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앤레스토랑 뉴스레터 신청하기 일주일 그만보기 닫기

2024.04.26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마케팅

‘LG-사상 최대 실적’ VS ‘아모레-반전 발판 마련’

두 회사 모두 국내외 영업 선전…온라인 호조세도 실적 기여

 

☞코스모닝 뉴스레터 구독하기 검색창에 '코스모닝'을 쳐보세요.

 

LG생활건강(대표 차석용)이 지난 1분기 동안 △ 매출 2조367억 원(7.4%) △ 영업이익 3천706억 원(11.0%) △ 당기순이익 2천588억 원(10.5%)을 달성하며 사상 최대 1분기 실적을 거뒀다.

 

아모레퍼시픽그룹(회장 서경배)은 같은 기간 △ 매출 1조3천875억 원(8.5%) △ 영업이익 1천977억 원(191.1%) △ 당기순이익 1천768억 원(86.5%)을 기록하면서 직전 분기의 부진을 딛고 반전 기회를 마련했다.

 

LG생활건강의 경우 코로나19 대유행이 지속돼 국내외 시장 모두 어려운 경영환경에 처했지만 뷰티·에이치디비·리프레시먼트 등 세 부문의 사업 모두 매출과 이익 성장을 실현하며 1분기 실적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최근 3년 동안의 부진을 딛고 일단 실적 반등에 성공했다는 평이다. 직전 분기(2020년 4분기) 대비 매출은 10.0% 성장했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흑자전환했다.

 

온라인 채널이 고성장 기조를 이어갔고 중국 시장이 성장세를 회복한 데 힘입었다는 분석이다. 설화수 등 럭셔리 브랜드의 판매 호조가 영업이익 개선에 도움을 줬다. 데일리 뷰티 등을 제외한 그룹 전체의 화장품 매출은 1조2천954억 원.

 

LG생활건강-1분기 실적으로는 사상 최대

LG생활건강의 사상 최대 1분기 실적 시현의 배경에는 럭셔리 브랜드에 대한 높은 고객 선호도를 기반으로 해외 매출의 꾸준한 성장세가 있었다.

 

특히 뷰티 매출은 코로나19 발생 이후 처음으로 성장세로 돌아섰다. HDB 매출은 지난해 급증했던 핸드 새니타이저·마스크 등 위생용품 수요가 현저히 줄어들었지만 프리미엄 브랜드의 비중 확대로 매출 성장세를 이어갈 수 있었다. 리프레시먼트 사업은 높은 인지도를 보유한 주요 브랜드의 안정 성장을 발판으로 견고한 실적을 달성했다는 분석이다.

 

 

뷰티와 데일리 뷰티를 합한 화장품의 1분기 매출은 1조4천908억 원, 영업이익은 3천61억 원을 기록, 전년 같은 기간보다 각각 10.1%, 14.1% 성장했다.

 

전년동기 대비 매출은 2005년 3분기 이후 61분기가 성장했으며 영업이익은 2005년 1분기 이후 64분기 증가세를 이어갔다.

 

▲ 뷰티 사업: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6% 증가한 1조1천585억 원, 영업이익은 14.8% 증가한 2천542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1월 20일 이후 1년 이상 이어지고 있는 코로나19가 글로벌 화장품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지속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뿐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의 꾸준한 매출 증가가 성장을 이끌었다.

 

특히 해외 시장에서 럭셔리 화장품 브랜드의 판매 호조와 디지털 채널의 성장을 지속하며 매출 성장세를 이어갔다.

 

▲ 에이치디비 사업: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6% 성장한 5천207억 원, 영업이익은 1.4% 성장한 662억 원.

 

지난해 급증했던 위생용품 수요가 줄어든 반면 닥터그루트·히말라야 핑크솔트 등 프리미엄 브랜드가 이어지는 소비자의 긍정 반응으로 매출이 성장했다. 일상에서 바이러스 접촉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는 분위기 속에 숨겨진 고객 니즈를 민첩하게 반영한 피지 바이럭스 세탁세제와 아우라 바이럭스 초고농축 섬유유연제 등이 분전, 매출에 기여했다.

 

▲ 리프레시먼트(음료) 사업: 1분기 매출은 전년 대비 2.0% 성장한 3천575억 원, 영업이익은 6.9% 성장한 501억 원을 달성했다.

 

코카콜라와 몬스터에너지 등 탄산 음료의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5% 성장했다. 지난해 출시 이후 좋은 반응을 받고 있는 코카콜라 제로 슈가에 이어 최근 스프라이트 제로를 출시, 제로 칼로리 음료 시장의 수요를 늘려나가고 있다.

 

아모레퍼시픽-국내·해외 사업 모두 성장세 전환

주력 계열사 아모레퍼시픽은 전년 동기 대비 10.8% 증가한 1조2천528억 원의 매출과 189.2% 성장한 1천762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국내 사업의 경우 6.9% 증가한 8천135억 원의 매출과 44.7% 증가한 1천253억 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해외 사업은 △ 매출 4천474억 원으로 19.6% 성장 △ 영업이익은 523억 원을 거둬 흑자 전환했다.

 

 

국내 온라인 매출이 30% 이상 증가하고 면세 채널 성장이 두드러졌다. 채널 믹스를 개선하고 럭셔리 중심의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재편, 화장품 부문 영업이익 증가에 성공했다.

 

럭셔리 브랜드는 스킨케어 카테고리를 강화했고 프리미엄 브랜드의 경우 온라인 매출이 10% 이상 성장하는 성과를 거뒀다. 데일리 뷰티 브랜드 미쟝센·라보에이치·일리윤 등도 프리미엄 헤어·보디 라인을 중심으로 성장 엔진 확보에 주력했다.

 

해외 시장에서는 전체 매출 20% 성장과 영업이익 흑자 전환을 동시에 일궜다. 특히 중국에서는 ‘3.8 부녀절’에서 설화수를 중심으로 높은 성과를 달성하고 온라인 채널에서 선전하며 전체 매출이 30% 이상 성장했다.

 

아세안 지역 전반에서 설화수의 매출이 고루 높았다. 특히 태국과 베트남에서는 설화수와 라네즈를 중심으로 매출이 성장했다. 북미 시장에서는 아마존 등 온라인 채널에서 매출이 확대됐고 유럽에서는 이니스프리가 세포라에 입점, 멀티브랜드숍 채널을 중심으로 전체 매출 성장을 이끌었다.

 

▲ 주요 자회사 실적: 이니스프리는 오프라인 채널 재정비와 온라인 비중 확대 전략을 통해 영업이익을 대폭 개선했다. 매출은 89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7.2%였으나 영업이익은 88.2% 성장해 95억 원을 기록했다.

 

에스트라는 아토베리어 등 주요 라인의 고성장에 힘입어 23.7% 증가한 297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고수익 제품 판매가 확대, 205.9% 증가한 50억 원의 영업이익도 달성했다.

 

(주)에뛰드는 면세·오프라인 채널을 재정비, 281억 원(-18.7%)의 매출을 기록했다. 직영점 축소에 따른 고정비 절감으로 적자 폭을 축소한 것이 위안거리다.

 

에스쁘아는 오프라인 매출 감소로 125억 원(-9.1%)의 매출을 기록했다. 마케팅 비용 증가로 영업이익은 적자 전환했다.

 

아모스프로페셔널은 살롱 중심의 사업 전환을 위해 면세 채널을 축소하며 170억 원(-8.8%)의 매출과 42억 원(-4.4%)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오설록은 선물 세트 중심으로 온라인 매출이 확대, 166억 원(31.2%)의 매출과 17억 원의 영업이익을 달성,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