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 화장품 기업, 할랄로 새로운 100년 연다. 산·학·관 협력으로 탄생한 사이타마현 최초 할랄화장품 브랜드 ‘Melati’ 이시다코쇼(ISHIDA KOSHO·石田香粧)의 역사는 1915년 작은 화장품 가게를 열면서 시작된다. 지금으로부터 100 년 전이다. 소규모 가내 수공업으로 시작했지만 일본 특유의 장인 정신을 바탕으로 ‘저렴하고 양질의 상품을 파는 가게’로 고객들의 신뢰를 받으며 성장했다. 창업후 100년, 2016년 8월 이시다코쇼는 할랄 인증 화장품 ‘Melati’(멜라티) 시리즈를 대중에게 선보인다. 사이타마현에서는 최초로 산·학·관이 공동으로 탄생시킨 ‘Made in Japan’ 할랄 인증 화장품이다. 멜라티는 이슬람 율법에 따라 돼지성분과 알코올을 일절 배제해 만든 천연 화장품이다. 사이타마현에서 규정한 ‘할랄 화장품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에 맞춰 원료와 성분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까지 매우 엄격한 검사 과정을 통해 생산된다. 올 7월 종교 법인 ‘일본이슬람 문화센터’에서 할랄 인증을 획득했고 사이타마현 ‘할랄 화장품 원료 등 연구 개발 컨소시엄’에서 공식 할랄 인증 화장품이 됐다. ‘멜라티’ 개발
H&N(HALAL&NATURAL·대표 사토히토시·佐藤 齊)는 일본 내 할랄화장품 및 OEM 전문 업체다. 2015년 설립된 작은 회사가 왜 할랄화장품 시장에 관심을 가지고 진출하게 되었는지 궁금했다. 가깝고도 먼나라 일본의 소상공인으로 할랄시장에 도전장을 내민 H&N의 사토히토시 대표로부터 이야기를 들어봤다. H&N은 어떤 회사인가? (주)H&N은 ‘HALAL’과 ‘NATURAL’입니다. 2015년 설립된 할랄 화장품 화장품 전문 기업으로 토쿄 경제의 중심 ‘긴자’에 위치해 있습니다. BB크림, 에센스 등 할랄화장품을 제조와 할랄화장품 OEM 사업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시세이도와 고세 보다 먼저 할랄 화장품을 생산하며 차후 일본제 할랄 화장품의 개척자가 되자는 마음으로 창업을 하게 되었습니다. H&N이 생각하는 할랄이란? 전세계 57개국 18 억여명의 인구가 무슬림이며 이들의 생활에 꼭 필요한 모든 제품을 일컬어 할랄이라 합니다. 할랄은 이제 단순히 무슬림만을 위한 제품에서 벗어나 모든 사람들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안전하고 건강한 제품들을 총칭하는 단어로 성장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왜 할랄 화장품 전문 기업이 되었
인증제, 예상보다 쉬워…새로운 경쟁요소로 파악해야 김재흥 할랄산업진흥원 대표는 최근 한-중 양 간의 외교상황에 의한 불안 상황 고조와 침체 국면을 맞고 있는 중국 시장에 대한 새로운 대안 또는 출구 전략의 일환으로 ‘할랄’을 제시했다. 최근 국내 소비자들은 값비싼 유기농 제품을 선택하는 소비성향을 보이고 있다. 안전하고 건강한 제품을 찾는다는 의미다. 같은 맥락으로 최근 중국에서는 다른 제품에 비해 고가에 형성돼 있는 ‘할랄’ 제품이 서서히 인기를 얻고 있다. 중국인들 사이에서도 할랄 인증 제품이 안전하고 좋은 제품이라는 인식이 보편화 되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경우 현재 1억여 명(공식통계 2천400만 명) 가량의 무슬림이 살고 있다. 무슬림을 중심으로 일반 중국인에 이르기까지 할랄은 대중화되기 시작했고 이에 따라 할랄 시장 규모도 점점 커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국 화장품 기업이 이미 가지고 있는 중국 위생행정허가에 ‘할랄 인증’이라는 새로운 무기를 장착한다면 중국 틈새시장의 문을 다시 여는 황금열쇠를 쥐게 될 것”이란 것이 김 대표의 지론이다. 김 대표는 “현재 중국 정부는 한국 제품이 들어설 문을 더욱 단단히 걸어 잠그는 중이다. 이때 주먹
