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말을 기준으로 화장품 제조업자와 책임판매업자의 수가 모두 2만7천44곳이었던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제조업자는 4천416곳, 책임판매업자는 2만2천628곳이었다. 대한화장품협회(회장 서경배· www.kcia.or.kr )가 제 73회 정기총회(서면)를 진행하면서 제출한 ‘화장품 산업 현황’ 자료에 따르면 화장품 제조업자 수는 지난 2020년의 4천71곳보다 345곳이 늘어나 8.5%의 증가율을 보였다. 또 화장품 책임판매업자 수는 2020년도의 1만9천769곳보다 2천859곳이 더 늘어남으로써 14.5%가 증가했다. 이와 함께 화장품 책임판매업자 수는 처음으로 2만 곳을 넘어섰다. 이 자료에 의하면 화장품 제조업자는 지난 2017년 2천66곳으로 집계된 이래 이듬해 2천244곳(8.6%) → 2019년 2천911곳(29.7%) → 2020년 4천71곳(39.8%) → 2021년 4천416곳(8.5%)까지 증가했다. 2017년에 비해 지난해 말 제조업자 수는 2천172곳(96.8%)이나 더 늘어난 수치다. 책임판매업자의 경우에는 2017년 1만266곳을 시작으로 2018년 1만2천494곳(21.7%·2천228곳) → 2019년 1만5천709곳(
지난 7월 화장품 수출실적은 6억5천500만 달러를 기록, 전년 같은 기간의 5억8천600만 달러보다 11.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지난해 6월부터 이어오던 전년 대비 월 성장세를 14개월 째 이어갔다. 이와 함께 올해 7월까지의 누적 수출실적은 52억7천400만 달러로 전년 같은 기간의 누적 실적 40억900만 달러보다 31.6%의 증가세를 기록했다. 이 같은 화장품 수출실적 증가세를 10%대로 유지할 경우 올 연말 수출액은 80억 달러, 20%대로 이어간다면 90억 달러를 가볍게 뛰어넘을 수 있을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 www.motie.go.kr )가 오늘(1일) 집계, 발표한 ‘7월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그러나 이 같은 화장품 수출실적은 지난 6월의 7억2천600만 달러보다는 71억 달러·9.8%가 줄어든 수치며 올해 월별 수출실적 가운데 2월의 6억1천800만 달러에 이은 두 번째로 낮은 금액이었다. 올해 들어 월별 화장품 수출실적은 4월의 8억7천600만 달러를 위시해 3월에도 8억5천200만 달러를 기록한 바 있으며 △ 5월 7억9천500만 달러(전년 동기 대비 41.8% 증가·이하 ( )안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올 상반기 화장품 수출실적이 지난해 같은 기간의 34억2천만 달러보다 무려 35.1%가 증가한 46억2천200만 달러에 이르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화장품 수출 호조세가 지속할 경우 올 연말까지 화장품 수출이 90억 달러를 상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6월 한 달 동안의 실적은 7억2천600만 달러를 기록, 지난해 같은 기간의 5억5천100만 달러보다 31.7%가 증가했다. 이로써 화장품 수출실적은 13개월 연속 증가세(전년 동기 대비)를 이어갔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 www.motie.go.kr )가 오늘(1일) 집계 발표한 6월·상반기 수출실적 동향에 따르면 6월 화장품 수출은 △ 한방 효능을 앞세운 K-뷰티의 브랜드 가치와 차별화한 제품 콘셉트(제주 재배 원료 등) 등에 기반해 △ 미국 시장 내 K-뷰티 높아진 인지도 △ 인플루언서·SNS 등 마케팅 전략의 다각화 △ 미국을 위시한 중국과 아세안으로의 수출 호조가 이어져 7억2천600만 달러의 실적을 올렸다. 이를 품목별로 세분화하면 메이크업・기초화장품의 수출이 5억2천만 달러(34.8%↑)였고 △ 두발용제품은 2억6천만 달러(17.8%↑) △ 세안용품이 2천만 달러(34.6%↑)
