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앤레스토랑 뉴스레터 신청하기 일주일 그만보기 닫기

2024.06.18 (화)

  • 맑음동두천 17.8℃
  • 맑음강릉 26.5℃
  • 맑음서울 21.5℃
  • 맑음대전 18.7℃
  • 구름많음대구 21.9℃
  • 구름많음울산 18.8℃
  • 구름조금광주 20.2℃
  • 맑음부산 20.2℃
  • 맑음고창 17.4℃
  • 맑음제주 19.3℃
  • 맑음강화 19.8℃
  • 구름조금보은 16.4℃
  • 맑음금산 16.1℃
  • 맑음강진군 17.1℃
  • 흐림경주시 18.7℃
  • 맑음거제 17.3℃
기상청 제공

캠퍼스

성신여대 뷰티산업학과, 졸업논문 23편 발표

5/22~28, ‘제11회 졸업작품 전시회' 개최

 

성신여자대학교 뷰티산업학과가 5월 17일(금) 운정그린캠퍼스 C동 311호에서 ‘제5회 졸업 논문 발표회’를 개최했다.

 

졸업 논문 발표회에서는 성신여대 뷰티산업학과 4학년 재학생 23명이 참여했다. 이들은 뷰티산업 최신 트렌드와 미래 방향에 대해 1년 간 연구한 성과를 공유했다.

 

졸업 논문은 뷰티산업의 다양한 영역을 아우르는 주제 23가지를 다뤘다. 주요 주제는 △ 향 △ 자외선차단제 △ 화장품 용기 △ 반려동물 화장품 △ 뷰티 인플루언서 △ 비타민C 안정성 △ 화장품 소비 성향 △ MZ세대의 화장품 구매 행동 △ 메이크업 행동 등이다.

 

이날 행사에서 성신여대 이성근 총장과 김주덕 뷰티융합대학원장은 축사를 전하며 학생들을 격려했다.

 

논문지도는 김주덕 뷰티융합대원장을 중심으로 박초희 교수, 서현우 교수, 신정원 교수가 담당했다. 뷰티산업학과 교수의 1‧2차 심사를 통과한 논문 23편이 소개됐다.

 

이번 졸업 눈문은 뷰티산업에 대한 심층적‧체계적 연구 결과를 담았다. 창의적인 뷰티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한 해법을 제시했다는 평가다.

 

김주덕 뷰티융합대학원장은 “글로벌 뷰티시장은 바이오‧나노‧정보통신 기술이 결합해 발전하고 있다. 성신여대 뷰티산업학과는 고부가가가치 뷰티산업을 이끌 융복합형 인재를 배출한다. 뷰티산업학과 학생들이 4년 동안 축적한 뷰티지식을 바탕으로 화장품업계를 선도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박초희 뷰티산업학과 교수는 “졸업 논문 발표회는 뷰티산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산학 교류를 촉진하는 자리다. 논문 자료 수집부터 주제 선정, 결과 도출까지 꼼꼼히 지도해준 교수들께 감사를 전한다”고 밝혔다.

 

 

성신여대 뷰티산업학과는 5월 22일부터 28일까지 운정그린캠퍼스 B동 제4전시실에서 '제11회 졸업작품 전시회'를 진행한다. 이번 전시회는 환혹(幻惑, hallucination)을 주제로 삼았다. 졸업논문 포스터도 함께 전시한다. 외부인도 관람할 수 있다.

 

 

성신여대 뷰티산업학과 제5회 졸업논문 목록은 다음과 같다.

 

△ 향(香)이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미치는 영향 : 플래그십 스토어 경험 인터뷰를 중심으로(권희준)

 

△ 헤어스타일링 제품에 있어서 향기에 대해 기대하는 소비자추구혜택과 구매행동의 관계(김나연)

 

△ 화장품 소비자의 쇼핑 성향이 구매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 : 20대 여성 중심(김다영)

 

△ 고객의 소비성향과 이너뷰티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김서아)

 

△ 지향가치관에 따른 자외선 차단제 사용실태 및 자외선 유해인식에 관한 연구(김지연)

 

△ 20-30대 남성의 대인관계와 사회비교경향성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김진서)

 

△ 뷰티 숏폼 콘텐츠 특성이 브랜드 인지도와 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여대생을 중심으로(김채영)

 

△ 자외선 및 자외선 차단제 인식과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20‧30대를 중심으로(박단비)

 

△ 20대 여성의 메이크업 행동과 신체매력지각이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서하민)

 

△ 화장품 용기 환경문제와 재활용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 및 구매행동(안세희)

 

△ 반려인의 반려동물 화장품 인식과 소비성향이 지속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오은희)

 

△ Z세대 남성의 외모관심도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 차이(이다영)

 

△ 인스타그램 뷰티 인플루언서의 속성에 따른 색조화장품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이소흔)

 

△ SNS 뷰티 인플루언서 속성에 따른 구매의도 및 구전의도에 관한 연구 : 20대 여성을 중심으로(이수빈)

 

△ 맞춤형화장품의 체험마케팅 및 선호도 조사-2030 여성을 중심으로(이영주)

 

△ 립밤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 분석과 소비자 선호도에 관한 연구(20-30대 중심으로)(이예주)

 

△ SNS 마케팅이 20대 여성의 화장품 구매결정요인과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재연)

 

△ M세대와 Z세대의 라이프스타일이 뷰티관리행동과 화장품 구매성향에 미치는 영향(이지윤)

 

△ 비타민 C 안정성 향상을 위한 비수계 제형 설계(임은정)

 

△ 소비자의 소비가치에 따른 비건화장품 구매결정요인 연구(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정고은)

 

△ 20∼30대 여성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소비가치가 맞춤형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정유진)

 

△ MZ세대의 퍼스널컬러에 대한 인식과 외모만족도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정은서)

 

△ 뷰티 인플루언서의 속성에 따른 남성 소비자의 화장품 구매의도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연구(허정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