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지 않는다. 바르지 않는다. 입지 않는다.’ 무엇을? 동물로 만든 음식과 화장품과 옷을. 우리는 이들을 비건족이라고 부른다. 기후위기시대에 ‘비건’(vegan)은 ‘힙한’ 태도이자 윤리로 자리잡았다. 비건은 식물성 음식만 먹는 완전 채식주의자를 가리킨다. 비거니즘(Veganism)은 동물복지를 중시하고 동물착취를 최소화하는 생활방식을 말한다. 비건과 비거니즘은 어디서 왔을까. 두 용어를 세계 최초로 만든 단체는 영국 비건소사이어티다. 미린 루이스(Mirrin Lewis) 영국 비건소사이어티(The Vegan Society) 책임자가 방한했다. 그는 11일 경기 킨텍스 제2전시장 8홀 컨퍼런스장에서 ‘윤리적 뷰티산업과 비건 화장품의 성장’ 세미나를 열었다. 미린 루이스가 들려주는 비거니즘 철학과 비건뷰티의 글로벌 성공전략을 숫자로 풀었다. 1944년 “비건과 비거니즘 용어는 일곱명의 채식주의자가가 만들었습니다. 1944년, 도날드 왓슨(Donald Watson, 비건소사이어티 설립자)이 중심인물이죠. 이들은 비영리 단체인 비건소사이어티를 세우고 비거니즘을 전파하기 시작했어요. 이 단체는 1990년 비건제품을 인증하고 알리기 위해 비건마크를 만들었고요 비건마
가히 ‘K-뷰티 전성시대’라 할 만하다. 이를 입증이라도 하듯 K-뷰티의 성장과 인기를 분석하고 요인을 찾겠다는 관련 서적도 출간 붐을 이루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만 한 가지, 이러한 양상은 화장품·뷰티 산업 외부에서 바라본 내용이 주류를 이루는 동시에 이는 자칫 산업 현실과 괴리를 극복하지 못한 채 표피 만을 훑고 지나가는 아쉬움을 남기지 않을까하는 냉철한 시각도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아모레퍼시픽에서의 22년을 포함해 인디 브랜드(트리셀)의 대표를 역임한 황동희 작가가 최근 펴낸 ‘K-뷰티 설계자들-뷰티로 세계를 정복하라’는 그래서, 눈길과 손길이 다시 한 번 머물게 하는 요소가 분명하다. “화장품 기업에서의 지내왔던 과거의 내 얘기를 돌아본다는 의미보다는 현재의 상황을 제대로 직시하고 K-뷰티의 미래에 대해 한 번 고민해 보고 싶었습니다. 그리고 리더가 내리는 어떠한 결정이 K-뷰티의 성장을 이끌 수 있었는가, 따라서 이러한 결정은 얼마나 중요하게 이뤄져야 하는가 등에 대한 내용도 비중있게 다루고자 했는데 그 의도가 얼마나 잘 살아났는지는 독자 여러분이 판단해 주시리라 생각합니다.” ‘작가’라는 새로운 호칭이 아직은 여전히 어색하게 들린다는
3CE가 10월 22일부터 11월 3일까지 2주 동안 올리브영N 성수에서 ‘벨벳 케이크 샵’ 팝업매장을 운영했다. ‘벨벳 립 틴트’는 3CE를 대표하는 제품이다 유로모니터 조사에 따르면 2021년 1월부터 2025년 6월까지 모든 색상을 기준으로 1분에 1개씩 판매되는 기록을 세웠다. ‘벨벳 립 틴트 플러쉬’는 리뉴얼 제품이다. 기존 제품에 비해 발색력과 지속력이 강화했다. 부드러운 벨벳 제형과 선명한 컬러를 결합했다. 대표 색상은 △ 다포딜 △ 더스키 핑크 △ 사일런트 등이다. 팝업매장은 벨벳 케이크를 주제로 꾸몄다. 방문객들은 베이커리매장을 본뜬 공간에서 신제품의 부드러운 질감과 풍부한 색상을 체험했다. 15가지 컬러를 자유롭게 발라보고 퍼스널 컬러에 맞는 제품을 선택했다. 3CE는 매장에 △ 벨벳 케이크 오븐 존 △ 벨벳 매치 게임 존 △ 포토부스 등을 마련했다. 3CE 관계자는 “벨벳 케이크 샵 팝업스토어를 열고 벨벳 립 틴트 플러쉬를 소개했다. 브랜드 세계관을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글로벌 화장품 ODM(연구·개발·생산) 전문기업 코스맥스가 맞춤형 멀티 디바이스로 세계 최대 소비자 가전전시회 ‘CES 2026’(Consumer Electronics Show 2026) 뷰티테크 부문 혁신상을 수상했다. 지난 2023년 프링커코리아와 공동개발한 맞춤형 팔레트 디바이스 ‘컬러잼’(Color Jam™)으로 혁신상을 수상한 데 이은 두 번째 수상이다. 이번 수상을 통해 코스맥스는 뷰티 산업을 넘어 글로벌 테크 혁신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다시 한번 입증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수상작 ‘맥스페이스’(maXpace™)는 스킨케어 제품부터 파운데이션과 리퀴드 립까지 하나의 기기에서 생산할 수 있는 ‘올-인-원 맞춤형 디바이스’다.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김호영 교수와 협업해 개발했다. 맥스페이스는 단일 제형에 국한했던 기존 기기와 달리 다양한 물성과 색상 조합이 가능하다. 특히 파운데이션은 자체 제품 개발과 처방 알고리즘을 결합, 피부와 선호도 진단부터 제조에 이르는 전 과정이 실시간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는 필요한 양 만큼만 즉시 제조할 수 있어 불필요한 생산과 재고를 줄이고 포장재와 폐기물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환경 부하를 줄이는 동
에이피알이 올해 3분기에 역대 최대 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에이피알(대표 김병훈)은 6일 잠정 실적 공시를 통해 2025년도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3859억 원, 영업이익 961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 122%, 영업이익 253%가 증가한 수치다. 3분기부터 본격화된 미국발 관세 영향에도 24.9%의 영업이익률을 나타내며 견조한 수익성을 보였다. 이로써 에이피알은 올해 3개 분기 연속 시장 기대치를 넘어서는 실적 성장세를 유지했다. 에이피알의 올해 1분기부터 3분기까지 누적 매출은 979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다. 같은 기간 누적 영업이익은 2352억 원으로, 창사 이래 최초로 영업이익 2000억 원 고지를 돌파했다. 화장품‧뷰티 부문이 3분기 전체 실적을 이끌었다. 세계적인 K-뷰티의 인기에 힘입어 화장품‧뷰티 부문의 3분기 매출은 2723억 원을 올렸다. 메디큐브는 베스트셀러인 ‘제로모공패드’를 중심으로 다양한 제품이 글로벌 시장에 안착했다. 메디큐브 PDRN 라인은 글로벌 누적 판매량 1500만 개를 넘어섰다. 뷰티 디바이스 부문의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대비 39% 증가한 1031억 원