75억7천500만 달러 VS 61억2천200만 달러. 무려 14억5천300만 달러, 한화 약 1조6천억 원의 차이다. 우리나라 수출입 통관을 총괄 집계, 발표하는 관세청의 통계가 이렇게 큰 차이를 보일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없는 상황이 발행했다. 지난달 25일자로 관세청은 ‘코로나에도 지난해 한국 화장품 수출 역대 최고 기록 경신’이라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그런데 수치가 이상하다. 관세청 보도자료는 지난해 화장품 수출은 61억2천200만 달러, 2019년 대비 14.8% 증가를 기록했다는 내용을 중심으로 코로나19 팬데믹에도 한국 화장품 수출이 높은 성장세를 시현한 이유 등을 분석했다. 이어서 관련 기사가 주요 일간지·인터넷 매체·그리고 화장품 전문 언론에까지 관세청 보도자료의 제목과 유사한 기조의 헤드라인을 걸고서 보도가 이뤄졌다. 매월 산업통상자원부의 수출입동향과 분기별로 관세청 통계에 기반해 대한화장품협회가 화장품 분류기준에 의거, 집계 발표하는 화장품 수출입실적 관련 기사를 업데이트하고 있는 기자의 기억과는 큰 차이가 있었다. 일단 수출실적을 확인한 결과 화장품협회가 ‘다른 곳이 아닌 관세청 통계’에 기반해 집계, 발표한 지난해 화장품 수출실
올해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실적이 지난 2001년 이후 최저 성장률, 또는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대한화장품협회(회장 서경배 · www.kcia.or.kr )가 관세청 수출입통계를 바탕으로 집계한 올 10월까지의 수출실적 누계는 53억5천419만5천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53억597만1천 달러보다 0.9% 성장하는데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남은 2개월 동안 두 자릿수 이상의 폭발적인 성장을 한다 하더라도 연간 누적실적을 기준으로 할 때 10% 미만의 성장률에 그칠 가능성이 짙어지고 있는 것. 올해 10월까지의 이 같은 성장률을 감안해 예상했을 때 2001년 이후 최저 성장률을 기록했던 2.9%에도 못 미치는 것은 물론 마이너스 성장까지도 각오해야 할 상황에 놓이게 됐다. 2001년 이후 지난해까지 최고 수출 성장률은 지난 2015년의 55.2%였다. <2019년 1~10월 수출입실적 추이: 첨부문서 참조> 특히 올해 화장품 수출과 관련한 이 같은 비관적 전망은 월별 실적에서 지난 2월의 19.1%가 최고치였고 6월에는 -14.7%로 최저치를 기록했다는 점에서 더 큰 우려를 낳고 있다. 이미
中·홍콩·아세안·美·EU 등 주요 지역도 성장가도 달리며 청신호 산업통상자원부 7월 수출입실적 통계 7월 화장품 수출은 5억1천100만 달러를 기록, 전년 같은 기간보다 41.3%가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이로써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화장품 누적 수출액은 36억9천9백만 달러를 달성해 이미 지난해 전체 화장품 수출액(49억5천9백만 달러)의 74.6%를 달성하는 성과를 이루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백운규· www.motie.go.kr)가 이달 초 집계 발표한 2018년 7월 수출입실적 통계에 따르면 5대 유망소비재 수출품목에 속해 있는 화장품은 올 들어 2월(2017년 2월 대비 5.2% 감소)을 제외한 나머지 6개월 동안 전년 같은 기간보다 최저 32.5%(6월)에서 최고 68.2%(5월)의 증가세를 구가하면서 지속적인 성장가도를 달렸다. 다만 7월 화장품 수출실적은 6월보다는 7.8%, 5월보다는 14.4%의 감소세를 기록함으로써 성장세는 둔화됐던 것이 ‘옥의 티’였다. 그렇지만 7월까지의 누적 수출액이 지난해의 3/4에 이르고 현재와 같은 전년 대비 성장세를 유지한다면 지난해 수출 증가율 18.3%는 무난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