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인도네시아·튀르키예 편 지난 3분기까지 우리나라 화장품의 인도네시아 수출 실적은 5천789만 달러였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4.1%가 증가한 수치다. 순위는 13위로 지난해의 15위에서 두 계단 뛰어올랐다. 대 튀르키예 화장품 수출 실적은 4천584만 달러를 기록했다. 전년 같은 대비 무려 274.2%의 성장률을 보였으며 순위도 22위를 마크했다. 올해 들어 중위권에서 맹위를 떨치고 있는 이들 두 국가의 최신 시장 동향과 인기 제품에 대한 분석이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이재란· www.kcii.re.kr ·이하 연구원)의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10호)를 통해 이뤄졌다. 전체 시장 트렌드 요약 인도네시아와 튀르키예, 두 국가 모두에서 인스타그램은 주요 마케팅‧홍보 활동 툴로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한국 메이크업이, 튀르키예에서는 인플루언서들이 사용하는 화장품이 주목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네시아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한국식 메이크업의 인기가 높다. 최근에는 그대로 따라하기 보다는 자신의 피부 컬러와 메이크업 루틴에 한국식 메이크업 팁을 적절히 변형하는 트렌드가 형성되고 있다는 보고다. 한국 인기
올 한해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 www.khidi.or.kr ·이하 진흥원)이 전개한 ‘중소화장품 해외진출 지원사업’ 성과를 바탕으로 2024년에는 유럽(6국가)·중동(2국가)·중남미(2국가)·아시아태평양(3국가) 지역에 팝업부스를, 미주(2국가)·중동(1국가)·아시아(3국가)·유럽(1국가) 지역에 판매장 사업을 진행한다. 이에 대한 참여기업 모집 등을 포함한 전체 세부 일정은 내년 4월경부터 이뤄질 예정이다. 이같은 내용은 진흥원이 지난달 28일 개최한 ‘2023 중소화장품 해외진출 지원사업 세미나’( 공간모아 회의실)를 통해 확인한 사실이다. 진흥원은 현재까지 중소화장품 해외진출 지원사업을 △ 팝업부스 운영지원(잠재시장 발굴·신흥시장 개척) △ 판매장 운영지원(유망국가 맞춤형 지원·판로개척) 등으로 이원화해 수출국 다변화 전략을 지원하고 있다. 이들 두 사업 모두 ‘유통사+중소·중견 화장품기업 컨소시엄’ 형태로 팝업부스는 7곳의 기업, 판매장은 15곳 내외의 기업으로 구성, 운영한다. 이에 따라 2024년의 팝업부스 운영지원 사업은 △ 영국·프랑스·독일·이탈리아·스페인·네덜란드 등 유럽 6국가 △ 카타르·오만 등 중동 2국가 △ 브라질·멕시코 등
지난달 20일과 21일에 걸쳐 진행했던 ‘2023 원아시아 화장품·뷰티 포럼’(일본 도쿄)을 통해 △ 255만 달러 규모의 일본 수출 상담 △ 120만 달러 수준의 수출 계약 양해각서 체결 △ 대 일본 수출지원을 위한 규제 부문 협의 등의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www.mfds.go.kr )가 밝힌 자료에 따르면 이번 포럼의 국내 중소 화장품·뷰티 기업과 일본 유통사 간 수출상담회에서는 우리나라 기업 19곳, 일본 기업 13곳 등 모두 32곳이 참여해 54건·255만 달러 규모의 수출 상담을 진행했다. 이 가운데 국내 알로에베라코리아와 솔테라피 등 2곳이 120만 달러에 이르는 규모로 일본 유통사와 수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것. 이와 함께 식약처는 △ 일본 후생노동성(MHLW·화장품 규제기관) △ 의약품·의료기기 종합기구(PMDA·화장품 심사평가 기관)와 규제기관 간 양자회의(R2R)를 개최해 화장품 규제조화 협력회의 정기·수시 개최와 화장품 심사·평가 기술 교류 등에 합의하는 등 화장품 분야 협력 기반을 다질 수 있는 초석도 마련했다. 