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화장품 OGM 전문기업을 표방하고 있는 코스메카코리아(대표이사 회장 조임래)가 지난 2분기 연결기준 매출 1천617억 원, 영업이익 230억 원의 실적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5%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27.2% 늘었다. 영업이익률은 14.2%. 직전 분기(1분기) 대비 매출은 36.6%, 영업이익이 87.3% 증가세를 보였다. 회사 측은 “코스메카코리아가 추구하고 있는 핵심 경쟁력인 OGM 모델이 글로벌 화장품 시장에서 차별화된 가치를 창출한 결과”라고 자체 분석을 내놨다. △ K-뷰티 인디 브랜드사의 수출 확대 △ 한국·미국 법인 간 OGM 협력 시너지 △ 자동화 설비 도입에 따른 생산 효율성 향상 △ 매출 증가에 따른 영업 레버리지 효과 등이 반영된 결과라는 설명이다. 한국·미국 법인은 호조…중국 법인, 색조 중심 턴-어라운드 조짐 한국법인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6.2% 증가한 1천100억 원으로 매출 성장을 주도했다. K-뷰티 인디 브랜드사의 수출 지역 확대, 고객 포트폴리오 다변화, 제품군 다양화가 매출 증가를 이끌었다. 특히 색조 제품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0.9% 늘었다. 기초화장품 중심으로 안정성을 확보한
세계 1위 화장품 ODM(연구·개발·생산) 전문기업 코스맥스가 사상 최초로 분기 매출 6천억 원을 돌파했다. K-뷰티 해외 수요 확대를 기반으로 국내 법인이 고성장을 시현했고 해외 법인은 선케어와 마스크팩 제품군이 성장 견인차 역할을 맡았다. 코스맥스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지난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1% 증가한 6천236억 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도 30.2% 늘어 사상 최대 규모인 608억 원에 이르렀다. 이로써 코스맥스의 상반기 연결기준 △ 매출액은 1조2천121억 원 △ 영업이익은 1천122억 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2.4%, 21.7% 성장했다. 전체 성장 주역은 한국법인…선케어·마스크팩·OTC 픔목 성장세 두드러져 1분기에 이어 2분기 역시 K-뷰티 글로벌 인기에 힘입은 국내법인이 전체 성장을 주도했다. 국내법인 매출액은 4천20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8% 늘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499억 원으로 44.6% 증가를 시현했다. 회사 측은 “한국법인의 경우 K-뷰티 인디브랜드 고객사가 미국을 넘어 전세계 시장으로 진출을 확대하면서 가파른 성장을 기록할 수 있었다”고 전제하고 “특히
에이피알이 2분기 매출 3277억원, 영업이익 846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11%, 202% 증가한 수치다. 역대 최대 분기 실적이자, 사상 최대 반기 실적을 달성했다. 에이피알(대표 김병훈)은 6일 잠정 실적 공시를 통해 2025년도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3277억원, 영업이익 846억원을 올렸다고 밝혔다. 영업이익률(25.8%)까지 포함해 전 부문에서 역대 최대 실적을 실현했다. 이 회사는 통상 뷰티업계의 비수기로 꼽히는 2분기에 시장 기대치를 넘어선 실적으로 경쟁력을 입증했다. 에이피알은 사상 최대 반기 실적을 올렸다. 상반기 연결 기준 잠정실적은 매출 5938억원, 영업이익 1391억원이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95%, 149%가 성장한 수치다. 반년 만에 매출이 6000억원에 육박했으며, 영업이익은 지난해 연간 총 영업이익인 1227억원을 초과했다. 사업 부문별로는 화장품‧뷰티 부문이 전체 실적을 이끌었다. K-뷰티의 세계적인 인기에 힘입어 2분기 화장품‧뷰티 매출은 2270억원을 나타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세 배가 오른 수치다. 매출 주역은 대표 브랜드인 메디큐브다. 메디큐브는 미국 LA와 홍콩에서 팝업스토어를 열고
