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스트 탈모샴푸’가 대만에 성공적으로 진출했다. 폴리페놀팩토리(대표 이해신)는 22일 대만 모모홈쇼핑에 그래비티 샴푸를 선보였다. 그래비티 샴푸는 밤 9시 프라임 시간대에 방송됐다. ‘판매여왕’으로 불리는 쇼호스트 췌자쉔(崔家軒‧Sharon Tsui)이 방송을 진행했다. 홈쇼핑 방송에서 준비된 전 수량이 매진되며 또 한번 품절기록을 세웠다. 대만 모모홈쇼핑에서 판매한 제품은 ‘그래비티 볼디파잉 샴푸’다. KAIST 특허 성분 LiftMax 308™을 함유했다. 폴리페놀 복합체가 모발에 보호막을 형성하고, 외부자극으로 인한 모발 손상을 줄인다. 이 제품은 독일 더마테스트에서 최고 등급인 ‘엑설런트’를 획득했다. 코코넛 껍질을 재활용한 용기를 사용했다. 제품 임상시험을 실시해 1회 사용 시 모발 굵기와 볼륨이 각각 19.22%, 87.27% 개선되는 효과를 확인했다. 폴리페놀팩토리는 폴리페놀 복합체의 작용 기전을 연구했다. 연구 논문은 SCI급 국제학술지 Advanced Materials Interfaces에 등재됐다. 이를 통해 폴리페놀 복합체의 표적 전달 기술의 과학적 타당성을 입증했다. 나이삭 그래비티 해외영업팀 매니저는 “대만은 고온다습한 기후 때문에
스위스퍼펙션 ‘RS-28 리주베네이션 세럼’은 피부를 젊고 빛나게 가꿔준다. 이 제품은 스위스퍼펙션의 28년 피부노화 연구를 바탕으로 개발됐다. 기존 제품 대비 유효성분을 19배 늘렸다. 엑소좀 기술을 접목해 피부 흡수율을 1.9배 강화했다. 피부의 광채 에너지를 깨워 맑고 투명한 피부로 만든다. 셀룰라 아이리사® 바이오-액티브, NAD+ 부스터, 효모, 펩타이드, 에델바이스 성분이 피부를 정화하고 영양을 공급한다. 인체적용시험을 실시해 피부 결‧톤‧밀도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 피부 안정성 시험에서 무자극성 을 입증했다.
코리아나화장품 앰플엔이 25일까지 서울 역삼동 ‘일상비일상의 틈’에서 팝업스토어를 연다. 앰플엔은 세븐틴 도겸을 전속모델로 발탁하고 브랜드 첫 팝업매장을 마련했다. 도겸과 함께 하는 체험형 공간으로 구성해 몰입도를 높였다. 팝업매장에선 앰플엔 대표 제품인 블레미샷 앰플과 크림을 소개한다. 블레미샷 라인은 잡티와 피부 톤을 관리하는 제품으로 구성했다. 고효능 기능성 원료가 피부를 맑고 환하게 가꿔준다. 아울러 팝업매장에선 도겸의 미공개 사진과 영상 등을 선보인다. 제품 구매 고객에게 도겸 증명사진과 경품 등을 증정한다. 앰플엔 관계자는 “블레미샷은 피부 톤과 잡티를 동시에 케어한다. 팝업매장에 블레미샷 특성을 시각적으로 풀어냈다. 도겸과 함께 제품 성분‧제형‧효능 등을 오감으로 체험할 수 있다”고 전했다. 앰플엔은 37년 전통의 코리아나화장품이 운영하는 앰플 전문 스킨케어 브랜드다. 피부 고민별 제품을 개발해 더마코스메틱 시장에서 입지를 넓히고 있다.
