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디큐브의 성공 DNA ] 1. 비가역성 높은 제품 개발 : 한번 써보면 그전으로 돌아갈 수 없다. 2. ‘고객성공’에 초점 : 소비자의 구민 해결→구매 이유 총족시키기. 3. 소비자와 동기화 : 고객은 뭘 보고, 무슨 생각을 하며, 어떤 제품을 원하는가. 시총 8조 에이피알이 메디큐브의 성공 DNA를 공개했다. 김병훈 에이피알 대표는 19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마존 뷰티 인 서울’ 무대에 올랐다. 그는 신화숙 아마존글로벌셀링코리아 대표와 대담을 갖고 글로벌 브랜드로 도약한 비결을 들려줬다. ‘피부고민 해결’ 기본에 집중했다 올림픽 키즈로 태어나 한강의 기적을 목격했다. 근면 성실한 자세로 사회와 국가에 이바지해온 전 세대 기업인들을 동경했다. 연세대 경영학과 재학 중이던 20대에 소명의식을 갖고 창업했다. 창업 초기부터 글로벌 시장을 타깃으로 삼았다. 첫 번째 시장은 중국이었다. 에이프릴스킨 쿠션과 크림이 진출 초기부터 인기를 끌었다. 결국 소비자는 피부고민 때문에 화장품을 산다는 것을 깨달았다. 피부고민 해결에 특화된 브랜드 ‘메디큐브’를 만들었다. 메디큐브는 메디컬과 큐브의 합성어다. 메디컬 관점
윤동한 콜마그룹 창업자 회장이 콜마홀딩스와 콜마BNH를 상대로 낸 ‘임시주총 사내이사 선임 관련 가처분’ 신청(대전지방법원)이 모두 기각된 것으로 확인했다. 관련해 콜마홀딩스는 지난 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대전지방법원이 윤동한 회장이 제기한 임시주총 사내이사 선임 관련 가처분 신청을 모두 기각했다”고 공시했다. 법원의 이같은 결정에 따라 오는 26일(금)로 예정하고 있는 콜마비앤에이치 임시주주총회에서는 사내이사 선임 안건(윤상현 콜마홀딩스 부회장·이승화 전 CJ제일제당 부사장)은 최초 (콜마홀딩스 측이) 상정한 대로 이뤄질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에 앞서 윤 회장은 콜마BNH의 임시주총에서 윤상현 부회장과 이승화 전 CJ제일제당 부사장을 사내이사로 선임하는 안건과 관련해 “콜마BNH 정관 제 31조 제 2항 제 2호에 따른 특별 의결정족수를 적용해야 한다”며 가처분을 신청했었다. 윤 회장이 가처분 신청의 근거로 제시한 해당 조항은 “‘적대적 인수합병’(M&A)에 해당하는 경우 신규 이사·감사 선임 안건은 출석 주주의 3분의 2 이상으로 하되 발행주식 총수의 3분의 2 이상이 찬성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즉 윤 회장
LG생활건강이 극심한 가뭄으로 식수난을 겪고 있는 강원도 강릉시에 프리미엄 먹는 샘물 ‘휘오(ViO)™ 울림워터’(450ml) 30만 병을 기부. LG생활건강은 지난 12일 강릉시에 울림워터 1차 지원분(13만1천520병)을 전달했다. 울림워터는 울릉도 최초의 먹는 샘물이다. 이번에 지원하는 물량은 이달 초 울릉도 현지 공장에서 신속히 생산해 배와 육로를 거쳐 강릉 아이스아레나에 배송했다. LG생활건강은 오는 22일에도 울림워터 2차 지원분(16만8천480병)을 추가 기부할 예정이다. 앞서 LG생활건강 음료 자회사 해태htb는 지난 8월 강릉시에 민간기업 최초로 ‘강원 평창수’ (2리터 용량) 6만 병을 기부한 바 있다. 최남수 ESG·대외협력부문 상무는 “오랜 기간 물 부족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강릉 시민들께 깊은 위로를 전하며 하루 빨리 일상이 회복되기를 기원한다”며 “LG생활건강은 국내 대표 소비재 기업으로서 지역사회의 고통을 함께 극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LG생활건강은 강릉 가뭄 피해 지원을 비롯해 올해 3월 영남 산불 피해 지원, 7월 전국 수해 지원 등 국가적 재난이 발생한 지역사회를 위해 기업의 사회 책임을 실천하고 있다.
