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항일 전 G마켓 대표가 크레이버코퍼레이션 대표에 올랐다. 구다이글로벌(대표 천주혁)은 스킨1004를 운영하는 크레이버코퍼레이션의 신임 대표로 전항일 씨를 선임했다. 이번 인사는 글로벌 뷰티 유통 플랫폼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K-뷰티 생태계를 확장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이다. 전항일 크레이버코퍼레이션 대표는 이베이재팬 대표 시절 K-뷰티를 일본에 안착시켰다. 3년 동안 일본사업을 4배 이상 키우며 경영능력을 인정받았다. 아울러 그는 신세계그룹 통합 멤버십 ‘신세계 유니버스’를 론칭하고, G마켓의 초개인화 서비스를 도입했다. 이커머스 혁신 프로젝트를 주도하며 플랫폼 전문가로 발돋움했다. 전항일 대표는 크레이버코퍼레이션의 스킨1004를 글로벌 유통을 확대할 계획이다. 전세계 바이어에게 K-뷰티를 소개하는 B2B 플랫폼 ‘우마’의 고도화도 추진한다. 우마(UMMA)는 국내 뷰티 브랜드 180여개를 글로벌 바이어에 공급한다. 현지 물류 거점을 통해 빠른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브랜드 수를 늘리고 물류·운영 혁신을 꾀하며 글로벌 뷰티 커머스 허브로도약한다는 목표다. 크레이버코퍼레이션은 지난해 구다이글로벌에 편입됐다. 대표 브랜드 스킨1004의 세계 진출에 힘입어
로레알코리아가 로드리고 피자로를 신임 대표로 선임했다. 로드리고 피자로(Rodrigo PIZARRO) 신임 대표는 로레알에 32년 몸 담았다. 1993년 로레알 포르투갈 입사 후 유럽‧남아메리카‧아시아태평양 등에서 일했다. 그는 베네수엘라‧헝가리 등에서 컨슈머 뷰티 사업부(CPD) 총괄직을 거쳤다. 이어 베네수엘라‧포르투갈‧호주‧뉴질랜드 지사장직을 지냈다. 특히 그는 로레알 호주‧뉴질랜드 지사장을 역임하며 디지털 전환과 데이터 분석 혁신을 주도했다. 데이터와 AI를 기반으로 디지털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해 성장을 이끌었다. 2023년에는 로레알 그룹 남아시아태평양‧중동‧북아프리카(SAPMENA) 지역의 최고 트랜스포메이션 책임자(Chief Transformation Officer)에 올랐다. 커머셜‧마케팅‧오퍼레이션 부문의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구조를 강화했다. 이를 바탕으로 로레알 SAPMENA 지역의 발전에 기여했다. 그는 폭넓은 업무 경험과 사람 중심 리더십을 갖춘 인물로 평가 받는다. 글로벌 비즈니스 전략을 내세워 로레알코리아의 새 도약을 선도할 예정이다. 로드리고 피자로 대표는 “세계 4위 뷰티 수출국인 한국은 글로벌 뷰티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다. K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UAE·튀르키예’ 시장 잠재력은 높게 평가받고 있지만 이의 현실화가 이슈였던 아랍에미리트연합(UAE) 화장품 시장에서 K-뷰티의 성장세가 올해부터 두드러지기 시작했다. 올해 상반기까지 잠정집계한 수출 실적(한국무역통계진흥원 자료 기반)에 따르면 대 UAE 수출은 1억2천200만 달러를 기록, 지난해 같은 기간의 7천200만 달러보다 무려 69.4%가 늘어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UAE는 고급 향수와 뷰티 제품의 주요 소비지이자 새로운 브랜드 발상지로 주목받고 있다는 평가다를 받고 있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조신행· www.kcii.re.kr ·이하 화산연)이 UAE와 튀르키예의 최신 화장품 시장 동향을 담은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제 6호)를 발간했다. ‘두바이 메이드’ 향수, 글로벌 시장 공략 화산연은 “UAE를 기반으로 한 브랜드들은 두바이를 테스트 마켓으로 삼아 다양한 국가에 맞춤형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이 가운데 향수 브랜드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다”며 “특히 ‘두바이 메이드’(Dubai-made) 향수 브랜드들은 아랍 전통 향료라고 할 우드(oud·침향)와 머스크 등을 현
오는 9월 20일(토) 실시 예정인 2025년 두 번째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국가자격시험에 완벽 대비할 수 있는 수험서 ‘Q패스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가 발간됐다. 지난해에는 한 차례만 치렀던 시험을 올해부터는 2회로 늘리고 이번에 시행하는 시험은 지난 5월에 이어 두 번째로 시행한다. 이번 수험서는 △ 필수 핵심 이론 △ 선다형 예상문제 400 △ 실전 모의고사 7회 등과 함께 특별부록으로 △ 핵심 단답형 문제 150개 △ 족집게 문제풀이 무료 인강( www.darakwon.co.kr )까지 제공하고 있다. 저자는 특히 “지금까지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대비과정 수업을 진행하면서 축적해 온 수험자들에게 꼭 필요한 사항을 엄선, 가장 이해하기 쉽게 구성하는데 역점을 기울였다”고 이번 발간의 의미를 강조했다. 다락원 발간/ 691쪽(특별부록 제외)/ 3만8천 원.
