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앤레스토랑 뉴스레터 신청하기 일주일 그만보기 닫기

2024.04.17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마케팅

2017~2021년, 5년 동안 화장품 수출 85.7% 증가

연평균 16.7% 늘어나…같은 기간 수입은 2.2% 성장에 그쳐

☞코스모닝 뉴스레터 구독하기 검색창에 '코스모닝'을 쳐보세요.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2017년~2021년 화장품 수출입실적 분석

지난해까지 국내 화장품 수출실적은 가파른 상승세를 유지했으나 수입은 미미하게 등락을 거듭하고 있어 무역수지 흑자가 지속 증가하는 그래프를 그렸던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청이 집계한 지난해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액은 총 92억2천500만 달러를 기록, 전년대비 21.8%의 증가율과 함께 역대 최대의 실적을 올렸다. 2017년의 49억6천600만 달러와 비교했을 때 85.7% 증가한 수치며 이 기간 연평균 성장률은 16.7%에 달했다.

 

 

반면 지난해 수입액은 16억3천100만 달러를 기록, 전년보다 10.0%가 증가했다. 이는 2019년 수준이다. 화장품 수입액의 두 자릿수 성장률은 전년도 수입액 감소(-9.4%)에 따른 기저효과가 반영됐기 때문으로 분석할 수 있다.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 동안 화장품 수입액은 약 2.2%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 기간 동안 연평균 성장률은 0.5%로 수출액 연평균 성장률에 비해 16.2% 포인트가 낮았다.

 

이 같은 내용은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이재란· www.kcii.re.kr )이 관세청 수출입 자료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화장품 분류 기준을 적용, 최근 발간한 ‘2021년 화장품 수출입 보고서’를 통해 확인한 것이다.

 

보고서에 의하면 지난해의 경우 무역수지는 총 72억601만8천 달러를 기록, 전년 대비 18.3%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특히 화장품 무역수지는 지난 2014년 첫 흑자 전환 이후 매년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을 뿐만아니라 2019년부터는 두 자릿수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2017년 33억7천만 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지난해 무역수지 흑자 규모는 113.8%의 증가율로 두 배 이상의 성장세를 기록한 것이다.

 

中, 추종불허 1위…美·日 성장세 뒷받침하며 ‘3강 구도’

베트남·러시아는 상승국면…홍콩·대만·泰·싱가포르는 뚜렷한 하락세 보여

 

지난해 월별 수출액 추이를 보면 매월 전년도(2020년)의 수출실적을 뛰어넘는 수치를 보였다.

월별 수출액이 최대였던 달은 9월로 8억8천200만 달러였던 반면 가장 낮았던 달은 2월이었다. 실적은 6억2천만 달러 수준.

 

 

월별 수출액은 증감을 반복했지만 월 8억 달러 이상의 실적을 올린 기간은 상반기 중 3월(8억5천300만 달러)과 4월(8억8천100만 달러), 하반기에는 9월(8억8천200만 달러)과 10월(8억200만 달러), 그리고 11월(8억7천800만 달러)까지 3개월 연속 8억 달러 이상의 실적을 올리는 기염을 토했다.

 

지난 3년간(2019년~2021년)의 월별 수출액 변화를 비교했을 때 연중 두 차례의 주요 변화 구간을 발견할 수 있다고 이 보고서는 분석했다. 즉 매년 3월과 9월에는 수출이 증가하는 패턴을 보인다는 것.

 

상반기에는 매년 3월 수출이 급증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2019년과 2020년에는 3월 이후 4월에 접어들면서 하락 추세를 보이지만 지난해의 경우에는 3월에 이어 4월 역시 높은 실적을 유지했다가 이후 완만한 하락세를 나타냈다.

 

하반기의 경우에는 9월 수출액이 두드러졌다. 2020년과 지난해의 경우에는 연말을 앞둔 11월까지 수출이 증가했다.

 

이 같은 수출 패턴은 대내외의 여러 요인으로 인한 차이가 있지만 중국의 쇼핑축제(상반기-618절, 하반기-광군제)에 기인한 대 중국 수출 물량이 증가해 판매 기간 전에 현지 통관을 마무리하기 위한 물량이 먼저 반영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는다.

 

상·하반기 수출 증가 요인은 다르게 나타나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액 증가는 중국(홍콩 포함)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상반기와 하반기의 세부 양상은 이와는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3월과 4월에 높은 수출액을 기록한 국가가 많았다는 것. 일본·홍콩·베트남·러시아·태국 등 5국가가 연중 최대 실적을 보였고 중국의 경우에는 연중 두 번째로 높은 수출액을 기록했다.

 

 

특히 4월에는 중국과 홍콩의 수출 비중이 전체 실적의 62.3%에 달했다. 지난해 전체 중국·홍콩 수출비중을 합하면 59.5%였다. 연간 비중에 비해 4월의 비중이 2.8% 포인트 높았다는 결론이다.

