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08 (수)

  • 구름조금동두천 -1.2℃
  • 맑음강릉 1.6℃
  • 구름많음서울 0.0℃
  • 맑음대전 1.2℃
  • 흐림대구 2.7℃
  • 구름조금울산 3.6℃
  • 광주 1.0℃
  • 구름많음부산 4.1℃
  • 구름조금고창 0.0℃
  • 제주 7.2℃
  • 구름많음강화 -0.7℃
  • 구름많음보은 -0.5℃
  • 흐림금산 -0.2℃
  • 구름많음강진군 3.5℃
  • 구름많음경주시 3.3℃
  • 구름조금거제 3.5℃
기상청 제공

마케팅

식약처가 분석한 ‘화장품 수출 100억 달러’

2012년 수출 10억 달러 달성 12년 만에 100억 달러 고지 점령

2024년 대한민국 화장품 수출 실적이 100억 달러를 돌파했다는 소식이 전해지기가 무섭게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www.mfds.go.kr )가 한국무역통계진흥원의 (잠정)자료를 기반으로 수출 실적 내용을 분석해 내놨다.

 

식약처는 “2024년 한 해 동안(12월말 잠정 실적 기준)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 규모가 전년 대비 20.6% 증가한 102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히고 “이는 역대 최대 수출 실적을 기록했던 지난 2021년의 92억 달러보다 10.9% 증가한 수치며 직전 년도의 84억6천만 달러보다는 20.6% 늘어난 것으로 국내 화장품 수출 사상 최대 실적”이라고 덧붙였다.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은 지난 2012년 처음으로 10억 달러를 넘긴 이후 지속 성장세를 구가하며 12년 만에 100억 달러를 돌파했다. 특히 지난해 10월에는 월간 최고 실적인 10억 달러 이상의 수출 실적을 기록하는 등 기록을 경신해 왔다.

 

 

 

국가별 수출 금액은 중국이 1위…대미 수출은 57% 증가

 

식약처 분석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주요 국가별 수출액은 중국이 25억 달러로 가장 많았다. 이어 △ 미국 19억 달러 △ 일본 10억 달러 순으로 나타났으며 상위 10국가의 실적이 전체 수출액의 77%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랍에미리트연합(UAE)의 경우 높은 수출 증가세를 보이면서 처음으로 수출 상위 10위권 내에 진입했다.

 

그 동안 UAE의 수출 실적은 △ 2021년 4천만 달러(17위) △ 2022년 6천만 달러(14위) △ 2023년 9천만 달러(12위) △ 2024년 1억7천만 달러(9위) 등으로 금액과 순위가 모두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반면 대 중국 수출은 2024년에도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 1위 자리를 유지했지만 수출액 감소세를 극복하지 못한채 수출 비중이 처음으로 24.5%까지 떨어지는 모습을 연출했다.

 

 

우리나라 화장품의 대 중국 수출 비중은 지난 2021년 53.2%를 정점으로 2022년 45.4% → 2023년 32.8% → 2024년 24.5%로 낮아지고 있다.

 

미국으로의 수출액은 2023년보다 6억9천만 달러(57.0%) 증가하면서 수출액 증가폭이 10위 내 상위국가 중 가장 컸다. 대 일본 수출액은 2억3천만 달러(29.2%) 증가했다. 대 일본 화장품 수출액이 10억 달러를 돌파한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기초화장품 수출 최대…증가폭은 인체세정용품이 가장 커

유형별 수출 실적을 살펴보면 △ 기초화장품 76억7천만 달러(12억8천만 달러·20.0% 증가) △ 색조화장품 13억5천만 달러(3억 달러·29.0% 증가) △ 인체세정용품 4억7천만 달러(1억1천만 달러·30.7% 증가) 순이었다. 기초화장품은 지속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수출 증가폭은 인체세정용품이 가장 두드러졌다.

 

대 중국 수출은 유형별로 대부분 감소세를 면치 못했다. 특히 기초화장용 제품류에서 2억4천만 달러(21억6천만 달러 → 19억2천만 달러·-11.0%)로 수출 감소액이 가장 컸다. 다만 색조화장용 제품류는 2천만 달러(3억 달러 → 3억2천만 달러·5.7% 증가)가 늘어나는 양상이 눈에 띄는 정도다.

 

대 미국 수출은 거의 모든 유형에서 증가했다. 특히 △ 기초화장용 제품류는 직전 년도(2023년) 대비 5억6천만 달러(8억4천만 달러 → 14억 달러·66.8% 증가) △ 색조화장품 제품류 5천만 달러(2억1천만 달러 → 2억6천만 달러·25.8% 증가) △ 인체세정용 제품류 5천만 달러(4천만 달러 → 9천만 달러·122.2% 증가) 등의 순이었다.

 

일본의 경우에도 △ 기초화장용 제품류 1억5천만 달러(4억7천만 달러 → 6억2천만 달러·30.7% 증가) △ 색조화장품 제품류 7천만 달러(2억3천만 달러 → 3억 달러·31.1% 증가) △ 인체세정용 제품류 1천만 달러(1천만 달러 → 2천만 달러·88.1% 증가) 등 대부분의 유형에서 2023년 대비 수출 실적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진출을 위한 식약처의 지원 지속

관련해 오유경 식약처장은 “화장품 글로벌 규제가 강화되는 녹록치 않은 상황에서도 수출 100억 달러 돌파라는 사상 최대 기록을 세운 업계의 노력에 깊이 감사드린다”며 “2025년에도 식약처는 화장품 수출 성장세를 계속 이어갈 수 있도록 규제 외교를 통해 국가 간 협력을 강화하고 중국·미국 등 주요 수출 대상국의 안전성 평가에 대응, 국제 수준의 품질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기업을 뒷받침하겠다”고 약속했다.

 

동시에 식약처 화장품정책과는 “우리나라 화장품의 해외 진출을 위해 다양한 정책 차원의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고 전제하고 “우선 미국·중국 등 주요 수출 대상국과 규제 외교를 적극 추진해 화장품의 해외 진출을 돕고 수출 다변화에 맞춰 다양한 국가의 해외 규제 동향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수출 인허가 규정 등 맞춤형 정보 제공을 더욱 업그레이드할 것”이라고 밝혔다.

 

식약처는 “특히 미국은 우리나라와 달리 자외선차단제를 일반의약품으로 관리하고 있어 업계 요청에 따라 지난해 국내 화장품 업계를 대상으로 OTC(Over the Counter)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미국 FDA 초청 세미나(2회), 웨비나 교육(3회)을 진행하고 미 FDA 가이드라인 번역본(3건)을 제공했다”며 “올해에는 국내 자외선차단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맞춤형 일 대 일 컨설팅과 GMP 전문가 양성 집중 교육도 함께 실시, 우수한 국산 자외선차단제의 미국 시장 진출을 지속적으로 돕겠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주요 수출 대상국이 포진해 있는 아시아 지역 국가 간의 규제 협력과 소통을 위해 지난해부터 국내에서 개최하고 있는 ‘원아시아 화장품 규제 협력 포럼’ 참여 국가를 확대하고 수출국의 규제기관과 우리나라 수출 기업들이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자리도 마련할 계획이다.

 

오는 2월에는 정부·산업계·대한화장품협회가 함께 K-뷰티 수출 성과를 축하하고 화장품 수출에 기여한 주요 업체와 유공자 등을 격려하기 위한 기념식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