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수출협회가 올해 영리법인을 설립하고, 뷰티 교육사업을 강화한다. 중소기업 수출에 도움을 주는 단체, K-뷰티의 질적 성장에 기여하는 협회로 거듭날 전략이다. 한국화장품수출협회(회장 이경민)가 13일 오후 3시 스페이스쉐어 서울역센터에서 ‘2025년 제1회 정기총회’를 개최했다. 협회는 2025년 사업계획으로 △ 화수협 산하 영리법인 설립 △ 영리법인 기반 글로벌 비즈니스 센터 운영(가칭 CIBA(Cosmetics International Business Academy)) 등을 발표했다. 영리법인은 협회 지분 100%로 설립하며, 법인 명칭과 세부 운영방안은 임원진 회의를 거쳐 최종 확정한다. 영리법인의 주 목적은 △ 화장품 교육 △ 해외 화장품 인증 획득 교육 △ 수출 컨설팅‧멘토링 △ 수출 콘텐츠 개발 △ 해외 박람회 참가 지원 △ 화장품 사업자 간 커뮤니티 구축 등이다. 특히 화수협은 영리법인을 통해 글로벌 비즈니스 센터를 운영할 예정이다. 글로벌 비즈니스 센터의 가칭은 CIBA(Cosmetics International Business Academy)이다. CIBA가 내세운 사업영역은 아카데미와 해외 전시회 공동부스 운영 두 가지다. 아카데미에선
한국화장품수출협회(회장 이경민)가 1월 15일(수) 오후 4시 ‘군납 세미나’를 개최한다. 군납 세미나에서는 화장품을 군대에 납품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23년차 군납 전문가인 김종필 와이투홀딩스 대표가 강의를 진행한다. 김종필 대표는 2016년 첫 군납 입찰 후 2020년까지 누적 매출 120억 원을 기록했다. 최근 3년 동안 24개 품목의 입찰을 성사시켰다. 군납 화장품은 군대 내 장병과 가족을 위한 선물용으로 활용된다. 온라인 PX몰에서도 판매된다. 직업군인‧군무원 뿐만 아니라 의무복무 중인 현역군도 구입 가능하다. 군납 세미나 참가 신청은 링크(https://buly.kr/Ezhu6fK)나 이메일(koreacea@koreacea.or.kr)을 통해 가능하다. 이메일 신청 시 성명‧소속‧직위‧연락처‧이메일 등을 밝혀야 한다. 세미나 사전 신청기한은 1월 11일(토)까지다. 세미나 장소는 신청인원에 맞춰 선정 후 통보할 예정이다. 협회 회원사는 세미나 참가비가 무료다. 교류회원과 외부회원의 경우 참가비가 1인당 1만원이다. 이경민 화장품수출협회 회장은 “회원사의 매출 다변화를 위해 군납 세미나를 기획했다. 군납을 체계적으로 준비할 수 있도록 전문가 노하우를
“지금이 기회다.” “남들 다 가는 데 말고 제3국을 뚫어야 한다.” 신시장‧신유통‧신영역 창출. K-뷰티의 코어를 키워 성장판 열기. 이경민 한국화장품수출협회 회장의 출사표다. 그는 3월 25일 한국화장품수출협회 정기총회에서 3대 회장으로 선임됐다. 그는 화장품업계에 18년 종사하며 ‘작은 브랜드가 살아남으려면?’을 고민했다. 수출과 교육, 두 가지에서 답을 찾았다. “협회 정회원 100여개사 대다수가 스몰브랜드를 운영해요. 지금 전세계에 스몰브랜드 시장이 열렸잖아요. 수출 해야죠. 경쟁력 있는 브랜드를 모아 해외로 나갈 겁니다. 첫 번째가 브라질을 포함한 라틴아메리카에요.” 이와세코스파한국 본부장인 그는 2019년부터 한해 두세차례 브라질을 방문왔다. ‘인코스메틱스 라틴아메리카’에 부스를 열고, 한인회‧대학 등을 만나 시장조사를 진행했다. 발로 뛰어 체득한 비즈니스 노하우를 나눌 때라고 판단했다. “남미는 무궁한 가능성이 열려있어요. 글로벌 브랜드들의 격전지죠. 헤어‧메이크업 브랜드가 강세지만 K-뷰티가 알려지면서 스킨케어 시장도 커지고 있고요. 중소브랜드로 협회 공동관을 꾸려 박람회에 참여하면, 부담은 줄이고 성과는 키울 수 있습니다.” 그는 K-인디
한국화장품수출협회가 3월 25일 오후 2시 ‘2024년 제1회 정기총회’를 개최한다. 이번 정기총회에서는 이경민 이와세코스파한국 본부장이 3대 신임회장으로 취임한다. 이어 2023년 사업실적을 보고하고, 2024년 사업계획을 발표한다. 3기 회장과 운영진도 소개한다. 3기 운영진은 △ 박진영 명예회장(코스메랩) △ 권태흥(홍보‧CNC뉴스) △ 함서영(중국‧나인비크) △ 노석지(상품개발 기획‧인핸스비) △ 백지훈(임상‧더마프로) △ 임동훈(해외‧넥스트팬지아) △ 이재준(관세) △ 허찬우(국내 법률·제도) △ 백아람(해외 인플루언서 마케팅‧누리하우스) 등이다. 사업발표회에선 △ AI 글로벌 제조 플랫폼(임동훈 넥스트팬지아 대표) △ 글로벌 인플루언서 활용 해외 마케팅(백아람 누리하우스 대표) 등을 설명한다. 이경민 화장품수출협회 신임회장은 “25일 총회를 열고 3기 운영진과 전개할 사업을 발표한다. 화장품 브랜드·제조·원료·부자재 기업이 해외 수출을 확대하도록 기반을 마련할 전략이다. 회원사 의견을 반영해 발전적인 사업모델을 수립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신청 : https://url.kr/bzpovf(장소 추후 공지).