더마비(Derma:B)가 야구장에서 제품 체험 행사를 진행한다. 더마비는 25일(일) 키움히어로즈와 KT위즈의 경기가 열리는 고척스카이돔에 부스를 마련했다. 28일(수)에는 KT위즈와 두산베어스가 경기하는 수원KT위즈파크에서 부스를 운영한다. 더마비는 부스 방문객에게 ‘데오프레쉬 쿨시트’와 ‘프레쉬 모이스처 바디로션’ 견본품을 증정한다. 스포츠‧레저 등 야외활동 전‧후 사용하기 적합한 제품으로 구성했다. ‘더마비 데오프레쉬 쿨시트’는 땀나고 끈적이는 피부를 닦아내는 제품이다. 응원열기로 달아오른 피부를 진정시킬 수 있다. 70cm 길이로 나와 목부터 팔다리까지 온몸에 사용 가능하다. . 멘톨과 빙하수가 피부에 시원한 느낌을 선사한다. 목에 두르면 쿨링 효과가 2시간 지속된다. 식물성 소취 성분이 불쾌한 땀 냄새를 제거한다. 더마비 보디제품 본품을 주는 룰렛 게임도 준비됐다. 게임 결과에 따라 보디로션‧풋샴푸‧보디미스크 등을 제공한다. 부스를 방문하면 프레쉬 바디로션을 써볼 수 있다. 젤 제형으로 끈적임 없이 산뜻한 사용감을 구현했다. 자외선에 자극받고 건조해진 피부에 수분을 공급한다. 아울러 더마비는 올리브영에서 사용 가능한 할인 쿠폰을 준다. 더마비 부스와
‘코스모뷰티서울’이 크고 막강해진다. 정부‧빅바이어‧글로벌 인플루언서와 손잡고 판을 ‘확’ 키웠다. 2024년 행사에서 2,500억 달러의 수출계약을 달성한 만큼 올해도 ‘해외진출’에 초점을 맞췄다. 제품 전시‧마케팅‧상담‧수출계약이 한자리에서 이뤄지는 B2B 플랫폼 역할을 할 전략이다. ‘2025 코스모뷰티서울’(2025 서울국제화장품·미용산업박람회)이 28일(수)부터 30일(금)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다. 코엑스 1층 A홀‧E홀과 동문 로비 등에서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된다. 뷰티&헬스기업 441개사가 605개 부스에 걸쳐 제품‧기술‧서비스‧프로그램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해외 160개사 바이어 초청 ‘K-뷰티페스타’ 올해는 정부와 손잡고 행사의 글로벌 위상을 강화했다. 중소벤처기업부와 마련한 ‘코스모뷰티서울 × K-뷰티페스타’는 중소·인디 브랜드의 수출길을 여는 데 집중한 행사다. 해외 유통기업 160개사의 바이어를 초청해 K-뷰티를 소개하고, B2B 상담 플랫폼을 통해 수출을 지원한다. 영국 왓슨스그룹의 Superdrug, 중남미 이커머스 플랫폼 Mercado Libre, 글로벌 한류 제품 유통기업 Mumuso, 미주 뷰티 유통사 Ye
신세계그룹과 어센트에쿼티파트너스가 씨앤씨인터내셔널을 인수한다. 씨앤씨인터내셔널의 색조화장품 ODM 역량과 신세계그룹의 유통파워, 어센트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결합해 경쟁력을 높일 전략이다. 투자은행과 뷰티업계에 따르면 신세계그룹과 어센트가 씨앤씨인터내셔널 지분을 약 40% 확보한다. 씨앤씨인터내셔널의 구주와 신주에 2850억원을 투입해서다. 구주 20%를 1400억원에 사들이고, 신주를 1450억원 인수해 지분율을 높인다. 어센트가 펀드로 자금 마련 후 신설 특수목적법인에 투입하면, 이 법인이 씨앤씨인터내셔널을 인수하는 방식이다. 씨앤씨인터내셔널(대표 배은철‧배수아)은 1997년 10월 설립됐다. 코스닥 상장사로 색조화장품 ODM 사업을 영위한다. 지난 해 매출액은 2828억원으로 전년 대비 28.4% 늘었다. 매출의 약30%가 북미 지역에서 나온다. 2023년 충북 청주에 신공장 부지를 매입했으며, 2027년 준공을 앞두고 있다. 이 회사의 최대주주는 창업주 배은철 대표로 지분 26.41%를 보유했다. 배우자 최혜원 씨와 딸 배수아 대표는 각각 지분 19.81% 갖고 있다. 이를 포함한 최대주주측 지분율은 66.03%다. 이 지분율은 구주‧신주 매각 후 30
