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3 (목)

  • 맑음동두천 3.2℃
  • 구름많음강릉 8.5℃
  • 구름조금서울 6.4℃
  • 구름조금대전 6.6℃
  • 구름조금대구 5.1℃
  • 울산 6.8℃
  • 흐림광주 8.0℃
  • 맑음부산 8.2℃
  • 흐림고창 5.5℃
  • 맑음제주 9.9℃
  • 흐림강화 6.4℃
  • 맑음보은 3.5℃
  • 구름많음금산 7.2℃
  • 맑음강진군 6.1℃
  • 구름많음경주시 6.3℃
  • 구름많음거제 7.6℃
기상청 제공

기업소식

올리브영 “189개국 외국인이 화장품 942만 건 결제”

유럽 소비자 매출 증가…미국은 선케어 제품 구매

 

 

189개국 외국인 소비자가 지난해 올리브영 매장을 방문했다. 이들은 화장품을 쇼핑하고 942만 건을 결제했다.

 

올리브영은 2024년 외국인 관광객이 올리브영 매장 1,264곳을 찾았다고 밝혔다. 올리브영 전체 매장 1371곳의 92%에 달하는 수치다. 쇼핑 1번지 명동부터 국토 남단 제주 서귀포까지 전국 방방곡곡 외국인들의 발길이 닿았다.

 

‘글로우 스킨’ ‘코리안 스킨케어 루틴’ 열광

 

올리브영이 방한 관광객들의 필수 쇼핑코스로 떠올랐다. 지난 해 올리브영의 외국인 매출은 2023년에 견줘 140% 증가했다.

 

특히 유럽인들의 구매가 두드러졌다. 이탈리아‧스페인 국적 소비자 매출은 전년 대비 각각 250%, 226% 늘었다. 뷰티강국으로 알려진 프랑스도 184% 많아졌다.

 

한류 열풍이 지속되는 멕시코‧튀르키예는 각각 400%, 340% 신장했다.

 

미국 소비자는 선케어 제품을 주로 구매했다. 한국산 자외선차단제가 가성비템으로 SNS에서 입소문나면서다.

 

외국인들의 장바구니에는 글래스 스킨 아이템이 많았다. 한국인의 투명하고 맑은 피부 톤을 의미하는 ‘글래스 스킨’(Glass Skin)이 글로벌 뷰티 소비자에게 영향을 미쳤다.

 

중국‧일본‧대만 등 인접 국가의 소비자는 마스크팩‧토너‧로션‧에센스‧앰플 등 한국인들이 주로 쓰는 스킨케어 제품을 구매했다. SNS에서 ‘코리안 스킨케어 루틴’(Korean Skincare Routine)으로 공유되는 한국식 피부관리 루틴이 소비문화로 자리잡은 모습이다.

 

전자라벨‧영어안내 확대…외국인 쇼핑 편의성 강화

 

 

올리브영은 올해도 외국인 고객 잡기에 나선다.

 

외국인 고객 비중이 90% 이상인 명동타운은 특화 서비스를 강화한다. 이 서비스를 부산‧제주 등 주요 관광지 매장에도 도입한다. 외국인을 위한 전자라벨과 매장 안내, 결제 시스템 등을 고도화하고 있다. 

 

아울러 외국인 관광객이 선호하는 제품을 ‘K뷰티 나우’, ‘글로벌 핫이슈’ 등 별도 공간에 선보인다. 일부 복층 매장에선 캐리어 보관 서비스를 운영한다.

 

올리브영 글로벌몰 가입을 돕는 자판기 설치도 확대한다. 외국인 소비자가 귀국 후에도 K-뷰티에 관심갖도록 돕는 조치다. 현재 광복타운‧명동역점‧명동타운‧삼성타운 등 4곳에 도입했다. 올리브영은 지난 해 자판기를 활용해 글로벌몰 신규회원 33만 명을 유치했다.

 

올리브영 측은 “한국을 찾는 외국인들에게 긍정적인 쇼핑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전세계 소비자에게 K-뷰티 브랜드를 신속히 선보이는 관문 역할을 하겠다”고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