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업계가 가성비 화장품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GS25와 세븐일레븐 등이 뷰티 특화존을 강화하고 나섰다. 편의점은 소비자 접근성을 내세워 소용량과 저렴한 가격으로 승부를 띄웠다. 편의점이 뷰티제품을 늘리는 것은 ‘3저 현상’ 때문으로 분석된다. 저가‧저당‧저칼로리 트렌드로 고칼로리 음료‧주류‧식품 시장이 쪼그라들면서 품목 구조조정이 시작됐다. 편의점이 남성‧오프라인 위주에서 2060층 여성‧온라인 중심으로 전환되는 시점이다. 이 역시 편의점 내 화장품 비중이 늘어난 배경으로 꼽힌다. 최근 편의점업계는 성장률이 둔화되는 추세다. 편의점업계는 2014년부터 2023년까지 10개년 동안 연평균 매출이 10.4% 증가했다. 올 상반기 들어서며 매출 성장률은 5.2%로 둔화됐다. 점포수 증가세도 꺾였다. 2017년 점포 증가율 14%에 비해 2024년에는 3.6%에 그쳤다. 편의점업계에는 생존이 절체절명 과제로 떠올랐다. 편의점은 경험과 콘텐츠를 팔기 시작했다. 급변하는 트렌드를 선점하고, 고객층을 넓히기 위해서다. 특히 편의점업계는 다이소를 눈여겨보고 있다. ‘다이소처럼’ 화장품 비중을 늘리고, 특화공간을 구성하는 움직임이다. 색다른 뷰티 브랜드로 새로운 매장
코트라 후쿠오카 무역관 리포트 ‘온라인(전자상거래) 채널의 갈라파고스’ 지난해 8월 일본 경제산업성이 발간한 전자상거래에 관한 시장조사 보고서를 분석하면 이같은 표현이 결코 지나치지 않다. 일본 전체 소비시장의 전자상거래화 비율은 2022년 말 기준 9.1%였다. 이 가운데 화장품·의약품 분야의 전자상거래화 비율은 이보다도 더 낮은 8.2%다. 일본 화장품 소비자 90% 이상이 여전히 오프라인 매장에서 직접 상품을 눈으로 본 후 구매한다고 해석해도 무방하다. 일본도 전자상거래 비중이 점차 높아지리라고 예상할 수 있지만 그 속도는 대한민국, 또는 다른 국가에 비해 더딘 편이다. 결국 오프라인 채널 입점이 이뤄지지 않으면 시장 확대가 어려운 상황이라는 해석도 가능하다. 코트라 후쿠오카 무역관이 일본 화장품 시장 오프라인 소매 채널의 특징과 주요 기업들을 분석한 리포트는 이러한 측면에서 흥미롭다. ■ 버라이어티숍: 신제품 소개와 트렌드 선도 - 주요 기업 : 로프트(LOFT)·플라자(PLAZA)·아인즈&툴페(AINZ&TULPE)·핸즈(HANDS: 이전 도큐핸즈)·앳코스메(@COSME) 등 - 주요 기업별 매장 수 : 로프트: 161개·플라자: 132
오픈서베이, 유통사가 알아야 할 대한민국 쇼핑 트렌드 온라인-모바일·간편결제, 오프라인-H&B스토어·편의점이 변화 이끌어 2014년부터 모바일이 꾸준히 성장하면서 매장과 PC 온라인의 비율은 지속 하락했다. 2017년부터는 모바일의 성장이 둔화되고 오프라인의 하락세는 다소 안정됐다. 이러한 추세가 2018년에도 이어지며 온‧오프라인의 쇼핑 시장은 새로운 균형점에 이르렀다. 이와 같은 결과를 이끌어 낸 것은 바로 오프라인 분야에서 H&B숍과 편의점, 온라인에서는 모바일 쇼핑의 일상화와 간편결제인 것으로 조사됐다. 오픈서베이는 대한민국 쇼핑 트렌드 자료를 통해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지난 5년간 쇼핑 채널별 구매율과 모바일 쇼핑, 구매 방식, 오프라인 성장 동력 등에 대한 분석을 진행했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 몇 년 간 모바일 쇼핑이 비약적으로 성장한 반면 오프라인은 약세로 돌아선 반면 2018년 들어 오프라인이 안정세를 유지하면서 온‧오프라인 시장은 새로운 균형점에 도달했다고 평가했다. 모바일, 소비자 품으로 스며든 핵심 유통으로 자리 모바일 쇼핑은 소비자 사이에서 첫 번째로 꼽는 쇼핑 채널로 이미 일상화 되었으며 비즈니스 전략 구상 시에도
SNP화장품과 히든랩(hddn=lab)을 보유하고 있는 SD생명공학(대표 박설웅)이 다양한 유통채널 확보에 나섰다. SD생명공학은 최근 필수로 자리잡은 H&B스토어는 물론, 편의점과 홈쇼핑, 대형마트까지 타깃에 맞는 소비자와의 접점을 늘려나가고 있다. 어반 폴루션 더마 코스메틱 브랜드 히든랩은 세븐일레븐 주요 매장에 입점한다. 히든랩 마케팅 담당자는 “최근 주목하고 있는 어반 뷰티 선도 브랜드답게 히든랩의 메인 타겟의 주요 유통 채널인 편의점 중 세븐일레븐과 손잡고 전국 세븐일레븐 주요 매장에 입점하여 1인 도시 여성을 공략한다”고 입점 계기를 설명했다. 먼저 입점하는 품목은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스킨세이버 듀오 키트(Skin Savior Duo Kit)다. 스킨세이버 듀오 키트는 도시 생활의 외부 환경으로 인해 손상되는 피부를 피부 장벽 강화를 통해 피부 손상을 사전에 막아주는 고기능성 라인인 스킨 세이버의 히든랩 스킨 세이버 컨센트레이트와 유스 에센스로 구성됐다. 일명 ‘방패 크림’으로 불리우는 스킨 세이버 컨센트레이트(Skin Savior Concentrate)는 보랏빛의 쫀득한 고농축 밤 제형이 피부에 부드럽게 발리며 더스
