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명동상권 매장은 90% 채워진 반면 가로수길은 세 곳 중 한 곳이 비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엔데믹 이후 리테일 시장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서울 강남과 가로수길의 공실률은 증가하고 있다. 높은 임대료와 세로수길 상권 확장, 성수 등 대체 상권 부상 등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이는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가 발표한 ‘2023년 4분기 리테일 시장 보고서’에서 밝혀졌다. 이번 보고서는 서울 6대 상권인 명동‧강남‧홍대‧가로수길‧한남이태원‧청담의 공실률을 발표했다. 서울 6대 상권 평균 공실률 ‘18.7%’ 2023년 4분기 서울 가두상권 평균 공실률은 18.7%다. 전 분기 대비 0.8pp, 전년 동기 대비해 4.4pp 감소한 수치다. 명동의 공실률은 9.4%로 전년 동기 대비 33.0pp 줄었다. 서울 6대 상권 중 공실률이 가장 낮은 상권 자리를 탈환했다. 지난 해 12월 기준 외국인 입국자 수는 103 만 명이다. 2022년 12월에 비해 19배 늘었다. 서울 명동상권에는 외국인 관광객을 겨냥한 K-뷰티와 패션 매장이 다양하게 문을 열었다. 신진 뷰티 브랜드 모이는 한남‧이태원 한남·이태원 공실률은 9.9%로 명동 다음으로 낮다. 국내 신진 뷰티 브랜드
서울 명동이 세계에서 임대료가 9번째로 비싼 번화가로 뽑혔다. 명동은 미국 뉴욕, 이탈리아 밀라노, 영국 런던, 프랑스 파리 등에 이어 임대료가 높은 지역으로 선정됐다. 외국인 관광객이 돌아오고 상권에 활기가 돌면서 임대료가 높아졌다.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는 ‘세계의 주요 번화가’(Main Streets Across the World report)’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세계 주요 도시의 리테일 임대료를 분석한 내용을 담았다. 뉴욕의 5번가(Fifth Avenue)는 세계에서 가장 비싼 상권 1위를 유지했다. 밀라노의 비아 몬테나폴레오네(Via Montenapoleone)가 한 계단 상승해 2위로 올라섰다. 홍콩 침사추이(Tsim Sha Tsui)를 제치고서다. 런던의 뉴 본드 스트리트(New Bond Street)와 파리의 샹젤리제 거리(Avenues des Champs-Élysées)는 각각 4위와 5위를 유지했다. 이스탄불의 이스티크랄 스트리트(Istiklal Street)는 가장 큰 변화를 보였다. 인플레이션으로 지난해 임대료가 두 배 이상 오르면서 31위에서 20위로 뛰어올랐다. 이로 인해 쿠알라룸푸르의 수리아 KLCC(Suria KLCC)가
엔데믹을 맞아 외국인 관광객 유입이 늘었다. 코로나19로 장기간 침체를 겪은 리테일 업계에 훈풍이 불고 있다. 올해 초부터 해외 입국자에 대한 방역 조치가 완화됐다. 최근 PCR 검사까지 전면 해제되면서 외국인의 한국 방문 문턱이 대폭 낮아졌다. 고환율로 상대적으로 낮아진 원화 가치 또한 외국인 관광객의 유입을 이끌고 있다. 2022년 8월 기준 한국을 찾은 해외 여행객은 약 31만명이다. 전년 동월 대비 22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에 따르면 9월 입국한 해외여행객은 미국 관광객이 가장 많았다. 태국 일본 싱가포르 등이 뒤를 이었다. 이들 관광객이 가장 많이 방문한 지역은 명동이 위치한 서울 중구다. 홍대가 있는 마포구와 강남구에도 외국인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명동 화장품매장 56% 폐업 외국인 관광객이 돌아오면서 명동 상권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명동은 관광객 의존도가 높은 대표 상권으로 꼽힌다. 팬데믹이 장기화되며 명동 상권에서는 브랜드들이 퇴거해 공실이 급증했다. 2020년부터 명동에서 발생한 공실 가운데 약 56%가 화장품 매장인 것으로 조사됐다. 명동 화장품 매장은 중국인 관광객 의존도가 높다. 사드에 이어 코로나
