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3 (목)

  • 맑음동두천 3.2℃
  • 구름많음강릉 8.5℃
  • 구름조금서울 6.4℃
  • 구름조금대전 6.6℃
  • 구름조금대구 5.1℃
  • 울산 6.8℃
  • 흐림광주 8.0℃
  • 맑음부산 8.2℃
  • 흐림고창 5.5℃
  • 맑음제주 9.9℃
  • 흐림강화 6.4℃
  • 맑음보은 3.5℃
  • 구름많음금산 7.2℃
  • 맑음강진군 6.1℃
  • 구름많음경주시 6.3℃
  • 구름많음거제 7.6℃
기상청 제공

전문가 칼럼

미국 화장품 규제의 전환점 MoCRA 완벽 해부⑨-미국 화장품 시장 진출의 키 포인트, MoCRA 3대 핵심 규제

 

최근 미국은 한국 화장품의 최대 수출시장으로 부상했다. 중국을 제치고 제 1위 수출국으로 자리매김한 미국 시장에서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서는 새로운 규제 환경에 대한 이해가 필수다.

 

미국 화장품규제현대화법(이하 MoCRA)은 K-뷰티 기업들에게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제시한다. 이번 칼럼에서는 MoCRA의 3대 핵심 요소를 분석한다.

 

1. 제품 등록과 전성분 검수: FDA가 요구하는 첫 번째 관문

MoCRA의 첫 번째 핵심은 제품 등록 의무화다. 모든 화장품은 FDA에 제품 정보와 전성분을 등록해야 하는데 이는 단순한 행정 절차가 아닌 제품 안전성 검증의 시작점이다.

 

현재 FDA가 지정한 화장품 원료 배합금지 성분은 11종에 불과하다. 하지만 이는 규제의 허술함이 아닌 오히려 더 강력한 안전 관리를 의미한다. FDA는 명시적으로 금지되지 않은 성분이라도 소비자 건강에 잠재적 위험이 있다고 판단되면 즉각 제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색조 화장품 업체들은 주의가 필요하다. FDA는 착색제와 색소에 대해 특별히 엄격한 기준을 적용한다. 예를 들어 립스틱이나 아이섀도 제품을 출시하려는 기업이라면 FDA가 승인한 착색제 리스트를 먼저 확인해야 한다. 승인되지 않은 성분이 발견되면 전면 수정해야 하므로 사전 검토가 필수 요건이다.

 

2. 라벨링: 소비자 신뢰 구축의 핵심

라벨링은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브랜드의 신뢰성을 입증하는 수단이다. FDA는 이달 말 새로운 라벨링 규정을 공표할 예정이며 이는 화장품 업계 전반에 상당한 변화를 야기할 것으로 예상한다.

 

효능·효과 표현에도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의 기능성화장품 표현을 미국 시장에 적용할 때는 현지에서 통용하는 단어 사용을 하지 않으면 불이익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예컨대 △ 미백은 ‘Brightening’으로 △ 주름 개선은 ‘Sooths fine lines’로 △ 탈모 증상 완화는 ‘Helps maintain healthy-looking hair’ 등과 같이 미국 현지에서 통할 수 있고 완화한 표현으로 표기해야 한다. 이는 단순 번역을 넘어 현지 소비자 문화 차원의 맥락을 고려한 전략적 선택이다.

 

특히 유의할 점은 부정확한 영어 표현의 사용이다. 직역한 영어 문구는 미국 소비자들의 혼란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브랜드 신뢰도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모든 표기 문구는 반드시 미국 현지 원어민의 검수를 거쳐야 하며 필요한 경우 현지 법률 전문가의 자문을 수렴해야 한다.

 

3. 안전성 확보: RP의 전략적 중요성

MoCRA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변화는 RP 제도의 도입이다. RP는 제품의 안전성을 입증하고 관리하는 핵심 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책임과 권한을 보유한다

 

- 제품 안전성 자료의 체계적 확보와 관리

- FDA와의 직접 소통 채널 구축

- 소비자 이상반응의 상시 모니터링

 

안전성 입증(Substantiation of safety)은 형식적 절차가 아닌 실질적 검증 과정이다. 과학적 훈련과 전문성을 갖춘 전문가의 평가를 기반으로 제품과 성분의 안전성을 입증할 수 있는 충분한 데이터를 구축해야 한다. 여기에는 △ 테스트 결과 △ 연구 보고서 △ 안전성 조사 자료 등이 포함된다.

 

결론: 변화는 새로운 기회다

MoCRA는 엄격한 규제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동시에 K-뷰티의 품질과 안전성을 글로벌 시장에서 입증할 수 있는 전략적 기회이기도 하다.

 

전성분 등록부터 라벨링, 안전성 확보에 이르는 전 과정을 체계화해 준비한다면 미국 시장에서의 성공적 안착은 충분히 실현 가능한 목표다.

 

<정연광·FDA화장품인증원 대표 컨설턴트· expert@mocra.co.kr · www.mocra.co.kr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