 

 

하반기의 경우에는 대 중국 수출 영향이 보다 두드러진다. 9월에 높은 수출액을 기록한 국가는 중국과 일본, 홍콩 등 세 곳에 그쳤지만 연중 최고의 수출실적을 달성했다. 이는 9월에 연중 최대 수출실적을 보인 중국의 영향이 작용했기 때문이다. 수출 비중 역시 중국과 홍콩이 66.2%를 점유했다.

 

홍콩 제외한 상위 5국가는 모두 두 자릿수 성장

주요 수출대상국 수출 동향을 살펴봤다. 홍콩을 제외한 중국·미국·일본·베트남·러시아 등 5국가는 모두 전년보다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다.

 

최대 수출 대상국 중국의 경우 49억400만 달러로 전체 화장품 수출액의 53.2%를 차지했다. 전년 대비 성장률은 28.8%였다. 2017년(19억4천300만 달러)부터 지난해까지 5년 동안 152%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이 기간 중 연평균 성장률은 26.0%에 달했다.

 

미국으로 수출한 실적은 8억4천300만 달러였다. 전년에 비해 31.5%가 늘었다. 점유율은 9.1%까지 올랐다. 지난 5년 간 수출액은 87.1%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연평균 성장률은 17.0%에 이르렀다.

 

일본의 상승세도 눈여겨 볼 만하다. 지난해 일본으로의 화장품 수출은 7억8천700만 달러로 2020년 대비 23.1%가 증가했다. 점유율은 8.5%로 전년과 같은 수준이다. 2017년 2억2천700만 달러에서 지난해 7억8천700만 달러까지 치솟아 246.9%의 성장세를 구가했다. 이 기간 연평균 성장률 역시 36.5%로 미국의 성장률보다 두 배가 넘는 성장을 일궈냈다.

 

홍콩의 하락세가 가장 극적인 포인트다. 지난해에는 전년대비 18.7%가 줄어든 5억8천100만 달러에 그쳤다. 점유율 역시 6.3%까지 떨어져 중국과 미국, 일본에 이은 4위에 머물렀다. 2017년의 12억2천200만 달러보다 52.5%나 감소했으며 이 기간 연평균 감소율도 -17.0%였다.

 

이 보고서는 “그렇지만 중국과 홍콩을 합친 중화권 수출 비중은 2020년 59.6%에서 지난해 59.5%로 유지하는 양상을 보임으로써 홍콩을 거치는 중국 우회 수출 물량이 홍콩 민주화 시위 등 현지 정치 이슈와 맞물리며 중국 직접 수출로 전환했다”는 분석을 내놨다.

 

 

상승세 보인 베트남·러시아, 올해 들어 ‘악전고투’ 예상

베트남과 러시아는 상승국면을 유지했다. 다만 올해 들어 베트남의 실적이 하락하고 있고 러시아 역시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상황이 악화일로에 처해 있다는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지난해 베트남으로의 수출실적은 3억500만 달러로 전년대비 15.9%가 증가했다. 점유율은 3.3%로 전년에 비해 소폭 하락세를 보였지만 전체 금액은 3억 달러에 진입함으로써 전체 국가별 순위에서는 5위를 유지했다.

 

2017년의 1억4천100만 달러에서 지난해 3억500만 달러까지 치솟으면서 116.3%가 늘어났다. 이 기간 연평균 성장률 역시 21.3%로 높은 수준에 속했다.

 

러시아 역시 상승세가 돋보인다. 지난해 2억9천만 달러의 실적을 올렸으며 이는 전년보다 19.0%가 성장한 수치다. 점유율은 3.1%로 베트남과 함께 소폭 하락했다.

 

그렇지만 2017년(9천700만 달러)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수출액은 199.0%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연평균 성장률은 31.4%로 집계됐다.

 

추락하는 전통 강국, 대만·태국·싱가포르

대만, 태국과 싱가포르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국가군에 속한다. 지난해 1억6천400만 달러의 실적을 기록한 대만은 전년대비 1.5%의 증가율이 큰 의미없어 보인다. 점유율 역시 1.8%에 그쳤다. 지난 5년동안 증가율도 6%에 머물고 있으며(2017년 1억5천500만 달러 → 2021년 1억6천400만 달러) 연평균 성장률 역시 1.6%로 기대 이하 수준이다.

 

지난해 1억3천600만 달러를 기록했던 태국은 전년대비 4.5%의 성장률을 기록했지만 지난 5년간의 수출액(2017년 1억5천200만 달러 → 2021년 1억3천600만 달러)은 10.0%나 감소했다. 같은 기간 연평균 성장률도 -2.6%로 역신장했다.

 

싱가포르의 지난해 수출액은 1억1천800만 달러였다. 전년보다 8.8%가 줄었다. 점유율 역시 1.3%로 2019년 이후 계속 감소하는 양상이다. 다만 지난 5년간 수출액은 1억400만 달러(2017년)에서 1억1천800만 달러로 13.1% 늘어난 것이 위안거리다. 연평균 성장률은 3.1% 수준이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