이와 함께 오유경 식약처장이 직접 주재한 일본 진출 기업 최고경영자(C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 전선이 지난 6월 이후 완연한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다. 11월 화장품 수출 실적이 7억8천400만 달러를 기록, 전년 같은 기간 대비 22.7%의 성장률을 보이면서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성장세를 나타냈다. 이는 지난 9월의 올해 월별 최고 수출 실적 8억2천500만 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금액이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방문규· www.motie.go.kr )가 지난 1일자로 집계 발표한 11월 수출입동향 자료에 따르면 화장품 수출은 지난 10월 보다 2.5%, 1천900만 달러가 늘어나는 소폭 성장세를 보였지만 지난해 11월보다 금액으로는 1억4천600만 달러, 성장률은 22.7%를 기록했다. 이로써 올해 11월까지 우리나라 화장품 누적 수출 실적은 77억8천6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누적 수출 실적 73억6천만 달러보다 5.8%, 4억2천600만 달러의 증가세를 보였다. 동시에 지난 6월부터 6개월 연속 전년 대비 성장세를 이어갔으며 8월부터 기록하고 있는 4개월 연속 두 자릿수 성장률도 잇고 있다. 특히 4월과 5월, 2개월 연속 전년 대비 마이너스 성장세를 6월에 극복한 이후 7월 들어 조정기간을 거쳐 8월부터는 매달
론지 ‘다이브 투 그린 퓨어 버블 클렌저’가 ‘2023 코스모프로프 아시아 홍콩’ 어워드에서 ‘그린 & 오가닉’ 부문을 수상했다. ‘2023 코스모프로프 아시아 홍콩’은 11월 15일부터 17일까지 개최된 글로벌 뷰티 박람회다. 아시아‧유럽‧북미 등 세계 40여 개국의 기업 1천 곳이 참가했다. 참관객 약 5만 명이 행사장을 방문해 글로벌 뷰티 정보와 제품 트렌드를 공유했다. 론지(Lon.G)는 고효능 고기능 스킨케어 브랜드다. 화장품의 본질에 집중해 피부 친화적이고 안전한 제품을 개발한다. 론지 ‘다이브 투 그린 퓨어 버블 클렌저’는 ‘코스모프로프 아시아 홍콩 어워드’에서 그린 & 오가닉 상을 차지했다. 이 제품은 고체형 가루 세정제다. 클렌징 파우더를 플라스틱 용기에 담고 물을 부으면 클렌저로 변신한다. 소비자가 직접 제조하는 DIY 버블 폼이다. 리필 파우치 3포로 구성된 버블 클렌저 한 세트는 약 3개월 사용할 수 있다. 다이브 버블 클렌저는 리필 가능한 제로웨이스트 화장품이다. 미래 뷰티시대를 열 탄소중립 제품으로 평가 받았다. 리필 파우치만 구매하면 평생 사용할 수 있어 환경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천연 성분과 에코 그린 디자인을 적
3분기 누적 매출 성장 54곳·영업이익&순이익 흑자 57곳 포진 일부는 지난해 기저효과 기댄 성장률 급상승…하위기업 이익경영은 ‘요원’ 지난 3분기와 1~3분기까지 국내 주요 화장품·뷰티기업 87곳의 경영실적이 공개됐다. 3분기 동안 전년 같은 기간보다 매출이 성장한 기업은 모두 53곳, 하락한 기업은 34곳이었다. 1~3분기 누적 매출액이 상승한 곳은 54곳이었으며 떨어진 곳은 33곳으로 나타났다. 또 3분기 영업이익이 흑자상태(성장·감소·흑자전환 포함)인 곳은 58곳, 적자상태(적자지속·적자확대·적자전환 포함)에 놓여 있는 기업은 29곳이었다. 3분기까지의 누적 실적에서는 57곳이 영업이익 흑자를, 나머지 30곳의 기업은 적자를 기록했다. 순이익 부문에서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3분기 순이익 흑자를 기록한 곳은 55곳이었고 32곳은 적자였다. 누적 실적으로 확대하면 흑자는 57곳, 적자는 30곳이었다. 이같은 내용은 코스모닝이 지난 18일까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지난 3분기 사업보고서를 제출한 국내 주요 화장품·뷰티기업의 경영실적을 분석한 결과 나타난 사실이다. < 2023년 3분기&1-3분기 누적 화장품 뷰티기업