제조업 중 경기전망지수 최고치…수출은 흐림 홈쇼핑·온라인 쇼핑은 낙관…편의점, 최저 수준 4분기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가 소폭 상승한 반면 기업 체감경기는 지난 2분기와 3분기의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한 채 전반저긴 불확실성에 막혀 다시 하락세로 돌아서고 말았다. 이같은 사실은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http://www.korcham.net)가 서울·6대 광역시 1천여 곳 소매유통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2017년 4분기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이하 RBSI)’와 전국 2천200여 곳의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4분기 제조업체 경기전망지수(이하 BSI)’를 조사한 결과 나타난 것이다. 이 조사에 의하면 4분기 RBSI는 지난 분기 대비 4포인트 상승한 95로 집계됐고 BSI는 지난 3분기보다 9포인트 하락한 85로 집계됐다. 그러나 화장품의 경우 BSI 113으로 최고 수치를 기록, 타 업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낙관적이었다. BSI 100을 넘긴 업종은 화장품과 IT·가전(100) 단 두 업종뿐이다. BSI는 지난 2014년 3분기 이후 3년 3개월 째 기준치(100)를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RBSI의 경우 홈쇼핑(156)과 온라인(인터넷쇼핑몰 10
신세계그룹이 편의점 사업을 이마트의 뒤를 잇는 그룹 핵심 성장 동력으로 키우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선다. 그룹의 지속 성장을 위한 신성장 동력으로 편의점 사업을 성장시키겠다는 것으로 그룹 차원의 전폭적인 투자를 아끼지 않을 방침이다. 이마트를 중심으로 하는 신세계그룹의 성장 DNA를 편의점 사업에 이식시키기 위한 다양한 제도 개선에도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마트 브랜드 강화 'emart24'로 첫 번째 변화는 약점으로 지적받아 왔던 편의점 브랜드의 교체로부터 시작된다. 그룹 계열사의 정통성을 지키기 위해 ‘위드미’를 버리고 ‘emart24’로 브랜드를 교체해 브랜드 파워를 강화시켰다. 국내 브랜드 파워 2위인 ‘이마트’를 전면에 내세움으로써 신세계그룹이 운영하는 편의점이라는 인식도를 높여 브랜드 파워를 극대화하는 한편, 상품과 가격, 서비스에 대한 신뢰도도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이마트가 지난 24년간 쌓아온 성공의 DNA를 그대로 편의점 사업에 이식, ‘emart24’를 기존 편의점 시장의 후발 주자가 아닌 새로운 시장 질서와 규칙을 만드는 ‘GAME CHANGER’로 자리매김하겠다는 의도이다. 이마트 DNA를 편의점에 이식 신세계그룹은 100%
롯데홈쇼핑은 SNS를 통해 아침 알람 울릴 때의 반응을 묻는 간단한 질문을 통해 무려 3만명의 고객과 직접 소통하는데 성공했고, 온라인 쇼핑몰 옥션은 사회적인 파장을 낳은 여행용 가방과 관련해 발 빠르게 '소문이 무성한 그 캐리어' 콘텐츠로 1만7천여명의 참여와 2천여건의 댓글, 500회의 공유를 이끌어 냈다.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이는 콘텐츠는 어떤 유형일까? 유통업계에서는 늘 소비자와 통하는 콘텐츠 발굴이 주요 화두다. (사)한국인터넷소통협회(회장 박영락)가 부설 소통가치측정연구소와 공동으로 올해 제 10회 대한민국인터넷소통대상·대한민국소셜미디어대상 평가 지표인 소통지수를 기반으로 최근 3개월 동안(2월 25일~5월 25일) 소비자와 공유한 콘텐츠를 유통업태별 빅데이터로 분석해 발표했다. 백화점/면세점,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집중 신라면세점 다양한 상품(면세품)을 콘텐츠 소재로 활용해 ▲ 화이트데이 선물, 여자 향수 추천 BEST 5 ▲ 오이향 향긋한 오이 뷰티 제품 BEST 4 같은 시리즈 콘텐츠를 공유해 소비자들에게 다채로운 정보를 지속적으로 전달한다. ▲ 우리들만의 HOT한 여행을 위한 핵잼 여행 영상 찍는 법 7 ▲ 여행 출발 60일전, 면세쇼핑
