 전문 유통사인 나이카와 동남아 최대의 이커머스 플랫폼인 쇼피에 입점하며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을 공략했다.

 

프리미엄 브랜드는 라네즈 ‘퍼펙트 리뉴’와 마몽드 ‘에이지 컨트롤’ 라인 등 혁신 제품 리뉴얼 전략으로 중국 시장을 공략했다. 또 태국에서는 라네즈가 ‘네오쿠션’ 페이스북 언택트 라이브 이벤트를 진행하고, 중국에서 마몽드가 라이브 커머스를 확대하는 등 온라인 마케팅도 강화했다.

 

이니스프리는 ‘블랙티 앰플’을 중국 시장에 출시하며 고기능성 라인업을 강화했다. 또 태국에서는 쇼피의 슈퍼 브랜드 데이 행사를 열었다.

 

에뛰드는 중국의 ‘The Colorist’와 말레이시아 왓슨스에 잇달아 입점하며 멀티브랜드숍 채널을 확장했다. 아시아 주요 국가의 오프라인 채널 재정비에 박차를 가하며 수익 개선을 위한 기반도 마련했다.

 

북미 사업은 239억원(-16%)의 매출을 기록했다. 백화점이나 원브랜드숍 등 오프라인 채널을 조정하며 전체 매출이 하락했다. 라네즈 ‘립 슬리핑 마스크’의 판매 호조와 이니스프리 온라인 직영몰의 성장이 눈에 띄는 성과다.

 

유럽 사업은 매출 50억원(-15%)을 기록했다. ‘립 슬리핑 마스크’와 ‘립 글로이 밤’의 판매 호조로 라네즈의 매출은 성장했다. 지속된 코로나19 여파로 관광 수요가 감소하며 구딸 파리의 매출은 하락했다.

 

△ 이니스프리 : 매출 803억원(-38%), 영업이익 적자전환

 

이니스프리는 매출 803억원을 기록했다. 코로나19로 인한 매출 감소가 이어지며 영업이익은 적자 전환했다. 온라인 채널과 로드숍 매장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며 직전 분기 대비 영업적자 폭은 감소했다. 피부 항산화‧항노화 효과를 지닌 ‘블랙티 유스 인핸싱’ 출시로 기능성 스킨케어 카테고리도 강화했다.

 

△ 에뛰드 : 매출 266억원(-33%), 영업이익 적자 축소

 

에뛰드는 매출 266억원을 나타냈다. 로드숍 매장 방문 고객 감소로 매출은 하락했지만, 손익 중심의 사업 구조 개편으로 적자폭은 줄었다. 카카오톡 선물하기 전용 상품인 ‘생일빵 아이팔레트 오븐 키트’를 출시하는 등 디지털 대응력을 높였다.

 

△ 에스쁘아 : 매출 102억원(-22%), 영업이익 적자 전환

 

에스쁘아는 매출 102억원을 기록했다. 직영 매장 축소와 면세 채널 부진으로 전체 매출이 감소하며 영업이익도 적자 전환했다. 라이브 커머스 운영 등 유통사와의 전략적 협업을 강화했다. 아티스트 인플루언서 마켓인 ‘크루마켓’을 운영하고, F/W 룩북 팔레트 ‘빈티지 레이스’ 출시로 직영몰 역량을 높이며 시장을 공략했다.

 

△ 에스트라 : 매출 216억원(-12%), 영업이익 7억원(80%)

 

에스트라는 매출 216억원, 영업이익 7억원을 올렸다. 전체 매출은 낮아졌으나 원가율 개선과 비용 효율화로 영업이익은 증가했다. ‘에이시카 스트레스’와 ‘테라크네365’ 라인의 마케팅 활동에 집중하며 더마 카테고리 경쟁력을 높였다.

 

△ 아모스프로페셔널 : 매출 172억원(-13%), 영업이익 39억원(-12%)

 

아모스프로페셔널의 매출은 172억원, 영업이익은 39억원이다. 코로나19로 면세와 대리점 매출이 줄며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감소했다. 중국과 신규 시장의 역직구 판매 채널을 확장하고 SNS 소통을 강화해 역직구 매출을 확대했다. 헤어 디자이너 플랫폼 ‘더 아윤채(The AYUNCHE)’를 열어 디지털 기반의 영업 경쟁력도 강화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