식품의약품안전처와 글로벌 화장품 ODM(연구·개발·생산) 전문기업 코스맥스가 AI를 활용한 K-뷰티 글로벌 활성화&미래 전략 방안에 대한 논의와 함께 급변하고 있는 글로벌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협력 네트워크를 보다 공고하게 다지기로 했다. 이같은 양 측의 논의는 지난달 30일 식품의약품안전처 신준수 바이오생약국장이 코스맥스를 방문, 현장에서 적용하고 있는 AI 기반 화장품 개발·적용 사례 등의 상황을 확인하면서 이뤄졌다. 신준수 국장을 비롯한 식약처 관계자는 국내 최대 규모 수준의 연구소라고 할 수 있는 코스맥스 R&I(Research&Innovation)센터를 둘러보고 K-뷰티를 견인하는 핵심 기술력을 살폈다. 특히 AI(인공지능)를 활용한 코스맥스의 화장품 제조·개발 선진화 사례에 관심을 뒀다. 코스맥스 AI 연구소 개설…디지털 전환(DX)·AI 개발 추진 K-뷰티가 글로벌 시장에서 지배력을 확대하면서 코스맥스는 전 세계 수요 증가에 맞추기 위해 AI 개발에 집중해 왔다. 지난 2021년 CAI(코스맥스 AI) 연구소를 개설, 디지털 전환(DX)과 AI 개발을 본격 추진하기 시작했다. 이와 함께 다인종 국가의 메이크업 시장을 겨냥,
전항일 전 G마켓 대표가 크레이버코퍼레이션 대표에 올랐다. 구다이글로벌(대표 천주혁)은 스킨1004를 운영하는 크레이버코퍼레이션의 신임 대표로 전항일 씨를 선임했다. 이번 인사는 글로벌 뷰티 유통 플랫폼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K-뷰티 생태계를 확장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이다. 전항일 크레이버코퍼레이션 대표는 이베이재팬 대표 시절 K-뷰티를 일본에 안착시켰다. 3년 동안 일본사업을 4배 이상 키우며 경영능력을 인정받았다. 아울러 그는 신세계그룹 통합 멤버십 ‘신세계 유니버스’를 론칭하고, G마켓의 초개인화 서비스를 도입했다. 이커머스 혁신 프로젝트를 주도하며 플랫폼 전문가로 발돋움했다. 전항일 대표는 크레이버코퍼레이션의 스킨1004를 글로벌 유통을 확대할 계획이다. 전세계 바이어에게 K-뷰티를 소개하는 B2B 플랫폼 ‘우마’의 고도화도 추진한다. 우마(UMMA)는 국내 뷰티 브랜드 180여개를 글로벌 바이어에 공급한다. 현지 물류 거점을 통해 빠른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브랜드 수를 늘리고 물류·운영 혁신을 꾀하며 글로벌 뷰티 커머스 허브로도약한다는 목표다. 크레이버코퍼레이션은 지난해 구다이글로벌에 편입됐다. 대표 브랜드 스킨1004의 세계 진출에 힘입어
지난 2분기 화장품 업계 톱2의 희비가 엇갈렸다. LG생활건강의 2분기(이하 각사 실적은 모두 연결기준)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8.8% 감소한 1조6천49억 원, 영업이익은 65.4% 줄어든 548억 원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다 화장품사업부는 매출 감소뿐만 아니라 영업이익도 적자로 전환하는 부진을 면치 못했다. 반면 아모레퍼시픽홀딩스는 1조950억 원의 매출(8.9% 증가)과 555.5% 증가한 801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선방하는 모습을 보였다. LG생활건강-북미·일본 성장 불구, 전체 매출·영업이익 감소 LG생활건강은 지난달 31일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이같은 2분기 실적을 발표하고 “북미와 일본 사업의 성장세는 지속했지만 전반적인 경기 회복이 더뎌지면서 매출과 영업이익의 감소를 피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Beauty(화장품) 사업부는 시장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원가 부담이 커진 데다 면세·방판 등 전통 채널을 중심으로 국내 사업 구조를 재정비하는 과정에서 매출과 영업이익이 줄었다. HDB(Home care & Daily Beauty·생활용품) 사업부는 프리미엄 브랜드가 해외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어 매출은 증가했으나 고정 비용
