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지 않는다. 바르지 않는다. 입지 않는다.’ 무엇을? 동물로 만든 음식과 화장품과 옷을. 우리는 이들을 비건족이라고 부른다. 기후위기시대에 ‘비건’(vegan)은 ‘힙한’ 태도이자 윤리로 자리잡았다. 비건은 식물성 음식만 먹는 완전 채식주의자를 가리킨다. 비거니즘(Veganism)은 동물복지를 중시하고 동물착취를 최소화하는 생활방식을 말한다. 비건과 비거니즘은 어디서 왔을까. 두 용어를 세계 최초로 만든 단체는 영국 비건소사이어티다. 미린 루이스(Mirrin Lewis) 영국 비건소사이어티(The Vegan Society) 책임자가 방한했다. 그는 11일 경기 킨텍스 제2전시장 8홀 컨퍼런스장에서 ‘윤리적 뷰티산업과 비건 화장품의 성장’ 세미나를 열었다. 미린 루이스가 들려주는 비거니즘 철학과 비건뷰티의 글로벌 성공전략을 숫자로 풀었다. 1944년 “비건과 비거니즘 용어는 일곱명의 채식주의자가가 만들었습니다. 1944년, 도날드 왓슨(Donald Watson, 비건소사이어티 설립자)이 중심인물이죠. 이들은 비영리 단체인 비건소사이어티를 세우고 비거니즘을 전파하기 시작했어요. 이 단체는 1990년 비건제품을 인증하고 알리기 위해 비건마크를 만들었고요 비건마
가히 ‘K-뷰티 전성시대’라 할 만하다. 이를 입증이라도 하듯 K-뷰티의 성장과 인기를 분석하고 요인을 찾겠다는 관련 서적도 출간 붐을 이루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만 한 가지, 이러한 양상은 화장품·뷰티 산업 외부에서 바라본 내용이 주류를 이루는 동시에 이는 자칫 산업 현실과 괴리를 극복하지 못한 채 표피 만을 훑고 지나가는 아쉬움을 남기지 않을까하는 냉철한 시각도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아모레퍼시픽에서의 22년을 포함해 인디 브랜드(트리셀)의 대표를 역임한 황동희 작가가 최근 펴낸 ‘K-뷰티 설계자들-뷰티로 세계를 정복하라’는 그래서, 눈길과 손길이 다시 한 번 머물게 하는 요소가 분명하다. “화장품 기업에서의 지내왔던 과거의 내 얘기를 돌아본다는 의미보다는 현재의 상황을 제대로 직시하고 K-뷰티의 미래에 대해 한 번 고민해 보고 싶었습니다. 그리고 리더가 내리는 어떠한 결정이 K-뷰티의 성장을 이끌 수 있었는가, 따라서 이러한 결정은 얼마나 중요하게 이뤄져야 하는가 등에 대한 내용도 비중있게 다루고자 했는데 그 의도가 얼마나 잘 살아났는지는 독자 여러분이 판단해 주시리라 생각합니다.” ‘작가’라는 새로운 호칭이 아직은 여전히 어색하게 들린다는
신세계인터내셔날이 세계화장품학회에서 연구결과 6건을 발표했다. ‘제35회 세계화장품학회’(IFSCC Congress 2025)는 15일부터 18일까지 4일 동안 프랑스 칸에서 열렸다. 화장품 전문가‧연구자 약 1천명이 모여 기술 동향과 연구 성과를 공유했다. 올해 학회는 ‘미래는 과학이다’(The Future is Science)를 주제로 개최했다. △ 피부 및 모발 건강과 웰빙 △ 전체론적 과학 △ 다양성과 개인화 등에 대한 강연과 논문‧포스터 발표를 실시했다. 신세계인터내셔날 기술혁신센터는 연구성과를 6건의 포스터로 제시했다. 연구 주제는 △ 미세조류 유래 엑소좀의 피부 재생 효능 △ 아이리스 유래 엑소좀의 노화개선 효과 등이다. 아이리스 엑소좀은 스킨케어 브랜드 스위스퍼펙션팀과 국내외 바이오테크사‧대학 등과 공동 연구했다. 아이리스 엑소좀에 있는 역노화 활성성분과 새로운 서열의 ‘마이크로 RNA’를 규명했다. 아울러 ‘비동물 유래 인공 엑소좀 기반 항노화 통합 솔루션 개발‘을 발표했다. 녹조류 ‘두날리엘라 살리나’에서 추출한 인공 엑소좀을 뷰티 소재로 활용하는 방안을 담았다. 이 연구는 보건복지부 국책과제로 선정된 바 있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
서울경제진흥원이 26일부터 10월 5일까지 10일 동안 미국 뉴욕 브루클린 윌리엄스버그에서 K-뷰티 팝업매장을 운영한다. 팝업매장은 ‘서울 팝업 2025 에피소드 : K-뷰티, 비 더 뷰티풀’(Seoul Pop-up 2025 Episode 1: K-Beauty, Be the Beautiful)을 주제로 열린다. 서울 DDP에서 운영하는 뷰티복합문화공간 ‘비더비’(B the B)를 뉴욕에 선보이는 행사다. 참여 브랜드는 △ 정샘물 △ 에센허브 △ NDP △ 니아르 △ 리솔츠 △ 빌라에르바티움 △ UUUUU △ 이로이로 등이다. 뷰티테크기업 애니모먼트와 비컨도 참가한다. 팝업매장에선 현지 바이어와 인플루언서들에게 K-뷰티 체험 기회를 제공한다. 9월 27일부터 10월 5일까지는 미국 소비자에게 공개된다. QR코드로 제품 정보를 확인하고 주문할 수 있다. 피부 분석부터 제품 체험과 구매가 한자리에서 이뤄진다. 서울경제진흥원은 이번 뉴욕 팝업스토어에 이어 미국 뉴저지에 상설매장을 열 계획이다. 서울 유망 뷰티 브랜드가 세계 시장에 진출해 안정적으로 성장하도록 도울 전략이다. 비더비는 2022년 9월 개관해 누적 방문객 194만 명(외국인 35만명)을 기록했다. 서울
롯데면세점이 서울 명동본점의 면세점 특허를 5년 연장했다. 명동본점 운영 기한은 2030년 12월까지다. 롯데면세점(대표 김동하)은 오늘(23일) 충남 천안 관세인재개발원에서 열린 서울 지역 시내면세점 특허 갱신 심사에 참가했다. 관세청 보세판매장(면세점) 특허심사위원회는 호텔롯데(롯데면세점 명동본점)의 특허를 갱신하기로 의결했다. 롯데면세점 명동본점은 이행 내역과 계획 평가 등에서 총 824.34점(총합계 1천 점 만점)을 받아 특허 갱신에 성공했다. △ 특허보세구역 관리 역량 △ 경영 능력 △ 사회 환원 △ 상생협력 분야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롯데면세점 명동본점은 이번 특허 갱신 심사로 2030년 12월까지 5년 간 더 운영할 권리를 획득했다. 롯데면세점 관계자는 "롯데면세점 명동본점은 한국을 대표하는 면세점 매장이다. 이번 특허 갱신을 통해 다시 한번 가치를 인정받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을 찾는 전 세계 관광객들에게 최적의 쇼핑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한국 쇼핑관광의 중심답게 책임과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