러쉬코리아가 멸종위기종을 보호하기 위해 ‘후탄’ 배쓰 밤을 선보였다. 후탄(Hutan) 배쓰밤은 5월 22일 국제 생물다양성의 날을 맞아 탄생했다. 후탄은 인도네시아 시메울루에 섬의 긴꼬리원숭이와 열대우림 복원 프로젝트를 후원한다. 이 제품은 올리바넘과 베르가못 오일을 함유했다. 달콤하고 싱그러운 과일 향이 특징이다. 은은한 초록빛이 물에 녹으면서 숲 분위기를 연출한다. 욕조에서부터 환경문제 해결에 참여하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다. 러쉬코리아 측은 “현재까지 숲 15,000 헥타르가 벌채됐다. 서울올림픽주경기장 2천개에 해당하는 면적이다. 숲이 사라지면 긴꼬리원숭이도 서식지를 잃는다. 생태계의 선순환 고리를 지키는 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할 계획이다”고 전했다. 러쉬는 제품 판매금의 75%를 인도네시아 비영리재단 에코시스템임팩트에 기부한다. 기부금은 긴꼬리원숭이를 포함한 멸종위기 핵심종 보호와 열대우림 복원 프로젝트에 사용된다.
쥬스투클렌즈가 ‘톤업 선크림’(SPF50+ PA++++)을 선보였다. 이 제품은 100% 징크옥사이드 무기자차로 피부 자극이나 눈시림 현상이 없다. UVA‧UVB를 동시 차단하고 피부를 보호한다. 아프리카산 에난티아 클로란타 껍질 추출물과 허브 성분이 피지와 번들거림을 조절한다. 피부 톤을 보정하고 칙칙한 피부를 화사하게 밝혀준다. 장미 식물 세포에서 얻은 비건 PDRN 성분이 슬로우에이징 케어를 돕는다. 병풀‧히알루론산‧유자씨‧녹차수 등이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한다.
미니화장품 인기가 뜨겁다. 경기 불황으로 가성비 소비문화가 확산되면서 본품보다 가격이 저렴한 ‘쁘띠뷰띠’ 제품이 강세다. 초여름, 옷차림이 얇아지고 소지품이 간소화되면서 본품보다 크기와 용량을 줄인 소형화장품 매출이 늘고 있다. 뷰피‧패션 온라인몰 에이블리는 소용량 화장품 매출이 3배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에이블리에서 4월 거래된 소용량 화장품은 전년 동기 대비 229% 많아졌다. 주문 수는 약 2.5배(151%) 늘었다. 주문자 가운데 1020층은 121% 성장했다. 1990년대 중반부터 2020년대 중반에 출생한 잘파세대가 쁘띠뷰티 트렌드를 이끌고 있다는 분석이다. 다양한 화장품을 자주, 많이 경험하는 젊은층이 소형화장품에 지갑을 열고 있다. 데이지크는 4월 1일부터 7일까지 ‘미니 9구 섀도우 팔레트’를 판매했다. 이 제품은 에이블리에서 판매 시작 10분 만에 전량 매진됐다. 타이니원더는 3월 26일 에이블리에 소용량 ‘하이퍼 듀이 립틴트’를 선보였다. 이 제품은 아이돌 메이크업 아티스트와 공동 개발했다. Z세대 취향을 반영한 컬러와 제형으로 인기를 끌었다. 에이블리에서 쁘띠뷰티 관련 검색어도 다양해졌다. 4월 미니화장품 검색량은 전년 대비 2배 이
인적자원 플랫폼 플렉스(flex)가 27일 오후 3시 서울 위워크 삼성2호점에서 ‘틱톡과 K-뷰티 판 키우는법’ 워크숍을 개최한다. 이 행사는 해외시장 진출을 꿈꾸는 뷰티 브랜드사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뷰티 브랜드를 위한 글로벌 유통‧마케팅‧인적자원 전략 등을 제시한다. 플렉스는 3편의 인터뷰 콘텐츠를 행사 신청자에게 이메일로 발송한다. 인터뷰 주제는 △ 온그리디언츠의 글로벌 40개국 진출 성공기 △ K-뷰티 브랜드의 틱톡 마케팅 성공 전략 △ 실행의 힘을 만드는 목표 몰입 문화 등이다. 이어 신청자 50명을 선발해 오프라인 워크숍을 진행한다. 김영호 파워플레이어 CSO가 온그리디언츠의 글로벌 유통 전략을 소개한다. 박중혁 틱톡코리아 신규사업개발 총괄은 ‘틱톡에서 터진 K-뷰티 콘텐츠의 비밀’을 들려준다. 백한울안 플렉스 HR파트너는 ‘목표는 세웠는데, 실행이 따라오지 않나요?’를 주제로 유통‧마케팅‧HR 전략을 다룬다. 플렉스는 25일까지 공식 홈페이지에서 행사 참가자를 모집한다. 참가비는 무료이며, 플렉스의 ‘2025 조직운영 로드맵 컨설팅’과 틱톡 광고 크레딧 등 다양한 특전을 제공한다.
