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1 (목)

  • 흐림동두천 5.0℃
  • 구름조금강릉 7.9℃
  • 박무서울 6.2℃
  • 구름조금대전 5.0℃
  • 박무대구 4.3℃
  • 박무울산 6.6℃
  • 박무광주 6.6℃
  • 맑음부산 10.1℃
  • 맑음고창 4.3℃
  • 구름많음제주 13.0℃
  • 구름많음강화 5.5℃
  • 구름많음보은 4.0℃
  • 맑음금산 3.8℃
  • 맑음강진군 3.8℃
  • 맑음경주시 4.7℃
  • 맑음거제 7.4℃
기상청 제공

마케팅

中 코스메슈티컬 시장, 글로벌 브랜드 중심 성장세

법적 규정 없음에도 소비자 인식 긍정적…2023년 811억 위안 전망

 

 

현행 중국 ‘화장품위생감독조례’(이하 화장품조례) 상 명확한 규정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코스메슈티컬’(의약화장품) 시장의 규모는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유럽 브랜드 중심의 시장 구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트라 칭다오무역관이 최근 퀴안잔산업연구원·바이지아하오(百家号)·중국미장(中国美妆) 등의 자료를 종합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코스메슈티컬 시장은 2017년 기준 625억 위안(한화 약 10조5천500억 원)에 이르러 전체 화장품 시장의 17%를 점유하고 있으며 이는 지난 2010년의 110억 위안보다 4.8배 증가한 수치다.

 

구매력 향상·피부 트러블 관심 높아져 성장 가도                                 중국에서 통용하고 있는 코스메슈티컬의 개념은 ‘의학적 또는 약과 같은 생물학적 효과가 있는 활성 성분을 갖는 화장품으로 미백·주름 개선·자외선으로부터 피부 보호 등에 효과가 있는 화장품’이며 우리나라의 기능성화장품과 유사한 의미다.

 

코스메슈티컬 시장의 성장은 글로벌 브랜드들의 꾸준한 진출과 함께 중국 소비자의 구매력 향상, 피부 트러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서 그 배경을 찾을 수 있다.

 

지난 2010년 110억 위안의 규모를 형성한 이후 △ 2011년 140억 위안 △ 2012년 180억 위안 △ 2013년 230억 위안 △ 2014년 332억 위안 △ 2015년 410억 위안 △ 2016년 508억 위안 △ 2017년 625억 위안까지 커져 약 4.8배의 성장세를 기록했으며 오는 2023년에는 811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유럽 중심 글로벌 브랜드 VS 로컬 브랜드 경쟁                                    현재 중국 코스메슈티컬 시장은 비쉬(30%)·라로슈포제(16%)·아벤느(20%) 등 3개의 외자계 글로벌 브랜드가 66%의 점유율로 과점체제를 보이고 있으며 이들의 성장률은 매년 약 3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윈난 바이야오 등의 로컬 브랜드의 점유율은 약 25% 수준이다.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유럽계 비쉬·라로슈포제·아벤느·유리아주·세타필 등의 브랜드 제품들은 부드럽고 자극이 없으며 항민감성이 뛰어나 민감성 피부에 잘 맞는다는 평가를 얻고 있다. 또 최근 로레알은 연내 ‘셍-제흐베 몽블랑’(Saint-gervais Mont Blanc) 브랜드를 론칭할 계획이라고 공식 발표한 바 있다.

 

코스메슈티컬 시장의 성장세에 비해 현재 중국 로컬 브랜드의 집중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상하이자화·윈난 바이야오그룹·경수당·동인당·코트리 등의 로컬 브랜드는 중국 소비자와 친근한 ‘초본’ 이미지를 내세워 ‘한방 코스메슈티컬’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입지를 다져가는 중이다. 특히 지난해 상하이자화와 상하이 뢰진병원은 코스메슈티컬 브랜드 ‘닥터유’를 공동 개발했다.

 

여기에다 지아런(娇兰佳人), 왓슨스 등 화장품 판매체인점 기업들이 잇달아 코스메슈티컬 시장 개척과 유통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는 지점이다.

 

코스메슈티컬의 주 소비자는 중년층                                  퀴안잔닷컴의 조사에 따르면 코스메슈티컬의 주 소비자는 50%의 비중을 차지한 40~60세의 중년층이다. 25~40세 소비자는 35%, 25세 이하 소비자는 15% 수준이다.

 

그렇지만 최근 환경 악화와 피부 트러블의 저 연령화 문제가 심화되면서 앞으로 젊은 층의 코스메슈티컬에 대한 수요는 점차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명확한 법적 규정이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코스메슈티컬에 대한 중국 소비자들의 신뢰도가 높다는 점도 시장 성장에 긍정적인 배경이라고 할 수 있다.

 

소비자들의 코스메슈티컬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 나타나듯이 △ 임상실험을 거친 유효성분이 포함된 화장품(33.38%) △ 특수 약효 성분이 포함된 화장품(21.85%) △ 상품 전성분이 공개돼 있으며 유해물질 미포함(17.69%) △ 상품 품질이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음(10.96%) 등 80%가 넘는 소비자들이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으며 ‘약품 화장품 둘 다 아니’라는 인식은 16.12%에 불과했다.

 

연령·피부 유형별 제품 다양화…세대별 홍보 이원화 필요                                 이 같은 코스메슈티컬 시장의 성장에 따라 코스메슈티컬의 종류 역시 탈취 제품·잡티제거 제품·탈모관리 제품·피부케어 제품 등의 다양한 영역에서 더 큰 시장을 차지 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의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제품 개발단계부터 연령·피부 유형별로 현지 소비자에 맞춘 제품의 개발이 필수적이며 홍보전략 역시 80-90허우(80-90년생)를 대상으로 왕홍과 SNS를, 60-70허우는 오프라인 스토어 중심의 홍보전략을 이원화해 구사할 필요성이 높다.

 

동시에 코스메슈티컬의 특수성을 고려해 안전하고도 완전한 사후 서비스 시스템의 구축도 이뤄져야 할 것으로 지적된다.

 

상하이화이메이 비서실장 겸 영업감독인 리챵은 “코스메슈티컬과 일반화장품의 본질적 차이는 코스메슈티컬의 과학기술에 있으며 일반화장품이 해결하지 못하는 피부 문제를 코스메슈티컬이 해결 할 수 있고 이것은 곧 코스메슈티컬의 사용방법과 사후 서비스를 더욱 엄격하게 관리·감독해야 할 이유”라고 주장해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렇지만 현재 중국의 화장품조례에는 코스메슈티컬 개념이 존재하지 않고 있다는 점은 앞으로 이 시장의 성장과 발전에 변수가 될 가능성이 크다.

 

화장품조례에 의하면 화장품은 특수 용도 화장품과 비특수 용도 화장품 등 두 가지로만 구분하고 있다.

 

코스메슈티컬 역시 화장품이기 때문에 화장품조례 규정에 부합해야 하며 라벨·포장·설명서에 적응증·의학적 기능 홍보·의료용· 의료효과를 명시 또는 암시하는 내용이 있으면 위법에 해당한다는 점은 코스메슈티컬 시장의 성장과 제품 개발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는 이유가 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