지난 2분기 화장품 업계 톱2의 희비가 엇갈렸다. LG생활건강의 2분기(이하 각사 실적은 모두 연결기준)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8.8% 감소한 1조6천49억 원, 영업이익은 65.4% 줄어든 548억 원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다 화장품사업부는 매출 감소뿐만 아니라 영업이익도 적자로 전환하는 부진을 면치 못했다. 반면 아모레퍼시픽홀딩스는 1조950억 원의 매출(8.9% 증가)과 555.5% 증가한 801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선방하는 모습을 보였다. LG생활건강-북미·일본 성장 불구, 전체 매출·영업이익 감소 LG생활건강은 지난달 31일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이같은 2분기 실적을 발표하고 “북미와 일본 사업의 성장세는 지속했지만 전반적인 경기 회복이 더뎌지면서 매출과 영업이익의 감소를 피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Beauty(화장품) 사업부는 시장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원가 부담이 커진 데다 면세·방판 등 전통 채널을 중심으로 국내 사업 구조를 재정비하는 과정에서 매출과 영업이익이 줄었다. HDB(Home care & Daily Beauty·생활용품) 사업부는 프리미엄 브랜드가 해외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어 매출은 증가했으나 고정 비용
대한민국 화장품 수출이 한계를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질주를 계속하고 있다. 올 3월부터 월간 수출 실적 9억 달러 이상을 5개월째 이어가는 호조세가 멈출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는 것. 지난해 우리나라 화장품 월간 수출 실적에서 9억 달러 이상을 기록한 경우는 3개월(9월~11월·10월 수출 실적 10억3천300만 달러: 역대 월간 최고 수출액) 뿐이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김정관· www.motie.go.kr )가 오늘(1일) 잠정 집계 발표한 ‘7월 수출입동향’ 자료에 따르면 화장품 수출 실적은 9억8천200만 달러를 기록, 지난 4월에 기록했던 올해 최고 수출액 10억3천100만 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실적을 올렸다. 6월 실적 보다는 3천300만 달러(3.5%), 전년 같은 기간(8억3천200만 달러) 보다는 1억5천만 달러(18.1%)가 증가한 수치다. 이로써 7월까지 누적 수출 실적은 64억9천100만 달러를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 누적 수출액 56억3천만 달러보다 8억6천100만 달러·15.3%가 늘어난 실적을 보이고 있다. <최초 발표 △ 4월 수출 실적: 10억3천만 달러 → 10억3천100만 달러(100만 달러 증가), △ 5
모레모가 미피 캐릭터 5종 세트를 선보였다. 8월 1일부터 8월 28일까지 올리브영에서 최대 49% 할인한다. 모레모 미피 기획세트는 손상모에 집중했다. 미피가 모레모와 손상모 관리를 위해 모험을 떠난다는 설정을 담았다. △ 헤어트리트먼트 미라클 2X 시그니처 △ 워터트리트먼트 미라클10 시그니처 △ 슈퍼리페어 샴푸 △ 리커버리밤 비 △ 프로리페어 헤어에센스 피오니 플로럴 등 다섯가지로 구성했다. 기획세트 구매 시 미피 파우치‧손거울‧헤어핀 등을 제공한다. 모레모(MOREMO)는 'MORE and MORE'(우리는 매일매일 계속해서 더 나아간다)를 슬로건으로 삼은 헤어 브랜드다. 일본을 비롯해 미국‧동남아 등 세계 26개국에 진출했다.