‘2025 올리브영 페스타’가 오늘(21일)부터 25일까지 5일 동안 서울 노들섬에서 펼쳐진다. 올리브영 페스타는 체험형 뷰티&헬스 행사다. 한강 노들섬 3500평 규모의 야외 공간에서 108개 뷰티&헬스 브랜드를 소개한다. 관람객은 보물섬을 주제로 꾸민 공간에서 K뷰티를 새롭게 발견할 수 있다. 올리브영은 자연 공간에 몰입형 콘텐츠를 배치해 고객 경험을 강화했다. 이은정 올리브영 브랜드크리에이티브 센터장은 "2019년부터 올리브영 페스타를 열며 노하우를 쌓았다. 올리브영 페스타는 1,600만 올리브멤버스를 위한 축제이자 K뷰티의 현재와 미래를 보여주는 이정표다. 브랜드사의 글로벌 비전 실현을 위한 전초기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올리브영 페스타의 부스관은 뷰티&헬스와 큐레이션 두 가지 주제로 구성했다. 뷰티&헬스관은 △ 스킨케어 △ 메이크업 △ 퍼스널케어 △ 헬시라이프 △ 럭스에디트 등으로 나뉜다. 총 84개 부스에 '2024 올리브영 어워즈' 수상 브랜드와 인디뷰티 등을 소개한다. 큐레이션 부스에선 △ 슬로우에이징 △ 액티브스킨케어 △ 루트뷰티(두피·탈모 케어) △ 이너뷰티 등을 제시한다. 올리브영 입점 브랜드
한국소비자원이 온라인 허위‧과장광고 근절을 위해 공정거래위원회와 손잡는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은 광고 실태조사를 공정위 직권조사와 연계해 부당광고 감시 기능을 강화한다. 최근 오픈마켓‧SNS 등 온라인거래가 증가하는 가운데 ‘표시·광고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이하 ‘표시광고법’)과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에 위반되는 부당 표시·광고가 늘었다. 소비자원과 공정위은 위반행위를 신속히 시정해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의견을 모았다. 소비자원은 광고 실태조사가 필요한 분야를 공정위와 함께 선정한다. 이어 소비자원이 광고 실태조사를 진행한다. 실태조사는 시니어소비자지킴이와 대학생 광고감시단 등 다양한 채널을 활용한다. 공정위는 올해 육아용품과 AI워싱 분야의 부당광고를 직권조사할 계획이다. AI워싱(AI Washing)은 AI와 무관하거나, AI를 일부에만 적용 후 혁신 AI기술을 활용한 듯 홍보하는 행위를 말한다. 현재 소비자원은 두 분야의 실태조사에 들어간 상태다. 소비자원과 공정위는 부당 표시·광고가 많거나, 조사가 필요한 분야를 계속 선정할 예정이다. 소비자원 실태조사에서 표시광고법 위반 혐의가 발견되면 자진시정을 권고한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