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뷰티가 글로벌 인기를 구가하고 있지만 각 국가·지역 현지에서는 어떠한 실질 위상을 확보하고 있는지, 해당 국가·지역의 소비자에게 진정한 인기 품목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 부호를 달게 마련이다. 특히 ‘그곳에서도?’라고 할 정도로 의외의 국가에서 상상을 뛰어넘는 인기를 구가하고 있다면 실제 상황에 대한 궁금증은 커질 수밖에 없다. 아랍에미리트연합에서 ‘K-뷰티 개척자’로서, 그리고 △ Onyx Tower 1(두바이) △ Shams Boutique(아부다비) △ Al Ghurair Centre(두바이 플래그십스토어) 등 K-뷰티 전문 오프라인 매장을 운영하고 있는 박우연 Lamise K-뷰티 대표의 얘기를 들어보면 그 의문 부호와 궁금증이 일정 부분 사라진다. “적어도 이곳 두바이를 포함한 중동에서의 K-뷰티 인기와 열풍은 K-팝·드라마·푸드 등 K-컬처 전반의 인기에 ‘편승한’ 현상은 아니라고 판단합니다. K-뷰티라는 단어가 생소하기만 하던 지난 2019년부터 인연을 맺고 지금까지 K-뷰티 유통 비즈니스를 전개하면서 파악한 인기요인은 현지 소비자의 피부 고민과 기후 특성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제품력과 텍스처에 있습니다. 특히 색
지난 6월 말 강선우 의원(더불어민주당)이 대표발의한 화장품법 일부개정법률(안)에서 담고 있는 ‘화장품 안전성 평가 제도’와 관련한 사안을 두고 업계의 의견이 분분하다. 특히 화장품 안전성과 관련한 ‘모든 책임’을 ‘책임판매업자’에게 지우려한다는 주장과 논란이 이슈의 강도를 더욱 키우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지훈 화장품정책과장이 안전성 평가 제도 도입과 관련한 정부의 기본 방침과 정책 방향에 대해 직접 설명에 나섰다. “화장품 안전성 평가 제도 도입은 우리나라 화장품 산업의 미래와 글로벌 경쟁력을 좌우할 척도가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식약처와 화장품 업계(대한화장품협회를 중심으로)는 지난 2022년부터 이에 대한 논의를 시작, 민관협의체(점프 업 K-코스메틱)의 논의를 거쳐 지난해에는 정책으로 공식 발표했다. 이 과정에서 진행 상황 등을 공유함은 물론 각 지역별로 순회하면서 의견 수렴을 해 왔다. 올 하반기에도 정책설명회 등을 통해 관련 사안에 대한 업계와의 소통을 이어간다. ‘과하다’ 싶을 정도로까지 현장과의 소통을 하는데 주저하지 않을 계획이다.” 화장품법 개정(안)의 발의가 안전성 평가 제도에 대한 이슈로 이어지는 발화점으로 작용하기는 했지만 새삼스
마이크로젠타스(대표 신세현)가 진행한 ‘병풀 유래 엑소좀(CICA-EV) 제형에 대한 인체 적용시험과 원료 기전 연구’가 SCI급 국제학술지 코스메틱스(Cosmetics, doi:10.3390/cosmetics12040135)에 실렸다. 이 연구는 고순도 엑소좀 분리·정제 기술을 적용했다. 병풀 유래 엑소좀(CICA-EV)을 피부에 적용한 결과 콜라겐 생성량이 약 2.37배(136.6%) 증가했다. 피부 콜라겐 분해 효소(MMP-1) 활성은 49.3% 억제했다. 이는 병풀 유래 엑소좀이 콜라겐 합성에 핵심 역할을 하는 COL1A1 발현을 유도한 결과다. 마이크로젠타스는 병풀 잎 유래 성분을 엑소필터(ExoFilter) 플랫폼을 통해 분리한 뒤 인체 적용시험을 실시했다. 인 비트로(in vitro·체외) 세포 실험은 휴먼피부임상시험센터에서, 인체 적용시험은 에이스피부임상연구소에서 수행했다.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병풀 유래 엑소좀의 모공·주름·수분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 평균 모공 면적은 17.9%, 주름 깊이는 부위별로 7.8~18.8% 감소했다. 피부 수분은 7.9%, 피부 치밀도는 12.7% 향상됐다. 피부 자극 지수는 0.00으로 나타나 비자극성 판정을 받
화장품 인체적용시험 전문기업 아이이씨코리아(주)(대표 하재현)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주관하는 ‘초거대 AI 생태계 조성 사업’의 수행 기업에 선정돼 스킨케어와 메이크업 분야의 초개인화 AI 데이터 구축을 동시에 이끈다. 선정 과제는 △ 개인 맞춤형 스킨케어 추천 AI 모델 학습용 데이터셋 구축 △ 글로벌 다인종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메이크업 추천 AI 모델 학습용 데이터셋 구축 등 2건이다. 개인화 스킨케어 솔루션 제안 위한 AI 학습용 데이터셋 구축 스킨케어 분야에서는 △ AI 솔루션 전문기업 (주)카이로스랩(대표 나준채) △ 화장품 소재 전문기업 (주)엑티브온(대표 조윤기)과 컨소시엄을 구성, 개인의 피부 상태·고민·타입 등의 특성과 외부 환경 요인(기후·습도·대기 오염 등)을 종합 고려해 보다 정교하고 개인화한 스킨케어 솔루션을 제안할 수 있는 AI 학습용 데이터셋을 구축한다. 특히 단순한 데이터 수집을 넘어 과학적 사고 과정을 구조화하여 AI가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한 ‘Chain of Thought’(CoT) 기반 데이터 모델링 기법의 도입에 초점을 둔다. 이를 통해 AI가 단순히 결과를 도출하는 데 그치지 않고 합리
토니모리가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625억 원, 영업이익 56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2.7%, 영업이익은 4.8% 증가했다. 올해 1분기에 비하면 매출은 27.7%, 영업이익은 52.9% 늘었다. 토니모리는 2분기 화장품과 OEM·ODM 사업에서 고루 성장했다. 국내 시장에선 다이소·올리브영 등 신채널을 중심으로 매출을 확대했다. 한국을 방문하는 해외 관광객이 급증하며 면세점 매출도 상승했다. 다이소 전용 브랜드 본셉(BONCEPT)은 비타씨와 여름 색조제품이 강세를 보였다. 7월 판매량이 지난해 7월 대비 300% 뛰며 역대 최고 매출을 올렸다. 소비자의 긍정적 후기가 많아지며 출시 1년 2개월 만에 누적 판매량 500만 개를 돌파했다. 본셉은 소비자 니즈와 뷰티 트렌드를 반영한 제품을 내놓으며 토니모리의 핵심 브랜드로 떠올랐다. 올리브영에선 5월 ‘올영픽’ 기획전에 선보인 마리 컬렉션이 인기를 끌었다. ‘원더 세라마이드 모찌 토너’는 누적 판매량 300만 개를 달성했다. 해외시장 매출 성장세도 두드러졌다. 미국·인도·멕시코 등 신흥국을 중심으로 매출이 신장했다. 주력 제품을 선정해 현지 마케팅을 펼친 결과다. 화장품 OEM·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