더페이스샵의 베스트셀러 클렌징 라인 ‘미감수 브라이트’(영문명: Rice Water Bright)가 미국 대형마트 체인 타겟(Target)에 입점, 현지 오프라인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LG생활건강은 “클린뷰티 브랜드 더페이스샵이 최근 미국 전역 1천900여 매장을 보유한 타겟에 미감수 6종을 출시했다. 타겟은 각 매장이 대부분의 가정과 10마일(16km) 이내 거리에 있을 정도로 현지 소비자의 일상과 밀접한 미국 대표 소매 채널”이라고 설명했다. 타겟에 들어간 미감수 6종은 인기 제품 클렌징 폼·오일·티슈 외에도 세럼·크림·아이크림 등이다. 미감수 라인은 북미 아마존에서 월 평균 3만3천여개씩 판매되는 인기 제품으로 일찌감치 오프라인 입점이 예고됐었다. 실제로 더페이스샵은 지난해 월마트(캐나다)에 이어 월그린스·CVS(이상 미국) 등에 미감수 제품군을 론칭했다. 10월에는 캐나다 코스트코에도 미감수 세트 입점을 예정하고 있다. 미감수 라인은 쌀뜨물로 세안을 하면 얼굴이 밝아진다는 한국의 전통 미용 비법을 담아 지난 2006년 출시한 베스트 클렌징 라인 중 하나. 뽀득하면서도 촉촉한 사용감과 높은 세정력, 합리성을 갖춘 가격 덕분에 한 번 사용하면
아모레퍼시픽이 제 35회 세계화장품학회(IFSCC Congress 2025)에서 AI와 피부과학 관련 혁신 연구 성과를 발표, 주목을 받았다. 올해 행사는 ‘The Future is Science’를 주제로 프랑스 칸(Cannes)에서 지난 15일일부터 18일(현지 시각)까지 진행했다. IFSCC(International Federation of Societies of Cosmetic Chemists)는 세계 최대의 화장품 학회로 화장품 연구자 간 국제 기술 교류와 협력을 도모하기 위해 지난 1959년 설립했다. 아모레퍼시픽은 올해 행사에서 2건의 구두 발표와 5건의 포스터 발표를 통해 바이오 노화연구와 AI 기술 중심의 혁신 성과를 바탕으로 미래 뷰티 과학의 새로운 방향에 대해 전 세계 연구자들에게 화두를 던졌다. 아모레퍼시픽 R&I센터 고명진 연구원은 ‘Development of the Generative AI based Pipeline Architecture for Advanced Virtual Makeup’(생성형 AI 기반 가상 메이크업을 위한 파이프라인 아키텍처 개발)을 주제로 구두 발표했다. KAIST와 공동 개발한 이 기술은 메이크업에
△ 앞으로 5년 정도는 안정성 있는 성장세 구가 △ 초기 온라인 채널 중심의 진입 전략 수립과 시행 △ ‘누구에게’ 보다는 ‘무엇을’에 초점 △ 현지 생산 통한 규제 부담과 관세의 영향 완화 △ 가성비 중심의 초기 진입 전략 탈피, 안정성 중심의 브랜드 운영 △ 온·오프라인 가격 충돌 방지를 위한 리브랜딩 △ 한국 OEM·ODM 기업을 교두보 삼아 ‘K-뷰티’ 표방, 국내 기업 입지 동반 강화. 미국 화장품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해 가고 있는 K-뷰티의 미래에 대한 전망을 요약한 내용이다. (재)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조신행· www.kcii.re.kr ·이하 화산연)이 피부특성 정보수집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한 ‘2025년 해외 뷰티 시장 트렌드 온라인 조사’ 사업 가운데 미국 시장에 대한 리포트를 발표했다. 미국 소비자 1천 명을 대상으로 소비자 이용 행태와 최신 트렌드를 심층 분석, 국내 기업들의 현지 전략 수립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사업이다. “지금 진출해도 늦지 않은, 성장 가능성 높은 시장” 이번 조사는 미국 전역에 거주하는 10대부터 40대까지 여성 소비자 1천 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 피부 타입과 피부 고민을 비롯해 화장품 사용 행태·