아모레퍼시픽이 개발한 ‘립큐어빔’(Lipcure Beam) 기술과 스마트 뷰티 전문기업 (주)퀸덤 ‘닥터리진 S1’(doctorigin S1)이 CES 2024(Consumer Electronics Show 2024)-디지털 헬스 부문 혁신상을 받았다. 아모레퍼시픽은 해당 부문 5년 연속 수상, (주)퀸덤은 첫 수상이다. 다만 600여 기업이 수상할 것으로 예상되는 최종 혁신상 수상기업 리스트는 현재까지 절반 수준에서 공개가 이뤄진 상황이어서 국내 기업의 추가 수상 가능성도 남아 있다. ■ 아모레퍼시픽 립큐어빔 아모레퍼시픽에게 5년 연속 수상을 안겨준 립큐어빔은 하나의 기기로 입술 진단과 케어, 메이크업이 모두 가능한 신개념 뷰티테크 디바이스. 립큐어빔 기기의 캡 상단에는 개인의 입술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정밀 센서를 내장했다. 사용자가 입술에 디바이스를 대면 즉각 입술 수분 상태를 감지, 진단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캡과 용기를 분리하면 메이크업 도구가 나온다.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솔대 형태의 화장품 도포 장치에서 개인에게 최적화한 가시광선이 방출되면서 입술 케어를 돕는다. 아모레퍼시픽 R&I센터가 개발한 빛 감응성 물질을 입술에 바르고 립큐어
△ AI에게 물어보세요 △ 리프레시 소비 △ 그린워싱 ‘아웃’ △ 점진적 양극화 △ 프리미엄 짠테크 △ 실용 웰니스. 유로모니터인터내셔널이 ‘2024 글로벌 소비자 트렌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인공지능과 지속가능성, 정치‧경제‧사회 요소가 내년 소비자 흐름을 좌우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특히 한국에선 ‘리프레시 소비, ‘프리미엄 짠테크’가 등장할 움직임이다. 이는 고물가로 인한 허리띠 졸라매기식 소비에서 진화한 패턴이다. 탕진잼이나 홧김 소비로 일상의 스트레스와 불안을 날려버리는 이들이 증가한다. 높은 품질의 PB 제품을 찾는 새로운 ‘짠테크’족도 등장한다. 여러 소비 성향을 동시에 지닌 이들도 늘어난다. 앨리슨 앵거스(Alison Angus) 유로모니터 이노베이션 프랙티스 글로벌 총괄은 “소비자들은 지속가능성, 기술 진보, 사회적 이슈 등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기업은 브랜드 핵심 가치에 충실하되, 이같은 민감한 문제를 세심하고 주의깊게 다뤄야 한다”고 말했다. 문경선 유로모니터 한국 리서치 총괄은 “소비자가 브랜드를 발견하고, 체험하고, 소셜미디어에 소개하는 과정 전체가 구매 과정이다. 브랜드가 제품을 추천하고 골라주는 방식, 사회‧환경 이슈에
(재)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이재란· www.kcii.re.kr ·이하 연구원)이 올 한 해 동안 진행한 △ 글로벌 화장품 시장 동향 △ 피부-유전체 분석 정보 구축 사업 등에 대한 결과를 종합 분석·공유하는 ‘글로벌 화장품 시장 동향·피부 유전체 분석 사업 결산 세미나’를 오는 12월 7일과 8일(금), 이틀에 걸쳐 SETEC 컨벤션홀(서울 강남구)에서 갖는다. 첫 날 7일(목)에는 글로벌 화장품 시장 동향 분석을 주제로 △ 해외 주요 시장의 동향·트렌드 정보·K-뷰티 현황 조사 결과 △ 글로벌 이커머스 플랫폼 마케팅 조사 사업 결과 △ 연구원 해외 마케팅 지원 사업 △ 중국·EU·일본 화장품 규제 현황 정보 △ 미국 화장품 현대화법 진행 상황과 대응 전략 등의 내용을 공유한다. 둘째 날인 8일(금)은 피부-유전체 사업 결과와 맞춤형화장품 개발’이 주제다. △ 일본 시장 겨냥 제품 개발 가이드라인(개발자 관점) △ 일본 시장 겨냥 제품 개발 가이드라인(마케터 관점) △ 피부-유전체 정보제공 플랫폼 △ 인도네시아의 피부 측정·설문조사·유전체 분석·미생물 분석 결과 △ 피부특성 정보은행 소개와 활용 팁 등을 세부 내용으로 다룬다. 연구원 측은 “이번 세미나는