지난 해 하반기 서울 명동 중앙로의 공실률이 21%를 기록했다. 2019년 상반기 공실률이 4.8%인데 비해 4.5배가 증가했다. 특히 화장품 매장의 폐업이 두드러졌다. 외국인 관광객이 급감하면서 매출에 직격탄을 맞았기 때문이다. 2020년 상반기 대비 하반기 명동 중앙로에 있는 화장품 매장의 약 30%가 휴업 또는 폐업으로 비어있는 상태다. 부동산 서비스 기업인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코리아가 ‘2020 가두상권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서울 6대 상권 공실률을 분석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매장 운영 전략을 제안했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6대 상권의 평균 공실률은 12.4%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인해 실물경기가 침체하면서다. 외국인 관광객 비중이 높은 상권일수록 공실률이 높았다.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으로 영업이 제한된 가두상권 매장이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 외국인의 소비가 상권경제의 큰 축을 담당했던 명동과 가로수길은 관광객 입국금지 조치가 길어지며 공실률 상승폭이 가파르게 상승했다. 체험형 매장 변신 가속화 ‘휴업이거나 폐업이거나.’ 서울 명동은 코로나19로 관광객 수가 감소하면서 공실률이 증가했다. 외국인 관광객 의존도가 높은 명
서울 명동이 세계에서 비싼 쇼핑거리 9위를 차지했다. 명동은 화장품 로드숍의 매출 부진으로 2018년 대비 임대료가 소폭 하락했다. 이에 지난 해보다 한 계단 하락한 9위를 기록했다. 국내 No.1 상권으로 꼽히는 명동은 최근 외국인 관광객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올해도 세계 10대 거리에 진입하며 세계 주요 리테일 상권으로서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는 글로벌 부동산 컨설팅사인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가 발표한 ‘전세계 주요 거리 2019’에서 밝혀졌다. 이 회사는 전세계 68개국의 448개 지역을 대상으로 임대료를 조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홍콩의 코즈웨이 베이(Causeway Bay)가 세계에서 가장 비싼 쇼핑 거리로 나타났다. 코즈웨이 베이의 올해 임대료는 연평균 제곱피트 당 2천 745달러에 달했다. 지난 5년 동안 1위에 올랐던 뉴욕 5번가(Upper 5th Avenue)는 연평균 제곱피트 당 2천 250 달러로 2위에 올랐다. 이어 △ 런던 뉴 본드 스트리트(3위) △ 파리 샹젤리제 거리(4위) △ 밀라노 비아 몬테 나폴레오네 지역(5위) 순으로 집계됐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였다. 인도는 여러 도시에서 임대료가 안
올 상반기 명동‧강남 등 서울 중심상권 내 화장품 매장이 일제히 감소했다. 아리따움 라이브‧시코르 등 체험형 플래그십 스토어나 편집숍은 증가했다.글로벌 부동산 컨설팅사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한국지사(대표 황점상)가 ‘2019년 상반기 서울 6개 가두상권 보고서’를 발표했다.올 상반기 서울 △ 명동 △ 강남여고 △ 홍대 △ 가로수길 △ 이태원 △ 청담동 등 6대 상권 내 임차인 현황을 전수 조사해 신뢰성과 정확성을 높였다.이 보고서에 따르면 올 상반기 명동 메인로의 화장품 매장 수는 1층 기준 68개점으로 집계됐다. 지난 해 하반기에 77개점에 비해 9개점이 줄었다. VDL‧스킨푸드 등이 폐업한 데 따른 것이다. 전체 상권 내 화장품 매장 비중은 지난 해 하반기 35.9%에서 34.7%로 낮아졌다.강남대로는 감소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대로의 올 상반기 화장품 매장 수는 1층 기준 13개점이다. 2018년 하반기 20개점에 비해 35% 줄었다. 강남대로 내 화장품 매장 비중은 올 상반기 14.6%로 지난 해 같은 기간 18.4%에 비해 3.8% 줄었다.서울 주요 상권에서 Z세대를 겨냥한 체험형 매장이나 편집숍은 늘고 있는 상황.지난 해 하반기 △ 미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