제주 자연을 피부에 담고 있는 천연화장품 전문 연구기업 (주)대한뷰티산업진흥원(대표이사 강유안)이 인도네시아 최대 전시회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2025 자카르타 K-프리미엄 소비재전’ 참가를 통해 동남아 시장 확대를 위한 물꼬를 텄다. 대한뷰티산업진흥원은 행사 기간 중 인도네시아 대표 기업 D’Jarum그룹 계열사 PT SMU(Sumber Mutu Group)와 총판계약을 맺고 클리닉센터·병원 등 프리미엄 채널에 개인맞춤형 앰플을 공급키로 해 시장 지배력 확대에 나선다. 총판 계약을 하기까지 약 18개월 동안 그룹 내 자회사 채널에서 모니터링을 한 결과가 반영돼 최종 계약에 성공했다. 현재 제주온(JEJUON)과 하이온(HAION) 두 브랜드는 BPOM을 진행 중이다. SMU는 △ PT. Global Digital Niaga(Blibli.com) △ PT Supra Boga Lestari(Ranch Market in Indonesia) 등과 함께 D’Jarum그룹 계열사. Blibli닷컴은 인도네시아 최대 전자상거래 플랫폼이며 Ranch Market은 인도네시아 프리미엄 마켓으로 11개 도시에 7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바이어·참관객들의 많
‘규제 준수, 리스크 관리, 비용 최적화.’ K-뷰티 기업의 글로벌시장 진출에 필요한 3대 요소다. 미국 인허가·관세 정보와 해외 전시회 노하우를 한자리에서 알려주는 세미나가 열린다. 글로벌표준인증원(대표 전재금)이 9월 30일(화) 경기 광명 테이크호텔 본관 3층 루미나스홀에서 ‘2025 해외 전시 성공전략과 미국 인허가‧관세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 해외 전시, 성공과 실패를 가르는 전략(김성수 코이코 대표) △ 미국 진출과 MoCRA‧OTC 인허가(이윤호 글로벌표준인증원 책임연구원) △ 반드시 알아야 할 관세 절감 전략(John Leonard 김앤장법률사무소) 등을 발표한다. 세계 뷰티산업의 진입장벽은 높아지는 상황이다. 해외 법규‧인허가‧관세 정보를 정확히 파악하고, 성공적인 전시회 참가 전략을 세워야할 시점이다. 미국은 세계 최대 규모의 뷰티시장을 보유했으나 규제가 까다롭다. MoCRA 시행령과 OTC 의약외품 인허가 절차는 K-뷰티 기업의 진입을 가로막는 장애물로 꼽힌다. MoCRA는 △ 제품 등록 △ 책임판매자 지정 △ GMP 준수 △ 이상사례 보고 등이 필수다. 또 미국에서 자외선차단제와 여드름 화장품은 FDA 기준에 따라 복
바이오힐보가 광채·안티에이징 라인 ‘엔에이디 프리즈셀’을 선보였다. ‘엔에이디 프리즈셀’은 피부 본연의 빛 에너지를 깨우는 세럼과 마스크 두 가지로 나왔다. NAD(니코틴아마이드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 성분이 슬로우에이징을 돕는다. 바이오힐보가 독자 개발한 성분 ‘엔에이디 프리즈셀’을 함유했다. 피부 표면에 윤기를 주는 것을 넘어 근본적으로 건강해지도록 해준다. ‘엔에이디 프리즈셀 글로우 파워 세럼’은 NAD를 캡슐에 담았다. 캡슐이 피부에 윤기를 제공하고 탄력을 강화한다. NAD 리포젯 딜리버리 공법을 적용해 흡수력을 높였다. ‘엔에이디 프리즈셀 글로우 필름 마스크’는 피부에 광채막을 만든다. 0.03mm의 바이오 랩핑 필름이 피부 굴곡에 따라 얇게 밀착한다. 바이오힐보는 22일(월)부터 24일(수)까지 3일 동안 올리브영 온라인몰 쇼케이스에서 신제품 행사를 연다. 22일 밤 8시 올영 라이브에서는 라이브 특가 이벤트를 진행한다. 아울러 바이오힐보는 신제품 출시를 기념해 댄서 쿄카(KYOKA)와 ‘Power of Glow’ 캠페인을 전개한다. 쿄카와 ‘피부 스스로 빛나는 자가광채’라는 메시지를 전달할 예정이다.
