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지 않는다. 바르지 않는다. 입지 않는다.’ 무엇을? 동물로 만든 음식과 화장품과 옷을. 우리는 이들을 비건족이라고 부른다. 기후위기시대에 ‘비건’(vegan)은 ‘힙한’ 태도이자 윤리로 자리잡았다. 비건은 식물성 음식만 먹는 완전 채식주의자를 가리킨다. 비거니즘(Veganism)은 동물복지를 중시하고 동물착취를 최소화하는 생활방식을 말한다. 비건과 비거니즘은 어디서 왔을까. 두 용어를 세계 최초로 만든 단체는 영국 비건소사이어티다. 미린 루이스(Mirrin Lewis) 영국 비건소사이어티(The Vegan Society) 책임자가 방한했다. 그는 11일 경기 킨텍스 제2전시장 8홀 컨퍼런스장에서 ‘윤리적 뷰티산업과 비건 화장품의 성장’ 세미나를 열었다. 미린 루이스가 들려주는 비거니즘 철학과 비건뷰티의 글로벌 성공전략을 숫자로 풀었다. 1944년 “비건과 비거니즘 용어는 일곱명의 채식주의자가가 만들었습니다. 1944년, 도날드 왓슨(Donald Watson, 비건소사이어티 설립자)이 중심인물이죠. 이들은 비영리 단체인 비건소사이어티를 세우고 비거니즘을 전파하기 시작했어요. 이 단체는 1990년 비건제품을 인증하고 알리기 위해 비건마크를 만들었고요 비건마
가히 ‘K-뷰티 전성시대’라 할 만하다. 이를 입증이라도 하듯 K-뷰티의 성장과 인기를 분석하고 요인을 찾겠다는 관련 서적도 출간 붐을 이루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만 한 가지, 이러한 양상은 화장품·뷰티 산업 외부에서 바라본 내용이 주류를 이루는 동시에 이는 자칫 산업 현실과 괴리를 극복하지 못한 채 표피 만을 훑고 지나가는 아쉬움을 남기지 않을까하는 냉철한 시각도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아모레퍼시픽에서의 22년을 포함해 인디 브랜드(트리셀)의 대표를 역임한 황동희 작가가 최근 펴낸 ‘K-뷰티 설계자들-뷰티로 세계를 정복하라’는 그래서, 눈길과 손길이 다시 한 번 머물게 하는 요소가 분명하다. “화장품 기업에서의 지내왔던 과거의 내 얘기를 돌아본다는 의미보다는 현재의 상황을 제대로 직시하고 K-뷰티의 미래에 대해 한 번 고민해 보고 싶었습니다. 그리고 리더가 내리는 어떠한 결정이 K-뷰티의 성장을 이끌 수 있었는가, 따라서 이러한 결정은 얼마나 중요하게 이뤄져야 하는가 등에 대한 내용도 비중있게 다루고자 했는데 그 의도가 얼마나 잘 살아났는지는 독자 여러분이 판단해 주시리라 생각합니다.” ‘작가’라는 새로운 호칭이 아직은 여전히 어색하게 들린다는
(주)바이오제닉스(대표이사 손태훈)가 국내 최초이자 유일한 ‘웻 캡슐’(Wet Capsule) 전용 생산공장을 완공, 글로벌 화장품 원료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주)바이오제닉스가 선보이는 생산공장은 설비 설계부터 제작·설치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바이오제닉스 독자 기술력으로 완성했으며 기존의 생산 시설과도 차별화한 혁신성을 현실화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회사 측은 해당 공장에 대해 EFfCI(European Federation for Cosmetic Ingredients) 인증을 진행할 예정이며 이는 곧 글로벌 품질 기준을 충족하는 원료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입증한다. 연간 200MT(미터 톤) 이상의 대규모 생산 가능 능력을 보유함으로써 글로벌 기업과의 공급 계약도 추진 중이다. (주)바이오제닉스의 이번 웻 캡슐 전용 공장 건립과 이를 통한 생산 본격화는 우리나라 화장품 원료 산업이 더 이상 추격자의 위치에 서 있는 상황이 아니라 글로벌 무대에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는 선도자의 위상에 올라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사례라는 평가도 얻고 있다. 손태훈 대표는 “(주)바이오제닉스는 더 이상 한국에 있는 화장품 원료 기업 중 한 곳이 아니라
글로우픽이 앳코스메상을 도입했다. 글로우데이즈(공동대표 공준식‧스가와라케이)는 ‘앳코스메 코리아 어워드’를 새롭게 선보였다. ‘앳코스메 코리아 어워드’(@cosme Korea Awards)는 글로우픽 수상작에게 동시에 수여한다. 수상제품은 11월에 발표할 예정이다. 앳코스메는 일본을 대표하는 뷰티 플랫폼이다. 월간 사용자 2천만명을 바탕으로 제품 리뷰와 순위 정보를 제공한다. 사용후기와 랭킹으로 수상제품을 선정하는 ‘베스트 코스메 어워즈’(Best Cosme Awards)를 연 2회 개최한다. 올해 7월 시상식에선 아누아‧파뮤 제품이 이름을 올렸다. 현재 앳코스메 온라인몰과 매장 35곳을 운영하고 있다. 글로우픽은 2013년 탄생한 실사용자 기반 뷰티리뷰 플랫폼이다. 화장품 사용후기 약 500만건을 보유했다. 취향별 화장품과 부문별 순위를 비교‧검색할 수 있다. 2014년부터 글로우픽 어워즈를 개최했다. 소비자 리뷰와 4단계 분석 필터링을 적용해 공정성을 강화했다. 글로우데이즈 측은 “앳코스메 코리아 어워드를 통해 K-뷰티의 일본 진출을 지원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앳코스메를 운영하는 아이스타일은 도쿄증권거래소 프라임 상장사다. 2019년 글로우픽에 전략적
세명대학교(총장 권동현) 화장품·건강기능식품 임상시험센터(총괄센터장 신선미)와 임상시험수탁기관(CRO) 알엔비에스(주)(대표이사 윤상준)가 지난 12일 상호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두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 임상시험 설계 △ 시험법 개발 △ 데이터 분석 등 전문 기술과 노-하우를 공유, 비임상부터 인체적용시험, 인허가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서비스 제공을 본격화한다. 화장품은 물론 건강기능식품 등으로 협력 범위를 확대, 비즈니스 시너지 창출을 기대하고 있다. 알엔비에스(주)는 임상시험·인체적용시험·임상통계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 국내·외 제약회사에서 20년 이상 임상개발업무 경험을 보유한 석·박사 전문 인력이 효과 높고 효율성에 역점을 둔 임상시험·인체적용시험·임상통계·데이터 매니지먼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기관으로서의 입지를 강화 중이다. 지난 1일자로 기관명을 새롭게 변경한 세명대학교 화장품·건강기능식품 임상시험센터(이전 세명대학교 피부화장품임상센터) 신선미 총괄센터장은 “위 건강·체지방·피부건강에 대한 식약처 건강기능식품의 개별인증을 받은 경험을 바탕으로 알엔비에스(주)와 다양하고도 전문성에 입각한 인체적용시험을 진행 할 수 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