올그레이스가 폰드그룹에 매각됐다. 화장품 유통·브랜드사 올그레이스(대표 김강일)는 29일 폰드그룹(대표 임종민·김유진)에 지분 100%를 넘겼다고 밝혔다. 올그레이스는 조선미녀 개발자인 김강일 대표가 세운 기업으로 면세점에 K-뷰티를 유통하고, 자제 브랜드 ‘셀레베’를 판매했다. 폰드그룹은 대명화학 산하 패션기업이다. 코웰패션이 2023년 12월 28일 패션 사업 부문을 인적분할해 설립한 회사다. 2024년 8월 K-뷰티 수출기업 모스트를 인수하며 뷰티사업으로 보폭을 넓혔다. 폰드그룹은 김강일 대표가 뷰티업계에서 10년 쌓아온 노하우를 접목해 뷰티사업 외형을 확장할 전략이다. 올그레이스의 K-뷰티 브랜드 기획·마케팅·유통 경쟁력을 통해 글로벌 진출을 강화한다. 특히 올그레이스의 △ 인천공항 인디 브랜드 면세점 사업 △ 친환경 스킨케어 브랜드 ‘셀레베’(SELEVE)를 양대 축으로 삼아 도약한다는 목표다. 폰드그룹의 대형 유통망과 탄탄한 자금력, 운영 역량을 더해 시너지를 낼 방침이다. 인디 브랜드 허브, 인천공항 면세점 올그레이스는 2024년 3월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에 인디 브랜드 전문 매장을 열었다. 시티면세점과 국내 최초로 선보인 편집매장이다. 올
코스맥스가 B2B기업으로서는 이례적이면서도 특별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성과를 거뒀다. 글로벌 화장품 ODM(연구·개발·생산) 전문기업 코스맥스는 한국인터넷전문가협회가 주최하는 ‘소셜아이어워드 2025’에서 인스타그램 부문 최고 대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소셜아이어워드는 기업 혹은 단체가 운영하고 있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미디어를 대상으로 가장 우수한 서비스를 선정, 시상하는 제도다. 4천여 명의 전문가로 구성한 평가위원단이 온라인과 프레젠테이션 평가 등의 심사 절차를 거쳐 최종 수상자를 결정한다. 올해는 모두 6개 플랫폼·9개 부문에 걸쳐 273곳의 기업과 335개의 소셜인터넷서비스가 경쟁을 펼쳤다. 수상 기업 중 유일한 자체 제작 채널 운영 코스맥스는 심사 결과 인스타그램 부문에서 최고대상을 차지했다. 최고대상 수상 기업 중 유일한 자체 제작 채널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특별하다는 평가다. 평가단은 “B2B 기업 특성상 기술 소개 중심으로 전개하던 콘텐츠의 문법을 바꿔 브이로그, 매거진 형태 등 MZ 세대가 선호하는 콘텐츠 형식으로 소통의 영역을 확장한 점에 높은 점수를 줬다”고 밝혔다. 코스맥스의 인스타그램 계정은 1년 만에 괄목할 만한 성과를
콜마홀딩스-콜마비앤에이치, 윤상현 부회장-윤동한 회장·윤여원 대표 간의 갈등이 2라운드에 접어들었다. 대전지방법원은 지난 5월 9일 콜마홀딩스(윤상현 부회장)가 콜마비앤에이치(윤여원 대표)를 상대로 제기한 임시주주총회 소집허가 신청에 대해 “임시주주총회의 소집을 허가할 필요성이 인정된다. 2025년 9월 26일까지를 주주총회일로 한다”고 허가하고 일자를 명시했다. 이에 대해 콜마비앤에이치 측은 가처분 신청으로 대응했지만 법원은 일단 임시주주총회 소집을 허가한 것이다. 콜마비앤에이치는 지난 25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법원의 결정을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공시했다. 현재로서는 윤 부회장 측이 유리한 고지를 점령한 셈이다. 콜마홀딩스는 임시주주총회의 안건을 △ 제1호 의안: 임시의장 선임의 건 △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제2-1호 의안: 사내이사 윤상현 선임의 건·제2-2호 의안: 사내이사 이승화 선임의 건)으로 상정해 놓은 상태다. 