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우픽이 앳코스메상을 도입했다. 글로우데이즈(공동대표 공준식‧스가와라케이)는 ‘앳코스메 코리아 어워드’를 새롭게 선보였다. ‘앳코스메 코리아 어워드’(@cosme Korea Awards)는 글로우픽 수상작에게 동시에 수여한다. 수상제품은 11월에 발표할 예정이다. 앳코스메는 일본을 대표하는 뷰티 플랫폼이다. 월간 사용자 2천만명을 바탕으로 제품 리뷰와 순위 정보를 제공한다. 사용후기와 랭킹으로 수상제품을 선정하는 ‘베스트 코스메 어워즈’(Best Cosme Awards)를 연 2회 개최한다. 올해 7월 시상식에선 아누아‧파뮤 제품이 이름을 올렸다. 현재 앳코스메 온라인몰과 매장 35곳을 운영하고 있다. 글로우픽은 2013년 탄생한 실사용자 기반 뷰티리뷰 플랫폼이다. 화장품 사용후기 약 500만건을 보유했다. 취향별 화장품과 부문별 순위를 비교‧검색할 수 있다. 2014년부터 글로우픽 어워즈를 개최했다. 소비자 리뷰와 4단계 분석 필터링을 적용해 공정성을 강화했다. 글로우데이즈 측은 “앳코스메 코리아 어워드를 통해 K-뷰티의 일본 진출을 지원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앳코스메를 운영하는 아이스타일은 도쿄증권거래소 프라임 상장사다. 2019년 글로우픽에 전략적
#폭염대응 #이너뷰티 #헤어케어. 일본 시장 공략을 위한 핵심 키워드다. 일본 앳코스메(@cosme)가 ‘2024년 상반기 화장품 트렌드’에서 제시했다. 시원한 뷰티 ‘기록적인 무더위’ ‘살인적인 폭염’. 작년 일본 이야기다. 올해도 일본은 4월부터 초여름 더위가 시작됐다. 일찍부터 덥고 오랫동안 더울 전망이다. 기후 변화는 일본 화장품산업에 영향을 미쳤다. 고온다습한 날씨 속에서 피부를 보송하고 상쾌하게 유지하는 화장품이 강세다. 쿨링 화장품부터 유분 방지 제품, 땀‧체취 제거 데오드란트 등이 인기다. 여름 한정 제품이 연중 필수품으로 자리잡는 모양새다. 앳코스메 측은 “2023년 역대급 폭염이 발생했다. ‘폭포수처럼 흐르는 땀’, ‘얼굴 땀’ 같은 키워드 검색이 증가했다. 소비자들은 10월까지 ‘혹서’를 검색했다. 기후변화가 화장품 사용에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일본 로프트도 무더위 대비 화장품을 미리 소개했다. 4월 20일 도쿄에서 연 ‘코스메 페스티벌’에서다. 대세는 쿨링이다. 피부에 시원함을 주는 쿠션‧마스크팩‧메이크업 픽서 등을 전시했다. 향을 강화한 퍼퓸 보디 미스트나 핸드크림도 나왔다. 맛있는 뷰티 ‘먹는 화장품’으로 불리는 이너뷰티. 일본
글로벌 럭셔리 메이크업 브랜드로서 세계 시장 영향력 확대를 전개하고 있는 헤라가 일본 시장에 본격 공략을 선언, 바쁜 걸음을 옮기고 있다. 헤라는 지난달부터 일본 도쿄 시부야에 위치한 대형쇼핑몰 ‘스크램블 스퀘어’에서 브랜드 팝업스토어를 오픈, 운영에 들어갔다. 현장 방문 고객은 브랜드 대표 제품을 직접 써보고 헤라 소속 아티스트들이 제공하는 전문성 넘치는 메이크업 서비스와 메이크업 쇼 등 다양한 체험 행사도 경험 중이다. 팝업스토어 오픈에 이어 지난 1일에는 일본 최대 규모 뷰티 정보 플랫폼이자 멀티 브랜드 숍인 아토코스메(@cosme) 도쿄·오사카점에도 공식 입점했다. 헤라는 일본 시장에서 △ 블랙쿠션 △ 센슈얼 누드밤 △ 센슈얼 누드 글로스 등 대표 제품을 선정, 소비자와의 접점을 확대하고 있다. 헤라는 일본 시장 공식 진출 전이었던 지난 7월 현지 유통사와 미디어, 인플루언서 등 300여 명이 참가한 VIP 행사를 가졌다. 헤라의 대표 메이크업 룩과 루틴, 주요 제품 라인업을 소개하면서 사전 붐업 활동을 펼친 것. 특히 △ 2017년 출시 이후 국내외에서 누적 판매량 856만 개를 돌파, 쿠션 브랜드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는 블랙쿠션 △ 브랜드 앰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