아모레 2억 불·코스맥스 1억 불·코스메카 2천만 불 수상 K-코스메틱 신화가 단순히 K-팝과 한류를 등에 업은 거품이 아니며, 각 기업들의 세계화를 위한 활동과 해외시장 개척 노력이 ‘구호’에만 머물렀던 것이 아닐 뿐만 아니라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시장공략을 통해 신화를 창조하고 있음이 증명됐다. 지난 5일 제 53회 무역의 날 기념식에서 아모레퍼시픽이 2억 달러, 코스맥스는 1억 달러, 그리고 코스메카코리아가 2천만 달러 수출의 탑을 수상함으로써 이 같은 국내 화장품 기업들의 활약상을 여실히 보여줬다. 아모레퍼시픽은 화장품 업계 최초의 2억 달러 수출을 기록했고 코스맥스는 지난 해 5천만 달러에서 올해 두 배 성장한 1억 달러 수출 달성에 성공했으며 코스메카코리아 역시 지난 해 1천만 달러보다 두 배가 늘어난 2천만 달러 수출 기록을 세웠다. 이날 수출의 탑 수상한 기업들의 활약상을 한 눈에 정리했다. <편집자 주> 아모레퍼시픽, 전년보다 45% 늘어 2억8495만 달러 달성 (주)아모레퍼시픽(대표이사 서경배·http://www.amorepacific.com)은 국내 뷰티 기업 최초로 2억 달러 수출의 탑을 수상했다. 아모레퍼시픽의 최근 1년
지난해 한국 화장품 2564만불 수입…4년간 58% 성장 加 보건부, 화장품 규제 계획안 발표 한국과 캐나다의 FTA 발효 이후, 한국산 화장품의 캐나다 수출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한국산 화장품 수입규모는 지난해 기준 2천564만 달러(약 300억5천만 원)로 지난 4년간 57.9%대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한국산 제품은 다국적 기업이 소재한 미국,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등의 뒤를 이어 전체 수입시장의 7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산 화장품 제품의 92%는 로션, 수분크림, 마스크 팩 등으로 스킨케어 제품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 같은 내용은 코트라 캐나다 토론토 무역관의 현지 리포트를 통해 나타난 것이다. FTA를 통한 가격경쟁력 우위 확보 지난해 기준 캐나다 화장품 시장 수입규모는 13억 달러(약 1조5천236억 원)이며 지난 4년간 연평균 7.7% 성장하고 있다. K-뷰티 트렌드와 맞물려 한국-캐나다 FTA(2015.1.1.) 발효 이후 한국산 화장품에는 특혜관세율이(KRT; Korean Tariff) 부과돼 여타 국가에 비해 가격경쟁력에서 유리한 위치를 확보하고 있다. 화장품의 경우 3년에 걸쳐 관세가 단계적으로 철폐될 예정으로
코스모프로프 아시아 홍콩 2016, 한국 기업 활동 상황 516개 한국기업 치열한 홍보·상담 활동 전개해 기존 시장 단단하게, 새 시장은 과감하게 도전 지난 15일부터 18일까지 홍콩 아시아월드엑스포와 홍콩 컨벤션&엑시비션센터에서 열린 ‘코스모프로프 아시아 홍콩 2016’은 전 세계 49개국, 2천700여개 업체가 참가한 가운데 역대 최대 규모로 치러졌다. 아시아 화장품 강국으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다져가고 있는 한국도 무려 516개 기업이 단체·지자체 별로 한국관을 구성하거나 독립 부스로 참가함으로써 ‘K-뷰티·K-코스메틱’을 앞세워 아시아 시장을 넘어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치열한 활동을 펼쳤다. 이번 코스모프로프 아시아 홍콩에서 전개한 한국기업들의 활약상을 한 번에 모아본다. <편집자주·관련기사 코스모닝 제 15호(11월 28일자) 4·5면 참조> 웰코스-과즙 스킨케어 ‘후르디아’로 시장개척 ‘효연’ ‘터치테라피’ 등 다양한 스킨·바디 케어 브랜드를 보유한 웰코스(대표 김영돈·http://www.welcos.com)는 새로운 콘셉트의 과즙 스킨케어 브랜드 ‘후르디아’로 새로운 시장개척을 위한 활동을 전개했다. 올해 론칭한 후르디아는 웰코