올리브영이 헤어 볼륨 브랜드 ‘루테카’를 선보였다. 루테카(ROOTECA)는 25~39세 여성의 헤어 고민으로 꼽히는 볼륨감에 집중했다. 두피 건강과 뿌리 탄성을 강화해 모발의 입체감을 되살린다. 루테카 루트 인핸싱 샴푸‧앰플‧토닉 등 세가지로 나왔다. 이들 제품은 ‘빈틈없는 겉·속 뿌리 볼륨 케어’와 ‘360º 볼륨 솔루션 제공’을 핵심 기능을 내세웠다. 두피 건강과 뿌리 탄성을 위한 헤어케어 루틴을 제안한다. 특히 루테카는 정수리나 뒷머리 등 일부 부위의 볼륨감만 살리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났다. 두피 환경을 개선하고, 뿌리 힘 자체를 길러 무너지지 않는 전방위 헤어볼륨을 완성한다. 루테카 ‘루트 인핸싱 앰플 샴푸’는 샴푸와 앰플을 합친 제품이다. 두피 모공을 클렌징하고 영양 성분을 공급한다. 단백질·영양소 복합체인 ‘루트 펩타이틴™’이 뿌리부터 탄탄하게 지지한다. 루테카 ‘루트 인핸싱 앰플 엑스퍼트’는 샴푸 후 도포하는 제품이다. 모발 볼륨이 꺼진 정수리‧가르마‧뒷머리 등에 뿌리면 볼륨을 개선한다. 특허 성분인 바이옴센티드™가 두피 마이크로바이옴의 균형을 잡아준다. 민감한 두피와 약해진 뿌리를 동시에 건강하게 한다. 루테카 ‘루트 인핸싱 볼륨 토닉’은 뿌
더샘이 그룹 아이브(IVE)의 멤버 이서를 브랜드 모델로 발탁했다. 더샘은 이서와 ‘스킨 퍼펙션 글루타치온 토닝 쿠션’ 화보를 촬영했다. 이서는 화보에서 특유의 싱그러운 분위기와 무결점 피부를 뽐냈다. 글루타치온 쿠션은 잡티를 가리고 피부를 밝혀준다. 얼굴을 빛나고 화사하게 연출한다. 토닝 성분인 글루타치온‧비타민C‧마데카화이트와 미백 성분 나이아신아마이드가 들어있다. 피부를 맑고 하얗게 가꿔준다. 촉촉한 제형이 피부에 얇게 밀착해 들뜸 없이 펴발린다. 투명하고 깨끗한 피부 색을 오래 유지한다.
무인양품 ‘발효된 쌀겨로 만들어진 부스터 세럼’을 출시했다. 이 제품은 쌀겨 발효액을 65% 함유했다. 클렌징 후 첫 단계에서 사용하면 다음 스킨케어 제품의 흡수를 높인다. 또 피부 장벽을 강화하고, 보습 효과를 제공한다. 아미노산‧세라마이드 성분이 피부를 촉촉하게 한다. 쌀겨 세럼은 ‘자연의 힘으로 여기까지 할 수 있습니다’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좋은 소재로 좋은 제품을 만든다’는 무인양품의 철학을 반영했다. 2024년 일본 무인양품에서 판매량 1위를 기록했다.
제주테크노파크(원장 지영흔·제주TP)가 제주특별자치도와 함께 2025년 제조 인공지능(AI) 특화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에 참여할 기업을 오는 8월 14일까지 신청받는다.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지원하는 이 사업은 제조 현장에 인공지능(AI)을 접목, 제주지역 중소·중견 기업의 자율제조 기반을 마련하고 기업에 특화된 맞춤형 제조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선정 기업은 AI를 기반으로 생산과 업무 데이터 등 보유하고 있는 대량의 데이터를 실시간 학습·분석하고 제조혁신이 가능한 시스템 구축을 지원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업은 기존 스마트공장의 수준을 AI공장 단계까지 상향시켜 공정의 최적화, 예측 유지보수 등 제조역량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글로벌 화장품 ODM(연구·개발·생산) 전문기업 코스맥스가 임직원 참여형 탄소 감축 프로그램 ‘계탄날’을 상시 운영한다. 계탄날은 ‘계단으로 건강 챙기고 탄소도 줄이는 날’의 줄임말. 참여 결과에 따라 다양한 보상도 받을 수 있어 ‘계 탔다’는 의미도 담았다. 코스맥스는 판교 사옥 근무자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시행을 시작했다.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을 오르면 보상을 제공하는 IoT(사물인터넷) 모듈을 설치, 스마트폰 NFC(근거리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해 출발층 표지에 접촉한 후 도착층에서 다시 접촉하면 자동으로 계단 이용 내용이 기록된다. 참여 직원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자신의 활동 기록과 계단 이용을 통해 감축된 탄소량을 확인할 수 있다. 참여 직원에게는 월별·분기별 보상도 지급한다. 참여만 해도 월별 추첨을 통해 모바일 상품권을 받을 수 있다. 분기별로는 개인과 부서로 나눠 누적 이동 층수를 기준으로 1~3등에게 소정의 포상금을 지급하는 체계도 마련했다. 프로그램 시행 초기부터 직원 관심도도 높다. 지난 6월 한달간 시범 도입 기간 동안 약 200명이 프로그램에 참가했다. 참가 직원이 오른 계단 수만 9천 층에 달하며 이를 통해 탄소 188,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