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4 (금)

  • 맑음동두천 6.3℃
  • 맑음강릉 11.3℃
  • 맑음서울 8.7℃
  • 맑음대전 7.2℃
  • 구름많음대구 9.5℃
  • 맑음울산 10.9℃
  • 맑음광주 10.5℃
  • 맑음부산 13.5℃
  • 맑음고창 7.6℃
  • 맑음제주 15.5℃
  • 맑음강화 9.8℃
  • 맑음보은 4.0℃
  • 맑음금산 4.5℃
  • 맑음강진군 12.4℃
  • 구름많음경주시 6.6℃
  • 맑음거제 7.9℃
기상청 제공

마케팅

국가별 소비자 피부특성 데이터 현황 공개

화산연, 19국가·1만6천805명 자료 구축…“정보 제공 범위 확대”

 

올해 새롭게 수집한 튀르키예 소비자의 피부특성 분석 결과와 함께 국가별로 구축한 피부특성 데이터에 대한 상황이 공개됐다.

 

(재)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조신행· www.kcii.re.kr ·이하 화산연)은 지난 12일 ‘피부특성 정보은행 사업 결과 세미나’(서울 코엑스)를 열고 튀르키예 소비자 피부특성 분석 결과와 국가별 피부 데이터 구축 현황을 공유했다고 밝혔다.

 

△ 더마프로 백지훈 소장 △ 넥스트리서치 안증찬 이사 △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양성민·한솔빈 연구원 △ 크리스아이티 김승윤 이사가 각각 그동안 진행한 연구 결과와 이를 가장 효율성 높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튀르키예 소비자 “건조한 피부·톤 저하형 특성 나타나”

 

조사는 튀르키예 현지인의 피부 상태를 탈모·(피부)모공·밝기·주름·수분량·경피 수분손실량·색·pH·탄력·피지량·민감도·두피(수분·피지량·각질량) 등 다양한 항목에 걸쳐 분석을 진행했다.

 

그 결과 튀르키예 소비자들은 전반적으로 피부가 건조하고 톤 저하형 특성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보습·탄력·톤 개선 중심의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전망이 밝고 이를 통한 마케팅 전략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튀르키예 현지인 20~59세 여성 52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화장품 이용행태 조사에서는 △ 40~50대는 주름·탄력저하·칙칙함 등 노화 고민이 △ 20~30대는 모공 확대와 여드름 관련 고민이 두드러졌다.

 

이와 함께 대한민국 화장품에 대한 신뢰도는 높지만 인지도와 접근성에 한계가 드러났다. 헤리티지 기반의 과학성을 갖춘 신뢰와 합리성을 소구할 수 있는 가격 정책, 그리고 현지화 전략을 결합할 경우 K-뷰티의 점유율 확대가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12국가·1만483명 피부 측정 결과·설문 데이터 무료 분양 중

 

양성민 선임연구원은 피부특성 정보은행 사업을 진행한 결과 현재까지 19국가·1만6천805명의 피부특성 데이터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12국가·1만483명의 피부 측정 결과와 설문 데이터를 무료로 분양 중이다. 동시에 앞으로 정보 제공의 범위도 크게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솔빈 연구원은 미국 전역에 거주하는 10대부터 40대까지 여성 소비자 1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소비자 선호 제품과 제형 조사 결과를 공유했다.

 

기초·기능성·색조 화장품 전반에서 과학 기반 효능과 맞춤형 케어 중심의 트렌드가 두드러지는 양상이다. 특히 안티에이징 시장은 예방 중심의 웰니스 방향으로 확산되는 경향이 뚜렷하게 드러났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최근 뷰티 시장의 주요 흐름으로는 ‘하이브리드 뷰티’를 꼽을 수 있다”고 전제하면서 “단계 축소와 시간 절약이라는 MZ세대의 핵심 니즈를 충족시키고 효율성과 기능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트렌드가 강하게 드러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새롭게 개편하는 ‘피부특성 정보 플랫폼’의 주요 기능과 활용 효율화 방안도 제시했다. 이번 개편을 통해 이용자 편의를 높이기 위한 화면 구성(UI·UX)을 전면 개선하면서 시장 분석과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는 주요 지표와 비교 분석 기능도 새롭게 추가한 점이 눈에 띈다. 이를 통해 기업과 연구자가 피부 특성 데이터를 보다 효율성 높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연구원은 “피부특성 정보은행을 통해 글로벌 피부 데이터 업데이트 작업을 지속하는 한편 화장품 산업계가 이를 현실 업무에서 실제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하겠다”며 “데이터 기반 맞춤형 화장품 개발과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을 위한 역할에 역점을 두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