△ 코스맥스 ‘지질 기반 나노 베지클 피부 전달체’ △ (주)비스타릿 ‘비오엠 톤 업 크림’(페이스&보디 겸용)(이상 대한화장품협회 추천) 등 두 제품과 △ 아람휴비스(주) ‘인공지능 두피진단시스템’ △ (주)엑티브온 ‘바이오매스 유래 다이올류’ 등 모두 네 개의 화장품·뷰티 관련 제품이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주관하는 2023년 세계일류상품(현재·차세대)에 선정됐다. 대한화장품협회가 두 제품과 함께 후보로 추천했던 (주)코스알엑스 ‘어드밴스드 스네일96 뮤신파워 에센스’는 글로벌 강소기업 인증 기한 만료(인증시점 4년 초과)로 인해 선정에서 탈락, 아쉬움을 자아냈다. 화장품 부문의 세계일류상품 선정은 대한화장품협회가 간사기관으로 참여, 지난 9월 추천위원회 심사를 거쳐 이들 세 가지 제품을 추천해 최종 선정과정을 거쳤다. 아람휴비스(주) 인공지능 두피진단시스템과 (주)엑티브온 바이오매스 유래 다이올류의 경우에는 타 기관의 추천을 통해 해당 세계일류상품에 선정된 케이스다. 코스맥스가 신청한 지질기반 나노 베지클 피부 전달체는 지난해 세계화장품학회(IFSCC)에서 선보인 신기술. 화장품과 피부의 상호 작용을 돕는다는 의미에서 ‘스킨 커뮤니케이터™’(Ski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9호-호주·캐나다 편) 분석 지난 3분기까지 우리나라의 대 캐나다와 호주 수출 실적은 각각 5천512만5천 달러, 5천109만 달러로 수출 대상국 상위 14위와 19위를 마크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순위는 한 단계(캐나다), 세 단계(호주) 떨어졌지만 캐나다는 23.2%, 호주는 24.1%에 이르는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호조세를 보이고 있는 국가들이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이재란· www.kcii.re.kr ·이하 연구원)이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 제 9호를 통해 캐나다와 호주 화장품 시장의 최신 트렌드와 주요 인기제품, 키워드 등을 분석해 내놓았다. 호주-맞춤형 스킨케어&K-뷰티, 캐나다-립 플럼퍼 인기 상승 우선 호주 화장품 시장은 건강한 피부에 대한 수요가 ‘비스포크 스킨케어’(Bespoke Beauty) 또는 ‘퍼스널 스킨케어’(Personal Skincare)로 불리는 맞춤형 스킨케어와 K-뷰티의 인기로 이어지는 양상을 보인다. 맞춤형화장품은 디지털 기술을 통한 철저한 피부 분석이나 의사 또는 피부 전문가 등과의 상담을 거쳐 특정 피부 유형에 적합한 유효성분이 함유된 제품을 추천하는, 제품과 서비스가 결합된
중국 시장을 이을 새로운 K-뷰티의 미래 시장은 어디인가. ‘포스트 차이나 마켓’ 찾기가 새로운 과제로 떠오른 우리나라 화장품 산업계가 최근 들어 가장 공을 들이면서도 공격성 강한 마케팅·영업 전략을 펼치고 있는 지역 가운데 한 곳이 바로 중동지역이다. 지난달 30일 개막, 1일까지 사흘 동안 이어진 중동지역 최대 규모의 ‘2023 뷰티월드 미들이스트’(2023 Beauty World Middle East·Dubai World Trade Centre)에 우리나라 화장품·뷰티기업 100여 곳이 코트라·국제뷰티산업교역협회(IBITA)·코이코 등의 주관 아래 한국관을 구성, 새로운 시장 개척을 위한 활동을 전개했다. 올해 뷰티월드 미들이스트에는 전 세계 57국가에서 1천750곳 이상의 화장품·뷰티 기업이 부스를 열고 참가했다. 25개에 이르는 국가관을 구성했으며 주최 측은 전시회 기간 동안 약 5만 명에 이르는 참관객이 방문했다고 밝혔다. 특히 주최 측은 “올해는 모두 15개 홀에서 △ 글로벌 트렌드와 혁신 컨퍼런스 △ 실시간 뷰티 시연 △ 화장품·뷰티 산업 관련 세미나 등을 진행했으며 참가기업과 바이어들은 7개로 압축한 스페셜 컨퍼런스를 통해 전에 없던 화장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