따라서 임시주주총회가 열리면 윤상현 부회장과 이승화 전 CJ제일제당 부사장의 사내이사 선임 건은 별다른 문제없이 통과할 가능성이 크게 높아졌다. 동시에 현 윤여원 대표의 교체도 이뤄질 수 있으리라는 전망도 나오고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수출 100억 달러 돌파’가 확실시되고 있는 대한민국 화장품 산업, 기업의 매력과 함께 몸값도 치솟고 있다. 이와 함께 각 사별로 사정은 다르지만 M&A와 관련해 이미 성사가 이뤄진 경우도 있고 진행 중인 케이스도 있으며 K-뷰티의 가능성을 높이 평가해 인수를 물색하고 있는 상황도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는 상황이다. 패키징 전문기업 삼화, 2년 못돼 새 주인 가장 최근에 전해진 뉴스는 패키징 전문기업 삼화의 매각 소식. 글로벌 사모펀드(PEF) TPG가 보유하고 있던 삼화를 9천억 원대에 판다는 것이다. 파는 곳도 사모펀드, 사는 곳 역시 글로벌 PEF인 KKR로 특정됐다. TPG는 지난 2023년 3천억 원에 인수했던 삼화를 1년 8개월 만에 세 배 높게 되팔게 된 셈이다. 투자은행(IB) 업계와 주요 언론에 따르면 TPG는 삼화 지분 100%를 KKR에 매각하는 주식매매계약(SPA)을 지난 21일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매각 2년이 채 되지 않은 시점에서 새 주인(KKR)을 맞이한 삼화는 (주)연우, 펌텍코리아 등과 함께 국내 화장품 용기·펌프 제조 전문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삼화는 지난해 △ 매출 1천868억 원(20
‘특허받은 붙이는 네일아트’ ‘인체무해한 친환경 제품’ ‘1cm²의 K-뷰티테크 혁명’ ‘숨쉬는 매니큐어’. 세계 특허기술로 글로벌 네일업계에 혁명을 일으키고 있는 비포인. 비포인이 제2의 글로벌 도약을 선언하고 동반성장할 투자자 모집에 나섰다. 비포인(대표 김진석)이 오늘(23일) 오후 2시 서울 잠실 롯데호텔에서 ‘2025년 투자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번 투자 설명회는 비포인이 보유한 ‘붙이는 네일아트’ 특허 기술을 알리고, 세계 진출 전략을 소개하기 위해 마련됐다. 매니큐어 88% 건조 ‘친환경 네일아트’ ‘1cm²의 혁명’ 안전성 & 인체 친화성 우수 이날 김진석 비포인 대표는 붙이는 네일아트 개발 배경과 특허기술 기반 품질력을 설명했다. 비포인 네일아트는 매니큐어를 88% 건조시켜 스티커 형태로 만든 제품이다. 손톱에 쉽고 빠르게 붙일 수 있다. 자연네일 위에 얇고 가볍게 밀착하며, 들뜸이나 끼임 현상이 없다. 다양한 디자인, 얇은 두께, 간편한 사용감으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비포인 네일스티커는 통기성이 우수해 손톱 건강을 지켜준다. 기존 폴리우레탄이나 비닐 성분의 네일스티커와 차별화해 손톱 손상이나 답답한 느낌을 방지했다. 이날 배우 김
“100년 전 콜마가 시작된 곳이 바로 미국입니다. 미국 제 2공장은 단순한 화장품 생산 공장이 아닌 새로운 비전과 협력의 출발점입니다. 이곳을 거점 삼아 다양한 밸류체인 파트너들과 혁신 생태계를 구축해 북미 최대 화장품 제조 허브(HUB)로서 성장할 것입니다.” 윤상현 콜마그룹 부회장이 지난 16일(미국 현지시각) 가진 콜마 USA 제 2공장 준공식에서 한국콜마의 글로벌 시장 확대에 대한 비전을 이같은 요지로 제시했다. 미국 펜실베니아주 스콧 타운십에서 개최한 준공식에는 윤 부회장을 비롯해 브리짓 코시에로스키(Bridget Kosierowski) 펜실베니아주 하원의원 등 주정부 인사와 고객사 대표 100여 명이 참석해 축하 인사를 건넸다. 미국 현지공장에서 3억 개 생산규모 확보 한국콜마가 세계 최대 화장품 시장 미국 본토에 콜마USA 제 2공장(이하 제 2공장)을 준공하고 본격 가동에 들어간다. 이번 준공으로 한국콜마는 미국 현지에서만 연간 3억 개에 달하는 생산 능력을 확보했다. 이에 따라 K-뷰티 기업은 물론 글로벌 화장품사들도 최근 이슈로 등장한 미국 수출 관세 부담을 현지 생산을 통해 완전히 해소할 수 있는 기회를 잡을 수 있게 됐다. 제 2공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