‘1 페어·2 베뉴즈’ 슬로건…516개 한국기업 'K-뷰티’ 위상 재확인 49개국·2700개 업체·24개 국가관 참가…역대 최대 규모 위용 과시 ‘아시아를 넘어 세계 화장품 시장으로’ 아시아 지역 최대의 화장품·뷰티산업 전시회로 자리매김한 ‘코스모프로프 아시아 홍콩 2016’이 전 세계 49개국(지역) 2천7백 여개 업체가 참가한 가운데 지난 15일부터 18일까지 나흘 간 그 화려한 장정을 마무리했다. 특히 이번 전시회는 OEM·패키지 관련 전문 산업 부문을 별도로 분리, 일정과 장소를 나누어 진행함으로써 전시회 규모와 전문성 부문에서 차별화를 완성했다는 평가를 얻었다. OEM·패키지 관련 전문 기업들이 참가한 전시회는 아시아월드엑스포에서, 화장품(완제품)·향수·토일레터리·헤어살롱 관련 등 코스메틱·뷰티 산업 전시회는 홍콩컨벤션&엑시비션센터에서 열렸다. 이 같은 부문별 분리 전시의 배경에는 해마다 급증하고 있는 참가기업과 관람객 수, 전문적인 상담과 컨설팅을 원하는 국제 바이어의 참관 등을 고려하고 뚜렷해지고 있는 화장품·뷰티 산업의 세분화 경향을 반영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코스모프로프 아시아 홍콩 2016 개황 볼로냐 피에레와 UBM 아
(주)스몰랩 4가지 타입 양산 가능…약물탑재 기술도 보유 월 200만개 생산시설 완비로 대량 수주도 자신 화장품의 유효 성분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피부에 전달시킬 수 있느냐에 대한 기술 개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이를 적용한 신제형 제품 개발에 대한 의지가 결합되면서 새로운 기술을 보유한 기업에 대한 관심 역시 증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의료용 주사기를 대체하는 약물전달 시스템 ‘마이크로 니들’을 화장품 영역으로 확대, 적용시켜 기존 ‘바르는 화장품’보다 효능·효과를 높이는 원천 기술을 보유한 (주)스몰랩(대표 이정규· http://www.smalllab.co.kr)이 주목을 받고 있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지난 2008년부터 마이크로 니들 기술개발과 제품화를 시작, 그 간 지속적인 산·학·연 협력개발을 통해 결실을 맺고 있는 (주)스몰랩은 특히 초기 스틸 바늘을 이용한 의료용 롤러로 출발해 통증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킨 플라스틱 롤러를 처음으로 개발하는 등 의료용 제품에서부터 화장품에 이르기까지 마이크로 니들 기술 분야에서 개척자이자 선두주자로서의 입지를 다져가고 있다. (주)스몰랩의 마이크로 니들 기술 현재 (주)스몰랩이 보유한 관련 기술은 ▲
♠ 설문1. 귀하는 우리나라 화장품산업이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어떠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응답자 70.5% ‘국가 경제 차지 비중 크다’ 지난 해 화장품 생산액만으로도 10조원을 넘어섰고 매출액 1천억 원(2015년 기준) 대를 상회하는 기업이 12개사에 이르게 된 화장품산업이 국가 경제에서 차지하는 현재의 비중을 종사자들은 어떻게 판단하고 있으며 향후 비중은 또 어떻게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을까? 현재 산업 비중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0.5%에 이르는 300명이 ‘크다’(192명) 또는 ‘매우 크다’(108명)라고 답했다. 보통이라고 답한 사람은 94명(22.1%), 작다고 답한 경우는 32명(7.5%)에 불과해 현재 화장품산업 종사자 스스로 산업의 가치와 비중에 대해 높은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설문2. 귀하는 우리나라 화장품산업이 향후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어떠할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90%는 “앞으로 더 커질 것” 장밋빛 전망 이를 바탕으로 향후 산업의 비중에 대한 전망을 물어본 결과 114명(26.8%)이 ‘매우 커질 것이다’라고 답했고 270명(63.4%)은 ‘커질 것이다’라고 응
