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통계진흥원과 한국무역협회 자료를 기반으로 한 수출 실적 집계 결과 올해 3분기까지 우리나라 화장품 누적 수출액은 74억 달러를 기록,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www.mfds.go.kr )는 최근 “올해 3분기까지의 우리나라 화장품 누적 수출 규모가 74억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수출액 62억 달러 대비 19.3% 증가한 금액”이라고 발표하고 “이는 역대 연간 수출액이 최고치를 기록했던 지난 2021년 3분기까지 누적 수출액 68억 달러보다도 8.8% 증가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매년 3분기까지의 우리나라 화장품 누적 수출액은 △ 2021년 3분기 68억 달러(종전 역대 최고액) △ 2022년 3분기 60억 달러(-11.8%) △ 2023년 3분기 62억 달러(3.3%) △ 2024년 3분기 74억 달러(19.3%)를 기록하고 있었다. 참고로 역대 연간 최대 수출액은 지난 2021년에 기록한 92억 달러였다.
<산업통상자원부의 월별 수출입동향 자료와는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코스모닝닷컴 2024년 10월 1일자 기사 ‘9월 화장품 수출 9억2600만$…사상 첫 9억$ 돌파’ https://cosmorning.com/news/article.html?no=48911 참조>
중국은 감소, 미국 증가세 지속
식약처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3분기까지 주요 국가별 수출액은 중국이 20억2천만 달러로 가장 많았고 미국이 14억3천만 달러, 일본 7억4천만 달러 순이었다.
대 중국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억 달러 감소(-9.1%)한 반면 △ 미국 5억5천만 달러 증가(38.6%) △ 일본 1억3천만 달러 증가(18.2%)를 기록했으며 대 미국 수출 증가세에 주목할 만 하다.
같은 기간 유형별 수출액은 △ 기초화장품 55억6천만 달러(8.2억 달러·17.3% 증가) △ 색조화장품 9억8천만 달러(2.0억 달러·26.6% 증가) △ 인체세정용품 3억4천만 달러(1.0억 달러·40.7% 증가) 순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경우 특히 기초화장용 제품류 수출 감소액이 3억 달러(16억6천만 달러 → 13억6천만 달러·-18.3%)로 가장 컸다. 다만 △ 인체세정용 제품류 1억 달러(2억3천만 달러 → 3억3천만 달러, 3.1%) △ 색조화장용 제품류 2천만 달러(2억2천만 달러 → 2억4천만 달러·10.3%)의 증가를 보였다.
반면 미국은 대부분의 유형이 증가했다. △ 기초화장용 제품류 4억6천만 달러(6억 달러 → 10억6천만 달러·77.3%) △ 인체세정용 제품류 4천만 달러(2천만 달러 → 6천만 달러·150.6%) △ 색조화장품 제품류 3천만 달러(1억6천만 달러 → 1억9천만 달러·17.2%) 등의 증가를 기록했다.
미국과 함께 중국의 수출액 감소세를 커버하고 있는 일본의 경우에도 주요 카테고리의 성장세를 이어갔다. △ 기초화장용 제품류 9천만 달러(3억5천만 달러 → 4억4천만 달러·27.4%) △ 색조화장품 제품류 3천만 달러(1억8천만 달러 → 2억1천만 달러·19.0%) △ 인체세정용 제품류 1천만 달러(1천만 달러 → 2천만 달러·106.0%) 등으로 집계됐다.
해외 진출을 위한 식약처 지원 강화
관련해 식약처는 “미국과 중국 등 주요 수출국과 규제 외교를 적극 추진, 화장품의 해외 진출을 돕고 수출 다변화를 위해 다양한 국가의 해외 규제 동향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전제하고 “아시아 규제 당국자와 산업계가 참여, 최신 기술을 공유하고 화장품 규제 조화와 수출 확대 지원을 위한 ‘원아시아 뷰티 포럼’을 오는 17일(고양시 일산 킨텍스) 개최할 예정이다. 미국·중국 등 주요 수출 대상국가에서 안전성 평가제를 시행함에 따라 우리나라 화장품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안전성 평가제도 국내 도입을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