‘61.2%.’ 화장품산업 종사자 가운데 2030 세대가 차지하는 비중이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지난 해 8월 발표한 ‘2021년 2분기 보건산업 고용동향’에서 나왔다. 30대가 30.9%(1만 7천명)로 가장 많다. 20대가 23.9%(1만 3천명)로 뒤를 잇는다. 화장품은 젊은 사업이다. 젊은 피가 필요하다. 수출 분야에서는 더 그렇다. 세계라는 링 위에서는 속도와 방향 둘 다 중요하다. 체화된 혁신성과 트렌디한 감각이 필요하다. 크고 새로운 생각이 중시된다. ‘큰 생각은 큰 광경을 요구하고, 새로운 생각은 새로운 장소를 요구한다’. 알랭 드 보통이 ‘여행의 기술’에서 한 말이다. K뷰티 3.0 시대는 새로운 사람을 요구한다. 신한류(新韓流)의 물결 속에서 자유자재로 노를 저을 사람이. 90년대생이 왔다. 곽태일 한국화장품수출협회 2대 회장이다. 곽 회장은 1991년생이다. 그는 건국대 축산학과 졸업 후 2017년 4월 팜스킨을 창업했다. 젖소 초유로 화장품을 개발했다. 초유 화장품 매출 성장에 힘입어 2020년 미국 포브스가 선정한 ‘아시아 30세 이하 리더’에 올랐다. 곽태일 회장은 코로나19 이전 1년 365일 중 200일 이상을 해외에서 보냈다.
상표권을 포함한 지식재산권에 대한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특히 K-뷰티 최대 수출국가·지역이라고 할 수 있는 중국과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이 같은 지식재산권 관련 피해가 늘어나고 있는 현실은 국내 화장품·뷰티 업계가 당면한 과제로 지적할 수 있다. 한국화장품중소기업수출협회(회장 박진영·이하 화수협)와 빅데이터 기반 위조상품 적발·대응 시스템을 구축한 리팡아거스(대표 임동숙)가 업무협약을 맺고 공동 대응에 나선다. 양 측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해외 수출시장에서 K-뷰티 브랜드 등록과 보호, 위조상품 등에 대한 적극 대처를 진행함으로써 지식재산경영을 펼쳐나가기로 합의했다. 화수협 정연광 사무국장과 임동숙 리팡아거스 대표는 협약식에서 국내 화장품 기업의 해외시장, 특히 중국·동남아시아 진출과 비즈니스 전개 시 발생할 수 있는 지식재산권 관련 현안과 대응 사례 등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이에 대한 대응 방안에 관해 논의했다. 특히 △ K-뷰티 브랜드(상표권) 해외 등록관련 자문 △ 해외 지식재산권 출원·등록·관리 · 해외 시장에서의 브랜드 침해에 대한 대응방안 자문 △ 해외 온라인 유통 브랜드 침해제품 조사와 차단 지원 등의 관련 사안을 중점 협약 사안으로 다뤄갈
(사)한국화장품중소기업수출협회(회장 박진영·이하 화수협)는 14일 ‘제조업자 표기 삭제(자율 표시)’ 온라인 서명운동을 시작한다고 밝히고 본격 행보에 들어갔다. 화수협 정연광 사무국장은 “제조업자 표시 의무화를 규정하고 있는 화장품법으로 인해 중국은 물론 전 세계에서 복제·유사품이 양산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라며 “K-뷰티 수출의 주축이라고 할 중소기업은 원가도 못 건지고 시장에서 퇴출당하고 있어 생존을 위협받고 있다”고 호소했다. 정 사무국장은 “화장품법 제 10조의 ‘제조업자 의무 표시’는 2만여 책임판매업자의 생계를 위협하는 ‘독소 조항’이다. K-뷰티 중소기업의 생존권을 위해서라도 올해 정기국회 내 화장품법 개정안(김원이 의원 발의)을 반드시 통과시켜야 한다”고 제조업자 자율 표시로의 법 개정을 강력하게 촉구했다. 화수협은 이같은 취지에 공감하는 국민은 물론 대한민국 중소기업의 적극 지지를 이끌어 내겠다는 각오를 다지고 있다. 지지 서명운동은 온라인( http://naver.me/FmgudW2U ) 링크(클릭 하면 접속 가능)를 통해 확산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화수협 측은 ‘책임은 독박, 미래가 없는 K-뷰티 중소기업 생존권 투쟁 10만 뷰티
한국화장품중소기업수출협회(회장 박진영)가 20일 1시부터 6시까지 서울 역삼동 코스메랩빌딩 지하 1층에서 ‘포스트 코로나 대비 2020 최신 제형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김주연 CAIQTEST 팀장이 중국 위생허가에 대한 변경사항을 알려준다. 알렌정 ALC21 대표는 ‘북미 마케팅 무엇부터’를 주제로 강의한다. 이어 △ 코디 △ 콧데 △ 에스겔코스메틱 △ 코바스 등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이끌 신제형‧신기술을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