♠ 설문5. 귀하는 우리나라 화장품산업의 국제경쟁력을 저해(또는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은 무엇이라고 판단하십니까? 중국시장 편중 수출·중국기업 추격이 위협 요인 우리나라 화장품산업의 국제경쟁력을 저해하거나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응답자의 29.1%에 이르는 124명이 중국시장에 편중돼 있는 수출 구조라고 지적했다. 이는 저해요소가 아니라 위협요소라고 분석할 수 있는데, 즉 현재 우리나라 화장품산업의 성장 배경에는 ‘중국시장’이라는 거대하고도 분명한 영역을 인정함과 동시에 이 현실 자체가 위협이 될 것이라는 ‘양날의 검’으로도 인식한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이 질문에 세 번째로 높은 응답률(84명·19.7%)을 기록한 ‘중국 화장품산업의 성장세와 이에 따른 추격’이라는 응답을 더 하면 전체의 절반에 가까운(48.8%) 응답자들이 중국시장을 우리나라 화장품산업 국제경쟁력과 연관지어 생각하고 있다는 점을 반영하고 있다. 매출 1천억 원 대 이상을 기록한 기업이 12개사에 이르고 있긴 하지만 여전히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이라는 양대산맥에 근접할 수 있는 가능성이 ‘실제로는 0%’에 가깝다는 현실을 반영하듯 대기업 중심의 산업 편중
♠ 설문9. 귀하는 현재 화장품산업의 규제 정도가 어떠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응답자 246명 “산업 규제 심하다” 한 목소리 8번 문항에서 나타난 화장품업계의 목소리는 이 문항의 응답을 통해서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즉 현재 화장품산업의 규제 정도를 묻는 질문에 대해 응답자의 57.7%, 246명이 ‘심하다(214명), 매우 심하다(32명)’라고 밝힘으로써 규제 완화·법률과 행정절차의 개선 요구가 현실적으로 절실한 상황임을 반영하고 있다. ♠ 설문10. 귀하는 근래 국산화장품의 수출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수출 일등공신은 ‘관광객’…품질·상품기획은 후순위 ▲ 2015년 화장품 수출액 2조9천280억원(전년 대비 43.8% 증가) ▲ 무역흑자 규모 1조6천973억원 ▲ 최근 5년간 수출 평균성장률 34.3% 등 수출관련 지표들을 요약해 살펴보더라도 국산화장품의 수출 성장세는 가히 놀랄 만하다. 이 같은 성장세에 대해 화장품산업 종사자들은 과연 그 이유를 어디에서 찾고 있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이 질문을 설계했다. 다소 아쉬운 부분이기는 하지만 오히려 실제적인 이유가 꼽혔다. 응답자의 36.2
21C 개막과 함께 떠오른 ‘라이징 스타즈’ 유통변화에 기민한 대응…해외시장에도 전력 투구 마스크팩·달팽이크림·마유크림 등 아이디어 ‘대히트’ ▲ 화장품 제조업체 1천956개 ▲ 화장품제조·판매업체 7천575개 (이상 2016년 8월 10일 현재 기준·식약처 자료) ▲ 생산액 10조 7천328억원 ▲ 수출액 2조9천280억원 ▲ 무역흑자 1조6천973억원 ▲ 기능성화장품 3조8천559억원(전체 화장품 생산액 중 35.9% 점유) (이상 2015년 말 기준·식약처 자료) 현재 우리나라 화장품산업의 위상을 간단하게 설명할 수 있는 통계 수치들이다. ‘1988년 서울올림픽 이후 경기가 좋았던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라는 항간의 우스갯소리를 비웃기라도 하듯 우리나라 화장품산업의 성장과 발전 양상은 가히 경이롭다. 특히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부터의 화장품산업 발전은 국내 그 어떤 산업과 비교해도 그 상승곡선이 가팔랐다. 그렇다면 이 같은 화장품산업 성장과 발전의 배경에는 어떠한 요인이 있었을까? 한 마디로 단정하기는 무리가 따르겠지만, 가장 기본적으로는 산업의 근간이 되는 ‘화장품기업’에 있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본지는 창간을 기해 우리나라 화장품산업을 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