"올해도 원브랜드숍 화장품 시장 경쟁은 심화될 것으로 예상하는 만큼, 다양한 유통망을 확보하고 신제품 개발을 위한 연구와 시도를 지속하겠다" 지난 3월 제11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배해동 토니모리 대표이사 회장은 역동적인 화장품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타개책으로 신규 채널 확보에 대한 중요성을 설파했다. 화장품 업계의 분위기가 달라지고 있다. 그동안 직영점만 집중해왔던 로드숍 브랜드들은 홈쇼핑과 H&B스토어 등 다양한 채널로 소비자를 만나고 있다. 브랜드들이 다양한 유통채널로 발을 넓히는가 하면 유통채널에서 화장품 브랜드를 선보이는 경우도 있다. 세븐일레븐에서는 비씨엘과 손잡고 1020을 겨냥한 색조 화장품 브랜드 '0720'을 선보였고, CJ올리브영과 이마트 등은 자체 유통망을 이용해 PB브랜드로 소비자를 공략하고 있다. <유통대기업 채널별 진출현황:원본 파일 다운로드는 코스모닝닷컴 자료실 이용> 커져라! 유통의 힘 유통전성시대라 불릴만큼 유통의 힘이 점차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기업성과 평가사이트 CEO 스코어가 2000년 이후 30대 그룹의 순위변화를 분석한 결과 유통기업들은 기존의 제조업을 밀어내고 눈부신 성장을 거듭했다. 신세계는 20
2030여성 소비자 위한 다각적 유통망 확대 주력 여성건강 전문기업 ㈜하우동천(대표 최원석)의 여성청결제 브랜드 질경이가 GS25 편의점에 입점했다. 질경이의 GS25 입점은 세븐일레븐 이후 두 번째 편의점 입점으로 19일 부터 전국 GS25 매장에서 질경이(2정) 제품을 구입할 수 있다. 6월부터는 GS25 입점을 기념해 생리대 브랜드와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하는 등 보다 많은 여성들이 질경이를 만나볼 수 있는 다양한 프로모션도 계획 중이다. 질경이는 여성의 건강한 아름다움을 지켜주는 뷰티케어 제품으로 Y존의 냄새 제거 및 피부 탄력과 보습 강화, 브라이트닝에도 효과적이며 7가지 식물 유래 성분으로 제조돼 만 4세 이상의 모든 여성이 사용할 수 있다. 질경이 공식 몰과 온라인 몰과 주요 TV 홈쇼핑, 약국 외에도 편의점과 드럭스토어(왓슨스, 롭스, 판도라)로 유통망을 확장하면서 20대와 30대 여성들에게도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최원석 대표는 “여성청결제 시장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현 상황에 발맞춰 소비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보다 쉽게 질경이를 만나볼 수 있도록 편의점, 드럭스토어 등 유통을 다각화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하우동천은 유통망
소셜커머스·종합몰보다 성장률 높아 판세 주도 산자부 유통업체 품목별 매출조사 오픈마켓, 소셜커머스, 종합유통 몰 등 주요 온라인 유통채널에서 화장품 거래액은 지난 한 해(11월말 까지) 꾸준한 성장세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오픈마켓은 전년 동월 대비 최저 19.3%(10월)에서 최고 42.5%(11월)의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종합유통 몰도 최저 4.5%(9월)에서 최고 28.4%(4월)의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소셜커머스는 7월에 전년 같은 기간보다 4.7% 줄어드는 양상을 나타내 3개 주요채널 가운데 유일하게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최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주요 유통업체 전 품목 매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온라인, 오프라인 모두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8.9%, 7.1%의 성장률을 나타냈으며 온·오프라인 합계 10.6%의 성장세를 나타냈다. 오픈마켓-전체 평균성장률보다 상회 3개 온라인 유통채널 가운데 가장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던 오픈마켓에서의 화장품 부문은 11월 성장률 42.5%를 기록, 지난 11개월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이는 이 기간 중 전체 품목의 성장률 26.4%보다 16.1% 포인트 높은 것이다. 특히 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