랑콤이 창립 90주년을 맞아 ‘레 익셉셔널’을 선보였다. 레 익셉셔널(LES EXCEPTIONNELS)은 랑콤의 브랜드 유산과 예술적 비전을 기념하는 컬렉션이다. 프랑스를 대표하는 장인 기업들과 손잡고 아트 오브제를 개발했다. 랑콤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의미를 담았다. △ 크리스털 공예가 라리크(Lalique) △ 포슬린 제작사 베르나르도(Bernardaud) △ 금박 장식으로 유명한 아틀리에 고하르(Ateliers Gohard) 등이 참여했다. 이들은 90주년의 의미를 되새기는 립스틱‧크림‧향수를 선보였다. 각 제품은 90주년의 의미를 담아 90개 이하로 출시했다. ‘익셉셔널 압솔뤼 드라마 마뜨 세트’는 아틀리에 고하르가 금박 장식으로 완성했다. 23.5K 금박이 입혀진 골드 메탈 케이스와 세가지 압솔뤼 루즈로 구성했다. 색상은 총 네가지로 △ 랑콤의 창립 연도인 1935 △ 압솔뤼 루즈 라인이 탄생한 1990 △ 브랜드 90주년을 상징하는 2025 △ 미래를 뜻하는 2115 등이다. 총 90세트 한정 판매한다. ‘압솔뤼 롱지비티 더 소프트 크림’은 베르나르도와 만들었다. 순백의 포슬린과 황금빛 디테일이 어우러진 용기에 담았다. 예술성과 기능성을 동
아모레퍼시픽이 운용하는 덴탈 전문 브랜드 메디안이 새로운 브랜드 BI(Brand Identity)와 함께 신제품 ‘1450 고불소 치약’을 선보였다. ‘고불소 트렌드’에 맞춰 새롭게 내놓은 메디안 1450 고불소 치약은 충치 예방에 가장 효과가 높은 1,450ppm의 고불소 함량으로 충치균을 99.9% 억제한다. ‘고불소 2X 코팅’ 기술이 거칠어진 치아 표면과 손상 치아를 더욱 하얗고 빛나게 유지해주고 고불소 딥클린 효과로 사용 후 잔여감 없는 상쾌함을 선사해 준다. 메디안은 브랜드 BI 리뉴얼을 통해 글로벌 고객과의 소통에도 주력할 계획이다. 잘 정돈한 디자인과 진화한 비주얼 아이덴티티에 K-덴탈케어 대표 브랜드로의 도약 의지를 담고 치석케어 치약과 고불소 치약을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장세를 이어가겠다는 각오다. 국민 치약으로 사랑받아온 메디안의 대표 상품 치석케어 치약은 누적 판매량 3억 개를 돌파하며 대한민국 No.1 치석치약 브랜드로 자리매김했다. 의약외품 수출실적 톱10 내에서 2개의 치석케어 라인 제품이 이름을 올리며 해외 시장에서의 경쟁력도 입증한 바 있다. 신제품 1450 고불소 치약은 쿠팡에서 사전 판매 특가로 만나볼 수 있으며 오는
미국의 관세 문제를 포함, 화장품 수출과 관련한 글로벌 이슈를 점검하고 이에 대한 대응 전략 마련을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중소벤처기업부가 함께 지원에 나섰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www.mfds.go.kr ·이하 식약처)와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한성숙· www.mss.go.kr ·이하 중기부)는 오늘(18일) 서울 롯데호텔월드에서 ‘글로벌 화장품 수출규제·관세 세미나’와 함께 중소 수출기업과의 간담회를 함께 가졌다. 글로벌 화장품 수출규제 세미나의 경우 중소기업 수출 1위 품목인 화장품의 글로벌 진출 주요 애로사항이라고 할 미국·일본·유럽 등 주요 화장품 수출국의 수출규제에 대한 정보제공을 위해 지난해부터 식약처와 중기부가 공동으로 개최하고 있는 프로그램이다. 특히 올해는 미국의 관세 횡포를 포함한 여러 통상환경 변화로 화장품 수출 기업들의 관세 관련 애로사항이 심화되고 있다는 점을 적극 고려, 화장품 품목 관세 정보와 원산지 증명 등 대응방안 등을 소개하는 ‘국가별 화장품 품목 관세 정책 변화와 대응요령’을 주제로 삼은 세션을 별도로 마련했다. △ 미국 MoCRA(화장품규제현대화법) 시행에 따른 미국 화장품 규제 동향과 주요 통관 거부사례 △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